[2월 1일 ~ 2일 보도자료 목록]
구분 |
제 목 (2건) |
자료 |
사진 |
영상 |
담당부서 |
기타 |
◎ (2. 1.토) 교육도서관, 언제나 책봄! 2월 북큐레이션 사서추천도서 선정 |
× |
○ 배포시 |
× |
교육도서관 |
지식정보기반과 |
|||||
이송현 |
|||||
(043-267-4590) |
|||||
기타 |
◎ (2. 2.일) 학생수련원 청풍마음쉼터, 2024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최우수 등급 획득 |
× |
○ 배포시 |
× |
학생수련원 |
청풍마음쉼터 |
|||||
최정민 |
|||||
(043-648-0911) |
|
|
|
||||||
교육도서관,‘언제나 책봄 ! 2월 북큐레이션 사서추천도서’선정 |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교육도서관(관장 이상래)은 2월을 맞아, <반려동물>과 <식물>을 키워드로 선정하고, <반친소: 내 반려친구를 소개합니다>라는 주제로 2월의 사서추천 도서 30권을 선정했다.
이번 추천도서들은 반려동‧식물에 대한 소중함과 그들과의 소통을 다룬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어린이를 위한 추천도서는 반려동‧식물에 소중함을 다채롭게 느낄 수 있는 ▲우리 집을 정글로(마이클 홀랜드 저, 너머학교) ▲반려동물 키우기(강지혜 저, 상상의 집) ▲반려 용 팝니다(안영은 글, 후즈갓마이테일) 등 10권을 선정했다.
청소년을 위한 추천도서는 반려동‧식물과의 소통과 그로 인한 성장 이야기를 담은 따뜻한 ▲성은이 냥극하옵니다(백승화 저, 안전가옥) ▲왜 자꾸 나만 따라와(최영희 저, 자음과모음) ▲슬기로운 반려생활: 댕댕이편‧냥냥이편(김수현‧한지수 저, 의학서원) 등 10권을 선정했다.
학부모, 교직원 등 성인을 위한 추천도서는 반려동물과 식물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감동적인 이야기를 담은 ▲작가들과 반려동물의 사생활(캐슬린 크럴 저, 에프) ▲살며 사랑하며 기르며(재키 콜리스 하비 저, 을유문화사) ▲귀여움이 세상을 구한다(러브둥둥 저, 스튜디오오드리) 등 10권을 선정했다.
이상래 교육도서관장은 “반려동물과 식물은 우리의 일상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2월 추천도서들이 사람들에게 그 소중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해주고,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사서추천도서는 교육도서관 유튜브(https://www.youtube.com/@충청북도교육도서관)와 충북지역 교육도서관에서 볼 수 있다.
기타 사항은 교육도서관 지식정보기반과(☎043-267-4590)로 문의하면 된다.
|
|
|
||||||
학생수련원 청풍마음쉼터, 2024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최우수 등급 획득 |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학생수련원(원장 안용모) 제천분원 청풍마음쉼터가 2024년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
청소년 수련시설 종합평가는 2년마다 여성가족부가 주최하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는 평가로 청소년의 안전한 수련활동 여건조성을 위해 전국 청소년 수련시설의 시설물에 대한 종합 안전‧위생점검 및 운영 전반을 평가하는 제도이다.
청풍마음쉼터는 운영 및 관리체계, 청소년 이용 및 프로그램, 인사 및 조직, 시설 안전, 시설운영발전 등 5개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종합 안전 위생 점검(건축, 전기, 토목, 기계, 소방, 위생)에서도 A등급을 획득해 안전한 시설물로 평가되었다.
또한, 2019년 시설 현대화사업을 통해 실내 숙소 확충 및 실내집회장 등을 갖추고, 도내 학생을 대상으로 리더십캠프, 마음든든 성장캠프 및 힐링 몸살림 마음살림 교직원연수, 가족힐링 성장캠프등을 운영하며, 2024년 기준 연인원 약 7,000명이 이용을 하였으며, 모든 프로그램 이용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안용모 학생수련원장은 “직원 모두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최선의 노력을 다한 결과, 청소년수련시설 종합평가 결과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며, “앞으로도 충북 도내 학생 및 교직원에게 질 좋은 프로그램과 안전하고 편리한 시설을 제공하도록 하며, 교육가족 및 이용객들에게도 자연과 힐링 할 수 있는 쾌적한 휴식공간으로 향유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참고로, 학생수련원은 청소년이 안전하고 유익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국청소년진흥원에서 일정 기준에 따라 심사 인증하는 청소년활동 인증프로그램 개발 보급에도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