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택 청주교대 교수 개인전 ‘흔적의 미학: 사라지는 것들, 남겨지는 것들’, 갤러리몸 전시

  • 등록 2025.02.28 22:57:53
크게보기

이용택 청주교대 교수 개인전 ‘흔적의 미학: 사라지는 것들, 남겨지는 것들’

 

갤러리몸(김손비야 대표)은 2025년 3월 4일(화) 부터 4월 6일(일)까지 이용택 개인전 '흔적의 미학'을 개최한다. 

오프닝 리셉션은 3월 15일(토) 오후 3시에 시작한다. 이번 리셉션에서는 이용택 작가와 직접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창작 과정과 예술적 철학을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될 예정이다. 전시를 기획한 김손비야 갤러리몸 대표도 함께 참여해, 작가와 관람객 간의 대화를 이어가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용택 개인전 포스터 / 갤러리몸 제공

전시 개요
전시명: 이용택 개인전 「흔적의 미학」
전시 기간: 2025년 3월 4일 (화) – 4월 6일 (일)
전시 장소: 갤러리몸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45, 178호, 메세나폴리스몰)
오프닝 리셉션: 2025년 3월 15일 (토) 오후 3시
관람 시간: 24시간 관람 가능

이용택 출품작 / 갤러리몸 제공

생성과 소멸의 경계에서 발견하는 예술의 흔적

이번 전시는 시간과 존재의 흐름 속에서 남겨진 흔적과 소멸의 과정을 탐구하는 작품들로 구성되며, 작가가 오랜 시간 동안 연구해온 먹(墨)의 깊이와 여백의 미학, 그리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실험적인 표현 기법이 한데 어우러진다.

이용택 작가는 프레임 안에서 가상의 공간 속에 카메라가 포착한 순간의 이미지와 손으로 그려낸 드로잉 선들의 만남을 보여준다. 그는 오랫동안 동양화 작업을 통해 원초적이고 즉흥적인 선과 기호, 색면을 활용하여 화폭에 추상적인 흔적을 남기는 작업에 천착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러한 시각적 탐구를 더욱 심화하여, 순간과 영원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선을 선보인다.

전시 주요 내용

이용택 전시작품 / 갤러리몸 제공

사라지는 꽃잎과 남겨지는 흔적

이용택 작가는 "New Born" 시리즈를 통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차 시들어가는 꽃과 과일을 관찰하며 그 변화의 순간을 기록한다. 그중에서도 ‘오전 9시’라는 특정한 시간에 매일 카네이션의 변화를 기록한 작업은 소멸의 과정이 곧 또 다른 존재 방식으로 이어진다는 철학적 시선을 담고 있다. 그가 포착한 꽃과 열매는 단순한 정물이 아니라, 정신과 물질이 함께 깃든 ‘육(肉)’의 흔적이 된다.

이용택 전시작품 /갤러리몸 제공

먹(墨)과 기호의 조합, 그리고 새로운 회화적 언어

작품 제목인 ‘시든 목련’, ‘검은 모과’와 같은 자연물은 이용택 작가가 오랜 시간 고찰해 온 생명과 소멸의 순환을 보여주는 중요한 소재다. 꼿꼿이 서 있는 꽃잎은 죽음의 그림자와 생명의 색이 어우러진 채로 한지 위 텅 빈 영원의 시공간에 안착된다. 이처럼 작가는 시간을 현시하기 위해, 대상을 그저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를 결정화(結晶化)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며, 소멸과 생성의 순간을 영원 속에 새긴다.

한의정 미술평론가는

"이용택이 시간을 현시하는 방법은 대상에 잠재되어 있는 이미지를 현실 이미지와 굳게 고착시키는 결정화(結晶化) 방식"이라고 평가하며,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말한 ‘결정-이미지(image-cristal)’ 개념과 연결해 해석했다. 그에 따르면, 결정-이미지는 보존하는 과거를 기반으로 자신의 고유한 심연과 결합하면서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한다.

이용택 전시작품 / 갤러리몸 제공

검은색을 초월하는 색채와 공간의 확장

작품 ‘검은 모과’에서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점차 썩어가는 모과가 마치 새로운 생명을 품은 ‘알’처럼 표현된다. 이처럼 작가의 작업 속 검은색은 단순한 어둠이 아니라, 빛과 어둠이 혼재된 공간에서 수많은 빛의 파장을 느낄 수 있는 영역이 된다. 이는 프랑스 화가 피에르 술라주의 ‘outrenoir’ 개념과도 연결되며, 관람객은 작가가 화폭 위에 펼쳐 놓은 생성과 소멸의 교차를 발견할 수 있다.

이요택 전시작품 / 갤러리몸 제공

디지털 기술과 전통 기법의 융합

이번 전시에서는 회화뿐만 아니라, 사진과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작품들도 선보인다. 그의 작업은 단순히 정지된 순간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며 변화하는 대상의 흐름을 시각화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흔적’을 통해 생명과 예술의 지속 가능성을 탐구한다.

 

김손비야 갤러리몸 대표는 이번 전시에 대해 "이용택 작가의 작품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사라지는 것과 남겨지는 것 사이의 흔적을 탐구하며, 그 과정에서 탄생하는 새로운 의미를 조형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전시가 관람객들에게 소멸과 생성이 맞닿아 있는 삶의 순간들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용택 작가 / 갤러리몸 제공

이용택 (Lee Yongtaek) 소개

이용택 작가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전통 한국화의 깊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그는 서울 관훈 갤러리, 청주 무심 갤러리를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19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총 260여 회의 단체전에 참여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품은 한국화의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매체를 결합하는 현대적 회화 실험을 보여주며, 국내외 미술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연규식 yks2832@hanmail.net
Copyright @충북데일리 Corp. All rights reserved.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로73번길 9(수동) 등록번호: 충북,아00203 | 등록일: 2018-08-29 | 발행인 : 연규순 | 편집인 : 연규식 | 전화번호 : 043-223-0885 Copyright @충북데일리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