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목록
제 목(9건) |
사진 |
ENG |
담당부서 |
▸ 의료비후불제, 수혜자 1,500명 돌파! |
○ |
○ |
보건정책과 |
▸ 충북, 여성과 청년을 위한 ‘우리동네 일터’ 문 열다 |
○ |
○ |
일자리정책과 |
▸ 김영환 충북도지사, 충북형 도시농부 초청 간담회 열어 |
○ |
○ |
농업정책과 |
▸ 충북도,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 사업제안서 제출 |
○ |
× |
균형발전과 |
▸ 충북도, 이차전지산업 분야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선정 |
○ |
× |
산업육성과 |
▸ 충북도, ‘신종여성폭력예방 민관경 공동캠페인’ 실시 |
○ |
× |
양성평등가족정책관 |
▸ 충북농기원, 곤충산업 발전 위한 간담회 개최 |
○ |
× |
농업기술원 |
▸ 숲속 힐링, 마음을 정화하는 시간 |
○ |
× |
산림환경연구소 |
▸ 충북도, 사방사업 실무·안전교육 실시 |
○ |
× |
산림환경연구소 |
□ 금일 주요행사
현지시간 |
내 용 |
장 소 |
비고 |
관련자료 |
||
보도자료 |
사진 |
ENG |
||||
08:40 |
청남대 교육운영과장 임용장 수여식 |
여는마당 |
|
× |
◯ |
× |
08:50 |
충북연구원장 임명장 수여식 |
여는마당 |
|
× |
◯ |
× |
09:00 |
4월 직원조회 |
대회의실 |
|
◯ |
◯ |
◯ |
10:00 |
제주 감귤유통센터 충북형 도시농부 초청 간담회 |
여는마당 |
|
◯ |
◯ |
◯ |
13:00 |
의료비후불제 1,500명 돌파 기념행사 |
한국병원 |
|
◯ |
◯ |
◯ |
14:00 |
제3회 충청광역연합 임시회 제1차 본회의 |
광역연합의회 |
|
× |
◯ |
× |
15:40 |
일하는 기쁨 작업장 방문 |
테크노파크 |
|
◯ |
◯ |
◯ |
16:30 |
오송 주요사업 보고청취 및 현장방문 |
오송C&V센터 |
|
× |
◯ |
× |
※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의료비후불제, 수혜자 1,500명 돌파!
- 2023년 제도 시행 후 2년 3개월여 만에 달성 -
충청북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의료비후불제’가 도민들의 큰 호응 속에 성공적인 의료복지 모델로 자리 잡으며, 사업 시행 2년 3개월 만에 수혜자 1,500명을 돌파했다.
지난 2023년 1월 9일 시행 이후 500명을 돌파하는 데 1년이 걸렸으나 그 후 10개월 만에 1,000명을 넘어섰고, 이번에 1,500명 달성까지는 단 5개월이 소요됐다.
이는 의료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며 제도의 효과성을 증명한 사례로 평가된다.
충청북도는 의료비후불제 수혜자 1,500명 돌파를 기념해, 수혜자가 치료 중인 한국병원에서 김용순 씨에게 축하 답례품을 전달하고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함께 기념 촬영을 실시하는 행사를 가졌다.
1,500번째 수혜자인 김용순 씨는 “치아 상태가 좋지 않아 음식을 제대로 씹기 어려웠지만 임플란트 시술 비용이 부담스러워 망설이고 있었다.”면서, “치료비 부담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준 의료비 후불제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만족감을 표했다.
한편, 충북도는 4월 1일부터 의료비후불제 지원 범위를 더욱 넓혀 기존의 임플란트 시술뿐만 아니라 임플란트형 틀니를 포함한 틀니 시술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는 임플란트와 치료 목적은 동일하지만, 경제적 부담으로 틀니를 선택하는 의료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이다.
김영환 지사는 “의료비 후불제는 획기적인 발상으로, 결제 방식을 개선해 예산 부담 없이도 많은 도민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충북형 신 의료복지제도”라면서, “이번에 수혜자 1,500명을 돌파한 것은 매우 뜻깊은 성과이며, 앞으로도 전 도민 대상과 전 질환으로 확대하고 지원 금액 상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충북형 의료비 후불제’는 의료비 부담으로 치료를 받기 어려운 도민들에게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이들에게 희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
|
의료비후불제 사업 현황 |
사업개요
❍ 사업시행 : ‘23. 1. 9. ~
❍ 사업대상 : 65세 이상인 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국가유공자, 장애인, 다자녀가구
❍ 대상질병 : 14개질환
- 임플란트, 슬관절‧고관절 인공관절, 척추질환, 심‧뇌혈관, 치아교정, 암, 소화기(담낭,간,위,맹장), 호흡기, 산부인과, 골절, 비뇨기, 안과
❍ 참여병원 : 도내 협약 병·의원 ※ 276개소(종합병원13, 병원19, 개인의원 등244)
❍ 재원규모 : 50억 원(농협 정책자금)
❍ 지원내용 : 의료비 무이자 융자(대출) 지원(1인당 50~300만원/3년 분할상환)
신청현황(총괄)
(단위 : 명, 천원)
구분 |
사업신청 |
대출실행 |
비 고 |
||
신청인원 |
신청금액 |
대출인원 |
대출금액 |
||
누 계 |
1,506 |
3,888,443 |
1,173 |
2,988,943 |
|
신청자 세부현황
(단위 : 명)
❶대상별 |
계 |
65세 이상 |
기초수급자 |
차상위계층 |
국가유공자 |
장애인 |
다자녀 |
비고 (산모) |
|||||||
1,506 |
541 |
644 |
23 |
61 |
179 |
56 |
2 |
||||||||
|
|||||||||||||||
❷질환별 |
계 |
임플란트 |
슬관절 |
고관절 |
척추 |
심혈관 |
뇌혈관 |
치아교정 |
|||||||
1,506 |
1,134 |
57 |
17 |
80 |
22 |
17 |
107 |
||||||||
암 |
담낭·간·위·맹장 |
호흡기 |
골절 |
산부인과 |
비뇨기과 |
안과 |
|||||||||
11 |
10 |
5 |
36 |
5 |
- |
5 |
❸시군별 (거주지 기준) |
계 |
청주 |
충주 |
제천 |
보은 |
옥천 |
영동 |
증평 |
진천 |
괴산 |
음성 |
단양 |
비 고 |
1,506 |
832 |
222 |
89 |
21 |
46 |
14 |
33 |
47 |
38 |
144 |
20 |
|
|
종합·일반병원 |
312 |
220 |
16 |
17 |
5 |
12 |
1 |
14 |
4 |
11 |
11 |
1 |
|
개인의원 |
1,194 |
612 |
206 |
72 |
16 |
34 |
13 |
19 |
43 |
27 |
133 |
19 |
|
질환별 신청현황
시군별 참여의료기관 현황
(단위 : 개소)
구분 |
계 |
청주 |
충주 |
제천 |
보은 |
옥천 |
영동 |
증평 |
진천 |
괴산 |
음성 |
단양 |
계 |
279 |
154 |
23 |
26 |
7 |
13 |
9 |
5 |
13 |
6 |
18 |
5 |
종합병원 |
13 |
7 |
2 |
2 |
- |
1 |
- |
- |
1 |
- |
- |
- |
병원 |
20 |
12 |
1 |
1 |
1 |
- |
1 |
- |
1 |
2 |
1 |
- |
의원 |
246 |
135 |
20 |
23 |
6 |
12 |
8 |
5 |
11 |
4 |
17 |
5 |
(참고) 연도별 신청현황
※ 2023년 : 477명(일 1.3명) → 2024년 : 744명(일 2명) → 2025년(3월) : 256명(일 2.8명)
충북, 여성과 청년을 위한 ‘우리동네 일터’ 문 열다
- 도시근로자, 도시농부에 이은 충북형 혁신일자리 ‘일하는 기쁨’ 본격 추진 -
충북도는 돌봄, 가사, 학업 등 다양한 사정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여성과 청년들에게 근로 환경이 유연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일하는 기쁨, 청년·여성 일자리 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일하는 기쁨’ 사업은 충북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고 있는 도시근로자, 도시농부에 이은 ‘충북형 혁신 틈새일자리 사업’으로, 장거리 출‧퇴근 제약으로 도시근로자나 도시농부 사업에도 참여하지 못하는 여성과 청년을 대상으로 추진된다.
자녀 등하교 시간 사이 유휴시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여성, 진로를 모색 중인 청년 등이 ‘틈새시간’을 활용하여 1일 4시간 이내, 주 3~4회 정도 거주지 인근에 조성된 공동일터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하여 근무 편의성을 높인 생활밀착형 사업이다.
참여 대상은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및 19세 이상 59세 이하 여성이며, 시급은 10,030원으로 시범 사업을 거쳐 지난 31일 청주 오창 충북테크노파크에서 본사업을 시작해 4월 중 진천‧음성 혁신도시 등 3개소를 추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충북도는 일하는 기쁨 사업으로 접근이 용이한 ‘우리동네 일터’를 조성함으로써 도시근로자 사업 참여 사각지대에 있는 대상을 유입하고, 그간의 사업들에 대한 빈틈을 보완하는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 사업을 통해 비경제활동인구가 취업시장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경제활동 감각을 익히면서 점진적으로 노동시장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단순한 단기 일자리 제공이 아닌 지속적인 일자리 연계를 통해 장기적인 고용 안정까지 도모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이날 공동작업장을 찾은 김영환 지사는 “일하고 싶지만, 시간과 거리의 제약으로 일하지 못하는 여성·청년들이 취업시장에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하는 기쁨 사업이 경제활동을 중단했던 여성과 청년들이 다시 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마중물 일자리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참고 |
|
일하는 기쁨, 청년‧여성 일자리 지원사업 개요 |
□ 사업개요
❍ (사업기간) ’25. 3. ~ 12.
❍ (수행기관) 충청북도기업진흥원
❍ (작 업 장) 4개소 정도
❍ (사 업 량) 100여 명(19세 이상~59세 이하 여성 및 19~39세 청년)
❍ (작업시간) 일 최대 4시간 / 주 3~4회
❍ (사업내용) 단시간 근로 희망 여성‧청년에게 공동작업 일자리 제공, 인건비 지원
❍ (인 건 비) 시급 10,030원
❍ (운영체계)
|
|
|
|
|
|
|
|
|
|
충청북도 (사업총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업체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업지침 사업비 지원 |
추진상황 보고 사업비 정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일감제공 계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충청북도기업진흥원 (사업수행) |
|
기업체 B |
|
|
||||||||||||||||||||||||||||||||||||||||||||||||||||||
|
일자리지원기관 (일자리센터,새일본부 등) |
구직자 정보제공 |
|
|
|
|
||||||||||||||||||||||||||||||||||||||||||||||||||||||||||||||
|
|
|
|
|||||||||||||||||||||||||||||||||||||||||||||||||||||||||||||||||
|
|
|
|
|
||||||||||||||||||||||||||||||||||||||||||||||||||||||||||||||||
|
기업부담금(50%) |
|
|
|
||||||||||||||||||||||||||||||||||||||||||||||||||||||||||||||||
|
|
|
|
|||||||||||||||||||||||||||||||||||||||||||||||||||||||||||||||||
|
일감정보 제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건비 지원 보험가입 지원 물품 지원 참여자 및 작업장 관리 |
근로계약서 작업 완제품 |
|
|
|
|
|
|
|||||||||||||||||||||||||||||||||||||||||||||||||||||||
구직자 참여 홍보 |
|
|
|
|
일감 배송 완제품 수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작업장 Ⅰ (근로자 30~40명) |
|
|
|
|
작업장 Ⅱ (근로자 20~30명) |
|
|
|
작업장 Ⅲ (근로자 20~30명) |
|
|
|
|
작업장 Ⅳ (근로자 20~30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영환 충북도지사, 충북형 도시농부 초청 간담회 열어
- 제주감귤유통센터 근무 경험자와 ‘충북-제주 농촌일자리 상생방안’ 논의 -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1일 제주 감귤유통센터에서 근무(지난겨울 / ’24. 11. ~ ’25. 2.)한 도시농부를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 도시농부 초청 간담회 참석 : 총근무자 38명 중 8명
아울러, 김 지사는 ‘도시농부 겨울철 제주 감귤유통센터 확대 추진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제주감귤유통센터 충북형 도시농부 초청 간담회
개 요
❍ 일 시 : 4. 1.(화) 10:00 ~ 11:00
❍ 장 소 : 여는마당
❍ 참 석 자 : 12명 정도 (지사님, 도시농부 8명, 농협 1, 관련 공무원)
❍ 주요내용
- (‘24.11. ~ ‘25.2.)제주 감귤유통센터 근무 소감 공유
- 충북-제주 농촌 일자리 상생 발전방향 논의, 의견수렴 등
세부일정
일 정 |
행 사 내 용 |
비 고 |
|
10:00 ∼ 10:05 |
05‘ |
참석자 소개 |
농업경영팀장 |
10:05 ∼ 10:20 |
15‘ |
지사님 인사말씀 |
|
10:20 ∼ 10:55 |
35‘ |
자유토론 - 소감 공유, 충북-제주 상생방향 논의 등 |
(주재) 지사님 |
10:55 ∼ 11:00 |
05‘ |
기념촬영 및 마무리 |
|
|
《 충북-제주 농촌 일자리상생 추진 상황 》 |
|
|
|
|
❖기 간 : ’24. 11월 ~ ’25. 3월 ❖규 모 : (’24. 11월)11개 센터 38명(남 17, 여 21) → (’25. 3월)1개 센터 2명(남 2) ❖주요내용 : 충북형 도시농부가 감귤 유통센터에서 감귤 선별․세척․포장 ❖근무여건 : 주 5일(매일 8시간 근무), 4대 보험, 중식 제공 ❖주요 건의사항 : 항공료 및 숙박비 지원, 유통센터별 숙소여건 사전 공유 등 |
붙임 |
|
(도시농부)충북-제주 농촌 일자리 상생 추진상황 |
◇ 우수 도시농부에게 겨울철 일자리를 제공하고 제주도의 농촌일손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충북-제주 농촌 일자리 상생방안 모색 |
개 요
❍ 기 간 : ’24. 11월 ~ ’25. 2월
❍ 규 모 : (’24. 11월)11개 센터 / 38명(남 17, 여 21)
→ (’25. 3월)1개 센터 / 2명(남 2)
❍ 주요내용 : 감귤 선별, 세척, 포장 등
❍ 근무여건 : 주5일․ 매일8시간 근무, 4대 보험, 중식 제공
- 감귤농협-근로자 간 근로계약 체결 및 근무 / 근무일은 개인별 결정
- 시급제(최저시급 이상), 주휴수당, 시간외수당, 휴일근로수당 등 지급
- 숙소, 비행기표 및 제주도 내 이동수단 등은 도시농부가 자율적 준비
추진상황
❍ (시범사업)제주 위미농협 감귤선별 지원 : ’23.11. ~ ’24.2. / 6명
❍ 제주-충북 농촌일자리 상생 방안 관계기관 간담회 : ’24.6.3.
- 겨울철 제주-충북 농촌일자리 상생 방안 협의 및 현장확인
❍ 겨울철 제주 감귤 일자리 상생 참여자 모집 : ’24.7. ~ ’24.9. / 45명
- 공고 → 권역별 설명회 → 신청 → 면접 → 확정 및 근무지 배정
❍ 도시농부 제주 감귤 유통센터 인력 지원 : 38명(남 17, 여 21)
- 38명 근무 시작 → (2월말까지)36명 근무 종료 → (3월현재)2명 근무 중
※ 이번 겨율 감귤 작황 부진으로 인해 도시농부 근무 조기 종료 다수 발생
향후계획
❍ 충북-제주 일자리 상생 지속방안 실무협의 : 6월
❍ 감귤 유통센터별 수요조사, 일자리 참여 도시농부 모집 : 9월
충북도,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 사업제안서 제출
- 충북도,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등 3개 사업 제출 -
- 民軍 복합공항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증가하는 이용객 수용이 목표 -
- 올해 11월 말까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과업 수행, 12월 국토교통부 고시 계획 -
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등 3개 사업에 대하여 국토교통부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 반영을 위한 사업제안서를 한국교통연구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 이하,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며, 공항 개발사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추진과 향후 공항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국토교통부는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을 올해 12월 고시를 목표로 추진 중이며,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 ‘청주국제공항 공항시설 확충 사업’, ‘청주국제공항 권역(위계) 변경’ 등 3가지 사업을 제안했다.
첫 번째,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은 지난 2023년 8월 김영환 도지사의 성명서 발표를 시점으로 시작된 사업으로 민선 8기 도정 중점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청주국제공항은 민군 복합공항(청주기지)으로서 민군 공용활주로를 사용 중이며, 민간항공기가 시간당 이착륙할 수 있는 슬롯이 7~8회로 제한되어 있다. 인천공항 75회, 김포공항 41회, 김해공항 18~26회, 제주공항 35회 등에 비해 현저히 적다.
반면, 청주국제공항 이용객은 연평균 12.1%씩 증가해 왔으며, 2024년에는 약 458만 명이 이용해 전년 대비 24%가 증가하는 등 이용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이용객을 수용하고, 장래의 항공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이다.
두 번째, ‘청주국제공항 공항시설 확충 사업’은 지금까지 지속 추진되어 오던 사업으로서 2040년 대비 공항 시설용량을 확대하여 시설 혼잡도를 완화하고, 이용객 편의를 확대하기 위한 사업이다.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과 더불어 효율적인 공항 운영을 위한 사업으로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 국내선 여객터미널 확장, 제2 주차빌딩 신축, 주기장 확충 사업 등이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활주로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활주로 재포장, 활주로 운영 등급 상향(CATⅠ→CATⅡ), 활주로 길이 연장 검토 등의 사업도 포함됐다.
마지막으로 ‘청주국제공항 권역(위계) 변경’은 충청권‧경기권을 아우르는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 청주국제공항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현재 인천‧김포‧청주가 같은 중부권역에 포함되어 있어 수도권(인천‧김포) 공항에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집중된 상황이다. 청주국제공항이 지난 2016년에 이미 지정된 ‘인천국제공항 F급 항공기 교체공항’ 기능을 강화하고, 수도권 대체공항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충청 지역 정치권 및 지역 각계에서는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에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반영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2023년 8월 충북도지사 성명서 발표에 이어서 청주공항 민‧관‧정 공동위원회, 충청권 국회의원,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충청광역연합의회, 충청북도의회, 청주시의회, 충청권 4개 시‧도 행정협의회, 충북경제단체협의회, 충북경제포럼 등에서도 대정부 성명 및 건의가 지속되고 있다.
김영환 지사는 “이번 제안 사업은 민군(民軍) 복합공항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공항 활성화를 통한 지역 발전 및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그 의미가 크다”면서, “앞으로 청주국제공항 민‧관‧정 공동위원회를 중심으로 100만명 서명운동, 대정부 건의 및 결의대회, 토론회 등으로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26.~ 30.)」에 제안 사업이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충청북도는 지난 2월 송재봉 국회의원 등 29명이 공동발의 한 「청주공항 특별법」의 연내 제정 추진도 병행하고 있다.
붙임1 |
|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충청북도 사업제안(요약) |
순위 |
사 업 명 |
주 요 내 용 |
|
1 |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 |
‧민군 복합공항의 민간항공기 슬롯 제한 ‧증가하는 이용객을 수용하고,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1본 건설 |
|
2 |
(2-1) |
‧청주국제공항 국제선 여객터미널 확장 |
‧2024년 시설용량의 97% 활용하여 터미널 혼잡 발생 ‧터미널 혼잡을 완화하고, 증가하는 이용객 수용 및 2040년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300만명 규모로 확장 |
(2-2) |
‧청주국제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 확장 |
‧2022~2024년 지속 시설용량 초과 ‧터미널 혼잡을 완화하고, 증가하는 이용객 수용 및 2040년 장래 항공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338만명 규모로 확장 |
|
(2-3) |
‧청주국제공항 제2 주차빌딩 신축 |
‧주차장 상시 부족으로 혼잡 발생 ‧주차장 혼잡 완화 및 이용객 불편 해소를 위하여 2,900면* 규모로 주차빌딩 신축 * 순증 2,000천면 |
|
(2-4) |
‧청주국제공항 주기장 확충 |
‧주기장 부족에 따라 혼잡 발생 ‧주기장 혼잡 완화 및 항공사 취항 확대를 위하여 주기장 4개소 확충 |
|
(2-5) |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재포장 및 운영등급 상향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길이 연장 |
‧활주로 안전성 확보를 위한 활주로 재포장 및 운영등급 상향 추진, 길이 연장 검토 등 |
|
3 |
‧청주국제공항 권역(위계) 변경 |
‧인천공항‧김포공항은 수도권 공항으로 조정하고, 청주공항만을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권역 조정하여 청주공항의 위상 강화 |
붙임2 |
|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사업카드) |
위 치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청주국제공항 사업기간 : 2025~2035년 사 업 량 : 활주로 신설 1본(3,200m×45m), 평행유도로(3,200m×23m) 등 총사업비 : 약 1조 5,313억원 ※ 충북도 자체 연구용역 완료( 24.3.~ 25.3.) |
□ 필 요 성
軍 공항 활주로 사용으로 민간항공기 슬롯 제한(시간당 7~8회)
❍ 활주로 연간용량은 141,000회이며, 이 중 민간공항에 46.4%(65,400회) 배정, 軍 공항이 53.6%(75,600회) 사용 中 ※ F-35A, 軍 작전 등 민항에 추가 슬롯 배정 어려움
❍ F-35A 배치에 따른 전술작전훈련 중요성 증대, 민항 슬롯 위축
❍ 공항운영 주요시간대인 08시~20시(12시간) 슬롯 활용률*은 67.5%로 높은 상황
※ 인천 82.5%, 김포 53.1%, 김해 73.8%, 제주 88.3%, 대구 46.9%
청주공항 이용객 지속 증가
❍ 24년 458만명(국내선 311, 국제선 147) 이용, 25년 500만명 초과 예상
❍ 장래 항공수요(슬롯) 예측* 결과, 35년에는 약 590만명(17회), 65년에는 1,180만명(28회) 필요 * 충청북도, 「청주국제공항개발 종합계획 수립용역」 결과
❍ 청주공항을 중심으로 수도권‧충청권의 도로‧철도 교통망 재편 中
철도망 : 충청권 광역급행철도, CTX( 34년 준공, 5조원), 동탄~청주공항 광역철도( 34년 준공, 2.3조원),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29년 준공, 0.5조원), 충북선 고속화( 31년 준공, 1.9조원) 등 도로망 : 중부고속도로(남이~호법) 확장( 31년 준공, 1.6조원), 영동~오창 고속도로( 31년 준공, 1.6조원), 행복도시~청주공항 연결도로( 29년 준공, 0.2조원), 오창~괴산(동서 5축) 고속도로( 33년 준공, 2.6조원) 등 |
국가안보를 위해 45년간 軍공항 피해를 감내해 온 충북도민에 보상 필요
- 충북 내 전투비행단 2개소(청주17전비, 충주19전비) 배치, F-35A 운용 등 지역발전 저해
청주공항은 인천공항의 국가적 대체공항 역할 가능
- 국토의 중심, 서울‧경기권에 인접하여 전 국민 접근 편리
※ 공항 이용권역 내 약 1,400만명 거주
- 남북 군사 상황에 따라 인천공항의 국가적 물류‧여객 차질 발생
북한 대남 오물풍선으로 인천‧김포 공항 중단 : 24. 5.28. ~ 9.23. - 총 20차례, 413분 중단, 항공기 133대 및 승객 1.8만명 피해 발생 - 청주공항으로 회항(6.26일 / 미국 밴쿠버, 샌프란시스코, LA → 인천행 회항, 999명 피해) |
□ 추진현황
❍ 충북도지사 성명서 발표( 23.8.), 도시의회 성명서 발표( 23.9.), 민‧관‧정 위원회 발족( 23.12.)
❍ 충북도, 「청주국제공항개발 종합계획 수립용역」 완료 : 24.3.~ 25.3.
❍ 국토부,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수립 연구」 추진 中 : 24.5.~ 25.11.
❍ 충북도의회 청주공항 특위 구성( 24.9.), 충청권 4개 시도 행정협의회 공동성명( 24.10.)
❍ 국회 기자회견( 24.11.),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장 정부 건의( 24.11.)
❍ 민관정 위원회 도민 결의대회( 24.12.), 충북도의회 대정부 건의( 25.01.)
❍ 국회토론회 개최( 25.02.), 청주공항 특별법안 발의( 25.02.)
❍ 충청광역연합의회 정부 건의( 25.02.), 청주시의회 정부 건의( 25.02.)
❍ (충청권더불어민주당국회의원 23명)충대세민주포럼 청주공항 방문 결의( 25.03.)
❍ 충북경제단체협의회 결의대회( 25.03.), 충북경제포럼 결의대회( 25.03.)
❍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국회 전시회( 25.03.)
□ 향후계획
❍ 청주공항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 100만인 서명운동, 토론회 : 25.4월~
※ 충청권 항공대학 공동성명, 충청권 시도지사 공동 건의, 충북 시장‧군수 협의회 성명, 경제단체 공동성명 및 결의대회, 충북 도민회 성명 발표, 대정부 건의 등 총력 추진
❍ 민관정 공동위원회 및 각계 단체 공동성명 발표, 결의대회 : 25.4월~
❍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 반영(25.12월), 청주공항 특별법안 제정(연내)
□ 기대효과
❍ 軍 공항과 독립된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에 따라 증가하는 이용객 수용 및 항공기 취항 확대를 통해 중부권 거점공항, 행정수도 관문공항 및 수도권 대체공항으로 역할 확대
❍ 청주공항 활성화 및 역할 확대에 따라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산업‧관광 등 활성화 및 국가균형발전 도모
참고1 |
|
2024년~2025년 청주국제공항 여객운항 현황 |
□ 여객 및 운항 실적 (단위 : 명, %)
구 분 |
24년 누적 실적 |
25년 누적 실적 |
|||||
’23년 1.~12. |
’24년 1.~12. |
증감(%) |
’24년 1~2월 |
’25년 1~2월 |
증감(%) |
||
여객수 |
계 |
3,695,996 |
4,579,221 |
⇧23.90 |
780,768 |
628,657 |
△19.5 |
국내 |
3,173,779 |
3,110,715 |
△1.99 |
519,540 |
357,297 |
△31.2 |
|
국제 |
522,217 |
1,468,506 |
⇧181.21 |
261,228 |
271,360 |
⇧3.9 |
□ 이용객 증가 현황
➠3년 연속 최다이용객 기록 경신 : ‘22년(317만명) → ’23년(370만명) → ’24년(458만명) ➠‘23년도 여객회복률 1위 달성 : 청주(122%) ※전국평균(84%) (코로나19 이전대비) ➠개항이래 최초 국제선 이용객 100만명 돌파(‘24.9.2.) ➠개항이래 최초 전체 이용객 400만명 돌파(‘24.11.8.) ➠’24년 연간 이용객 458만명(역대최고 경신) ※국제(147만), 국내(311만) |
□ 지역별 이용객 현황
※ 청주공항 이용현황 |
참고2 |
|
2025년 청주국제공항 노선 현황(2025.3월기준) |
국제 누적 |
취항누적(6개국18개노선) / 현재 운항중(5개국11개노선) / 예정확정(5개국18개노선) |
국제 정기 |
취항누적(5개국11개노선) / 현재 운항중(5개국11개노선) / 예정확정(5개국13개노선) |
국가 |
도시명 |
주당 운항 횟수 |
운항기간 |
항공사 |
비고 |
일본(10) |
오사카 |
주 7회(매일) 09:55 |
‘23. 6월~현재 |
티웨이 |
운항중 |
주 14회(매일2회) 08:15/15:50 |
‘23. 7월~현재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후쿠오카 |
주 7회(매일) 17:05/15:55 |
‘23. 11월~현재 |
티웨이 |
운항중 |
|
주 7회(매일) 06:35 |
‘25. 5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도 쿄 |
주 14회(매일) 09:45/15:50 |
‘23. 8월~현재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삿포로 |
주 7회(매일) 07:50 |
‘24. 11.28.~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나고야 |
주 4회(월‧수‧금‧일) 13:40 |
‘24. 01.31.~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이바라키 |
주 3회(화‧목‧토) 14:00 |
‘25. 4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오비히로 |
주 3회(월‧수‧금) 14:00 |
‘25. 6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기타큐슈 |
주 4회(화‧목‧토‧일) 13:35 |
‘25. 6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히로시마 |
주 3회(월‧수‧금) 13:35 |
‘25. 6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대만(1) |
타이베이 |
주 7회(매일) 08:45 |
‘23. 9월~현재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주 7회(매일) 23:50 |
‘23.12월~‘25.2월 |
이스타 |
운항종료 |
||
필리핀(1) |
클 락 |
주 2회(화‧토) 23:15 |
‘23. 11월~현재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베트남(2) |
나트랑 |
주 7회(매일) 21:10 |
‘23. 6월~현재 |
티웨이 |
운항중 |
다 낭 |
주 4회(수‧목‧토‧일) 20:50 |
‘23. 1월~현재 |
티웨이 |
운항중 |
|
주 4회(화‧수‧금‧토) 20:05 |
‘24. 2월~현재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중국(5) |
옌 지 |
주 3회(월‧수‧금) 15:30 |
‘23. 7월~현재 |
티웨이 |
운항중 |
주 3회(월‧목‧토) 13:35 |
‘25. 7월 ~ |
이스타 |
운항예정(확정) |
||
장자제 |
주 2회(수‧토) 18:50 |
‘25.2.23.~3.29. |
사천항공 |
운항중 |
|
주 2회(수‧토) 15:55/17:15 |
‘25.2월 ~ |
룽에서 |
운항중 |
||
주 4회(월‧화‧목‧토) 11:30 |
‘25.4월. ~ |
이스타 |
운항예정(확정) |
||
상하이 |
주 3회(수‧금‧일) 23:30 |
‘25.4월 ~ |
이스타 |
운항예정(확정) |
|
칭다오 |
주 3회(미정) |
‘25.4월 ~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정저우 |
주 2회(수‧토) 23:45 |
‘25.4월 ~ |
진에어 |
운항예정(확정) |
|
몽골(1) |
울란바토르 |
주 4회(월‧수‧금‧일) 21:35 |
‘25.4월 ~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주 2회(화‧토) 20:20 |
‘25.4월 ~ |
티웨이 |
운항예정(확정) |
||
인도네시아(1) |
발리 |
주 2회(목‧일) 17:15 |
‘25.5월 ~ |
티웨이 |
운항예정(확정) |
홍콩(1) |
홍콩 |
주 4회(화‧목‧토‧일) 07:30 |
‘25.6월 ~ |
홍콩익스프레스 |
운항예정(확정) |
국 제 부정기 |
취항누적(5개국7개노선) / 현재 운항중(0개국0개노선) / 예정확정(1개국 8개노선) *취항노선 중 정기노선과 중복노선은 취항실적에서 제외 |
국가 |
도시명 |
주당 횟수 |
운항기간 |
항공사 |
비고 |
일본 |
이바라키 |
주3회(화,목,토) |
‘24.12.3.~’25.3.4.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오비히로 |
주 3회(목,일) |
‘25.1.25.~2.11.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하나마키 |
총 2회 |
‘25.3.20.~3.23.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
베트남 |
하노이 |
총 14회 |
‘25.1.4.~2.25. |
비엣젯항공 |
운항중 |
대만 |
펑후 |
주 3회 |
‘25.1.3.~1.12. |
에어로케이 |
운항완료 |
중국 |
구이양 |
주2회(수,토) |
‘25.2.1.~3.29. |
에어로케이 |
운항중 |
오르도스 |
미정 |
7~9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청두 |
미정 |
9~11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쿤밍 |
미정 |
6~8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황산 |
미정 |
6~8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쉬저우 |
미정 |
7~9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창저우 |
미정 |
7~9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난창 |
미정 |
7~9월 |
에어로케이 |
운항예정(확정) |
|
이창 |
미정 |
5~6월, 9~10월 |
이스타항공 |
운항예정(확정) |
|
캄보디아 |
프놈펜 |
총 5회 |
‘25.1.3.~1.19. |
스카이앙코르 |
운항완료 |
※ 2024년 취항 실적 : 총 8개국 26개 노선 ‣ 중 국(8) : 옌지, 상하이, 장자제, 타이유안, 정저우, 하얼빈, 선양, 오르도스 ‣ 일 본(7) : 오사카, 후쿠오카, 도쿄, 삿포로, 모리오카, 오비히로, 이바라키 ‣ 베트남(4) : 나트랑, 다낭, 푸꾸옥, 하노이 / ‣ 필리핀(3) : 클락, 마닐라, 세부 ‣ 대만(타이베이), 태국(방콕), 몽골(울란바토르), 라오스(비엔티안) |
※ 국내선(제주) : 매일 24회 ~ 26회
공항명 |
운항회수 (출발시간) |
운항기간 (하계시즌 기준) |
운항기종 (좌석수) |
비고 |
|
제주 |
매일 4회 |
‘25.3.30.~10.25. |
B737-800 (189석) |
정기 |
진에어 |
제주 |
매일 3회 |
‘25.3.30.~10.29. |
A320-200 (180석) |
정기 |
에어로케이 |
제주 |
매일 3회 |
‘25.3.30.~10.25. |
B737-800 (189석) |
정기 |
이스타 |
제주 |
매일 4회 |
‘25.3.30.~10.25. |
B737-800 (189석) |
정기 |
제주항공 |
제주 |
매일 3회 |
‘25.3.30.~10.25. |
A321-200 (174석) |
정기 |
아시아나 |
제주 |
매일 3~5회 |
‘25.3.30.~10.25. |
B737-800 / B737-8 (189석) |
정기 |
티웨이 |
제주 |
매일 4회 |
‘25.3.30.~10.25. |
A220-300 (140석) |
정기 |
대한항공 |
참고3 |
|
「중부권 거점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지원에 관한 특별법안」 (약칭 : 청주공항 특별법) |
□ 구 성 : 34개 조항 ※ 기존 특별법 참고, 현실성 있는 내용 구성
□ 주요내용
제1조 (목적) |
⇨ |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추진 |
|
|
|
제2조 (정의) |
⇨ |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 군비행장과 분리되어 민간항공기가 전용하는 활주로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사업 : 민간전용 활주로 및 터미널‧계류장 등 공항기반시설 건설, 여객‧화물 수송에 필요한 철도‧도로 등의 건설, 활주로 건설에 따른 이주자 지원대책 등 |
|
|
|
제4조 (국가‧지자체 책무) |
⇨ |
사업의 효율적‧성공적 추진을 위한 상호 협력 |
|
|
|
제7조 (예타 특례) |
⇨ |
신속‧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하여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
|
|
|
제8조 (건설사업의 시행자) |
⇨ |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자 |
|
|
|
제10조 (인가‧허가 등의 의제) |
⇨ |
행정절차의 일괄처리를 위한 건설기술심의위원회의 심의 등 29개 항목 |
|
|
|
제11조 (주변개발지역 지정) |
⇨ |
건설예정지역 주변 10km 범위, 주변개발예정지역 지정 ※ 기반시설 설치‧개량, 도시 개발‧정비 및 물류 활성화 사업 등 (국토교통부 장관 시행 및 지원) |
|
|
|
제12조 (건설 주변지역 지원) |
⇨ |
이주자의 생계지원 및 이주정착 또는 생활안정 지원 공항 소음대책, 개발특구 지정(관광특구, 경제자유구역 등) 등 |
|
|
|
제13~14조 (건설추진단 등) |
⇨ |
국토교통부, “민간전용 활주로 건설추진단” 조직 국토교통부, 국방부‧공항공사‧지자체 등 “협의기구” 조직 |
|
|
|
제15~18조 (재정지원, 민자유치) |
⇨ |
국가 재정지원, 민간자본 유치 및 지원 ※ 개발사업자의 수익성 보장을 위해 주변 개발 사업권 부여 (관광‧도시‧산업단지‧택지 등 개발) |
|
|
|
제19~23조 (기타 특례) |
⇨ |
지역민 우선 고용, 토지수용 특례, 산단조성 특례, 체육시설 특례 등 |
충북도, 이차전지산업 분야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선정
- 연구전문인력 양성 및 중견기업 기술혁신 역량 강화를 통해 이차전지 산업 캐즘 극복 계기 마련 -
충북도는 지자체 중심으로 지역 내 전문연구인력 양성 및 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충청북도, 충주시가 지원하고 한국교통대학교 주관으로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가 참여하여 ‘중견기업 혁신연구실’을 대학 내 구축하고 충북테크노파크와 연계하여 중견기업 수요 맞춤형 공동 R&D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차전지 소재․BMS․모듈․팩․재사용․재활용 분야에 최적화된 석․박사급 연구 인력도 양성하게 된다.
아울러 얼라이언스 참여 주체 간 상생협약 체결을 기반으로 지․산․학․연 운영위원회를 구축․운영하고 성과교류회, 기술교류회, 세미나 등의 개최를 통해 소통 채널도 활성화하게 된다.
'25년부터 '29년까지 5년간 국비 최대 45억 원, 지방비 8.4억 원을 지원받는 이번 사업은 참여기업-대학(학생) 간 채용확약이 필수사항으로 기업의 인력난 해소와 동시에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정주율 제고 등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미경 충북도 산업육성과장은 “충청북도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있으며, 이번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을 통해 대학‧기업의 인력 수요-공급 간 미스매칭을 해소하고 중견기업의 R&D 역량강화와 고급인력 확보를 통해 충청북도 이차전지 산업이 캐즘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말했다.
- 이차전지산업 분야 -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공모신청 계획
◇ 지자체 중심으로 지역 내 전문연구인력 양성 및 선순환, 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중견기업-지역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공모신청 계획임 ※ 사업공고(1. 20.), 사업계획서 제출(3. 7.까지), 평가 및 결과발표(3월~4월) |
Ⅰ |
|
공모개요 및 필요성 |
□ 공모개요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25-37호 '25. 1. 20.)
ㅇ (사 업 명) :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ㅇ (사업기간) : ’25. 4. ~ ’29. 12. (5년 이내)
ㅇ (지원규모) : 2개 과제(1개 과제당 총 국비 42억 정도 지원)
ㅇ (지원내용) : 중견기업 수요 맞춤형 공동 R&D(교수ˑ학생ˑ지역혁신기관 참여), 공동 R&D기반 석박사 과정 운영 지원, 중견기업 수요 중심 지역혁신 얼라이언스 구축 및 운영(네트워킹 등)
ㅇ (신청자격) : 주관기관 대학 공동연구개발기관 중견기업, 지역혁신기관 등
ㅇ (필수사항) : ① 참여 주체 간 상생협약 체결 ② 2개 이상 중견기업 참여 ③ 지방비 매칭(총 국비의 20%) ④ 기업-학생 간 채용확약
□ 필요성
ㅇ 충북은 전국 최초 이차전지 분야「소부장 특화단지」,「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동시 지정 지자체이나,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양질의 인력 공급이 감소할 전망으로 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음
ㅇ 그리고 우리도 이차전지산업이 전기차 캐즘을 극복하고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중견기업의 R&D 역량 강화와 연구인력 인재 확보는 필수
ㅇ 또한, 충추시 소재 한국교통대의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공모선정 지원을 통해 우리도 이차전지산업의 균형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청년 일자리 창출과 지역 정주율 제고 등 선순환 생태계 조성
|
Ⅱ |
|
공모신청(안) |
ㅇ (사 업 명) : 중견기업-지역 혁신 얼라이언스 지원사업
ㅇ (사업기간) : ’25. 4. ~ ’29. 12. (5년 이내)
ㅇ (사업위치) : 충북 충주시 대학로 50 한국교통대학교
ㅇ (총사업비) : 54억원 정도[국비 42, 도비 2.52, 시비 5.88, 기타(대학, 기업) 3.658]
ㅇ (신청기관) : 주관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동연구개발기관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충북테크노파크, 참여지자체충청북도, 충주시
ㅇ (사업내용)
- (공동 R&D) 기업-대학-혁신기관이 함께 참여기업 수요 맞춤 공동R&D 수행(참여기업 이차전지 개발 소재 상용화 연구 등), 주관 대학 내 「중견기업 혁신연구실」 구축 등
- (전문인력양성) 지역혁신기관(충북테크노파크, KETI 등)과 연계하여 참여기업 수요에(소재․BMS․모듈․팩․재사용․재활용) 최적화된 연구인력 인재양성* 및 지역 정주 취업연계, 주관 대학 내 「이차전지 교육 센터」 설립 및 운영 등
* 공동 R&D 과제와 연계된 PBL(Project Based Learning) 기반 현장실무형 고급연구인력 양성
- (얼라이언스 구축 및 운영) 이차전지 중견기업 대상으로 지․산․학․연 운영위원회 구축 및 소통 채널 활성화(성과교류회, 기술교류회, 세미나 개최 등), 참여중견기업혁신연구실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등
* 각 기관들의 연구성과 및 최신연구 동향 등을 상시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참여기관 오픈형 홈페이지
Ⅲ |
|
세부내용 |
□ 주요 사업내용
ㅇ (공동 R&D) 기업-대학-혁신기관이 함께 참여기업 수요 맞춤 공동R&D 수행(참여기업 이차전지 개발 소재 상용화 연구 등), 주관 대학 내 「중견기업 혁신연구실」 구축
- 중견기업 혁신연구실 구축 및 운영으로 참여기업 수요 맞춤 산․학․연 공동R&D 수행
- R&D 성과를 통한 기술사업화 및 시장 출시로 참여기업 매출(100억원 이상) 및 고용 증대(36명)
|
① 코스모신소재 중견기업 혁신연구실(안) |
|
|
|
|
• (과 제 명)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및 전지급 소재 기술개발 • (과제목표)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양산화 공정 개발 및 회수된 유가금속의 소재화 • (과제내용) 선택적 리튬 회수 기술개발, 리튬회수 잔사로부터 유가금속 침출공정 개발, 전지급 코발트 / 니켈 / 망간 회수기술 개발 |
|
② 파워로직스 중견기업 혁신연구실(안) |
|
|
|
|
• (과 제 명) 고용량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수용성 바인더 개발 • (과제목표) 실리콘 음극용 수용성 폴리아믹산 바인더 개발 • (과제내용) 폴리아믹산(PAmA) 바인더 구조와 전극 특성간의 상관관계 규명, 수용성 폴리아믹산(PAmA) 바인더 및 모노머의 공정기술 개발, 수용성 폴리아믹산(PAmA) 및 모노머 제조공정의 경제성 분석 |
<공동연구개발 로드맵(안)>
ㅇ (전문인력양성) 지역혁신기관(충북테크노파크, KETI 등)과 연계해 참여기업 수요에(소재․BMS․모듈․팩․재사용․재활용) 최적화된 연구인력 인재양성
- 대학-기업-혁신기관과 연계한 석․박사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
- 재직자 인력양성을 위한 학위/비학위 과정 교육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
- 대학 내 이차전지 인력양성을 총괄할 「이차전지 교육 센터」 설립 및 운영
-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기술개발 전문인력양성 사업」의 이차전지 융합전공(배터리 특성 고도화)과 연계한 참여학생 선발
<성과목표(안)>
성과지표명 |
단위 |
목표 |
계 |
||||||
’25 |
’26 |
’27 |
’28 |
’29 |
|||||
전문인력양성 |
PBL 과제 수행 |
건 |
3 |
4 |
5 |
6 |
6 |
24 |
|
- PBL 참여 석․박사 인원수 |
명 |
4 |
8 |
10 |
10 |
8 |
40 |
||
교육과정 |
개발 |
건 |
- |
1 |
1 |
1 |
1 |
4 |
|
개선 |
건 |
1 |
1 |
1 |
1 |
1 |
5 |
||
석․박사 수혜 인원수 |
신규 |
명 |
4 |
8 |
10 |
10 |
8 |
40 |
|
재직자 |
명 |
- |
- |
기업수요에 따라 변동가능 |
미정 |
||||
석․박사 배출 인원수 |
신규 |
명 |
- |
4 |
4 |
5 |
5 |
18 |
|
재직자 |
명 |
- |
- |
기업수요에 따라 변동가능 |
미정 |
||||
석․박사 취업 인원수 |
신규 |
명 |
- |
4 |
4 |
5 |
5 |
18 |
|
해당 중견기업에 취업한 인원수 |
명 |
- |
1 |
2 |
3 |
4 |
10 |
||
만족도 조사 |
중견기업 |
% |
80 |
85 |
85 |
85 |
85 |
- |
|
대학 |
% |
80 |
85 |
85 |
85 |
85 |
- |
||
참여학생 |
% |
80 |
85 |
85 |
85 |
85 |
- |
<교육운영 교과목(안)>
순번 |
구분 |
과목명 |
개선 및 개발 방안 |
1 |
개선 |
이차전지개론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연계 개선) |
기존의 ‘전기화학특론’을 개선하여 개설예정. 이차전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에 더하여 배터리 특성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을 보완하여 수업예정,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전극, 전기반응, 전기분해, 전극계면반응, 전해질’ 등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2 |
개선 |
전지화학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연계 개선) |
기존의 ‘물리화학특론’을 개선하여 개설예정. 배터리 특성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의 기본 지식을 보완하여 강의할 예정,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 물 및 폐수처리와 대기오염제어에 필요한 기체, 액체, 고체의 성질, 열역학의 기본개념 등 물리화학의 기초적인 제 법칙과 현상, 물질의 구조, 반응속도론’ 등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3 |
개선 |
전력변환특론 (파워로직스 연계 개선) |
기존의 ‘전력변환특론’를 개선하여 개설예정. 배터리 고도화시 필요한 전력 변환 회로의 최신 기술을 개선·보완 하여 구성할 예정.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최신 배터리 관련 전력변환 회로에 대한 다양한 이론’ 관련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4 |
개선 |
에너지캡스톤 디자인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연계 개선) |
기존의 ‘에너지캡스톤디자인’을 개선하여 개설예정. 배터리 특성 고도화 관련 참여학생들이 기업수요를 받아 진행중인 캡스톤디자인 내용 관련하여, 문제의 정의, 해결방안 도출, 시사점 등 캡스톤디장인 수행에 필요한 기초적인 지식의 기본 지식을 보완하여 강의할 예정,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 학생들의 산학프로젝트 관련 내용 숙지 및 결과 도출’ 등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5 |
개선 |
이차전지특론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연계 개선) |
기존의 ‘전기화학특론’ 과목을 개선하여 개설예정(이차전지개선 과목과는 다른 내용임). 최근 하이니켈계 양극 물질 중심으로 다활용법 등 최신 고난도 내용들로 개선·보완하여 강의할 예정. 직무능력검사 결과 중요한 능력을 판단된 ‘하이니켈 양극소재 사용 배터리’ 관련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6 |
개발 |
이차전지 BMS 특론 (파워로직스 연계 개발) |
새롭게 개설할 과목임. 산업체 의견을 반영하여 배터리 고도화에서 필요한 필수 공정에 관련된 지식을 제공할 예정으로 있음.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배터리, BMS, 전력변환장치 등’ 관련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7 |
개발 |
이차전지 양극소재 특론 (코스모신소재 연계 개발) |
새롭게 개설할 과목임. 산업체 의견을 반영하여 배터리 고도화에서 필요한 필수 공정에 관련된 지식을 제공할 예정으로 있음.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배터리 최신 양극소재에 대한 다양한 이론’ 관련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8 |
개발 |
전력변환회로 (파워로직스 연계 개발) |
새롭게 개설할 과목임. 산업체 의견을 반영하여 배터리 고도화에서 필요한 필수 공정에 관련된 지식을 제공할 예정으로 있음. 직무능력 수요조사 결과 중요한 능력으로 판단된 ‘배터리 관련 전력변환 회로에 대한 다양한 이론’ 관련 기본 직무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9 |
개발 |
고급 전기화학 (코스모신소재, 파워로직스 연계 개발) |
새롭게 개설할 과목임. 배터리 고도화 공정에서 전해공정의 이론 및 실습이 중요내용으로 편성할 예정. 직무능력검사 결과 중요한 능력을 판단된 ‘전기화학 이해 및 계산’ 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
ㅇ (얼라이언스 구축 및 운영) 이차전지 중견기업 대상으로 지․산․학․연 운영위원회 구축 및 소통 채널 활성화, 참여중견기업 혁신연구실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등
- 이차전지 중견기업 대상으로 지․산․학․연 운영위원회 구축하여 소통 채널 활성화
- 성과교류회, 기술교류회, 세미나 개최하여 각 기관들의 원활한 교류 활성화
- 각 기관들의 연구성과 및 최신연구 동향 등을 상시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참여기관 대상 오픈형 홈페이지 운영
□ 사업추진체계
□ 투자계획(안)
(단위 : 억원)
재원별 |
총사업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2029년 |
계 |
53.968 |
7.768 |
11.55 |
11.55 |
11.55 |
11.55 |
국 비 |
42 |
6 |
9 |
9 |
9 |
9 |
도 비 |
2.52 |
0.36 |
0.54 |
0.54 |
0.54 |
0.54 |
시 비 |
5.88 |
0.84 |
1.26 |
1.26 |
1.26 |
1.26 |
기타(대학, 기업) |
3.568 |
0.568 |
0.75 |
0.75 |
0.75 |
0.75 |
※ 기타(대학, 기업) : 현물+현금
Ⅳ |
|
기대효과 |
ㅇ 이차전지산업 중견기업의 R&D역량 강화와 고급연구인력 인재 확보
→ 우리 도 이차전지산업 중견기업의 전기차 케즘 극복과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경쟁력 강화
ㅇ 우리 도 이차전지산업의 균형발전과 청년일자리 창출, 지역 정주율제고
→ 기업수요 맞춤형 전문인력양성-취업-지역정주 선순환 생태계 조성
Ⅴ |
|
향후계획 |
ㅇ 지자체 지원 확약서 발급(도, 충주시) : '25. 2. 21.까지
ㅇ 사업계획서 작성 및 공모 신청(교통대) : '25. 3. 7.까지
ㅇ 공모평가 및 결과발표 : '25. 3월 ~ 4월
ㅇ 1차년도 도비(0.36억원) 확보('25. 2회 추경) : '25. 상반기
충북도, ‘신종여성폭력예방 민관경 공동캠페인’ 실시
- 스토킹, 디지털 성폭력, 교제 폭력 등 -
충북도가 1일(화) 청주 무심천 일원에서 스토킹, 디지털 성폭력, 교제 폭력 등 신종여성폭력 예방을 위한 ‘민관경 공동캠페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날 캠페인은 최근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스토킹, 디지털성폭력, 교제폭력의 심각성을 알리고 경찰과 피해 지원기관들의 연대와 협력을 다지고자 마련됐다.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경찰서와 여성긴급전화 1366충북센터, 청주YWCA 여성종합상담소 등 20여 개의 여성폭력피해자 지원기관에서 50여 명이 참여해 신종여성폭력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홍보활동을 진행했다.
캠페인은 △신종여성폭력의 심각성 및 안전한 관계 설명 △피해 진단 체크리스트 제공 △피해자 지원기관 안내 △홍보물 배포 △피켓 및 현수막 홍보 등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한편, 충북도에서는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등 신종 성범죄에 대응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스토킹 예방 및 피해지원에 관한 조례」 및 「충청북도 디지털성범죄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조례」에 근거하여 민·관·경이 총력적으로 협력하는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스토킹 피해자 지원을 위하여 피해접수·상담, 심리검사, 사례 관리, 법률·의료비 지원, 임시숙소 지원 등 긴급 주거지원 사업 및 치료 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를 운영하여 상담, 삭제지원, 수사·법률·의료(심리상담치료 등) 지원 연계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오경숙 도 양성평등가족정책관은 “이번 행사를 통해 신종여성폭력에 대한 사회적인 경각심을 일깨우고 각종 폭력 예방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길 바란다”며, “민·관·경 협업 강화로 스토킹·디지털 성범죄 등 신종 성범죄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피해자 지원에도 적극적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스토킹, 디지털성폭력, 교제폭력 등 신종여성폭력 상담 -
여성긴급전화 1366센터, 청주YWCA 종합상담소 267-3006
|
충청북도 신종여성폭력예방 공동캠페인 계획(안) |
|
Ⅰ |
|
근 거 |
□ 충청북도 스토킹 예방 및 피해지원에 관한 조례 제5조
□ 충청북도 디지털성범죄 방지 및 피해자 지원 조례 제7조
Ⅱ |
|
행사개요 |
□ 일시: 2025. 4. 1.(화), 11:30 ~ 12:30
□ 장소: 무심천 일대(롤러스케이트장 집결)
□ 참석: 충청북도, 청주시, 경찰서, 도내 여성폭력피해지원시설 종사자 등 50여명
□ 캠페인 내용 : 신종 여성폭력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 제고를 위한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폭력 근절 예방 홍보활동
□ 세부일정
구 분 |
시 간 |
내 용 |
비 고 |
집결 |
11:30 |
∎롤러스케이트장 집결 및 준비 |
|
소개 |
11:40~11:50 |
∎참여기관 소개 |
|
안내 |
11:50~12:00 |
∎행사 취지 및 캠페인 방법 안내 |
|
촬영 |
12:00~12:05 |
∎단체사진 촬영 |
|
캠페인 |
12:05~12:30 |
∎무심천 일대에서 캠페인 행사 |
|
해산 |
12:30 |
∎정리 후 해산 |
|
※ 참여기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경찰서, 여성긴급전화1366충북센터(스토킹피해자긴급주거지원), 청주YWCA여성종합상담소(스토킹 피해자 치료회복프로그램, 디지털 성범죄 특화상담소), 사)충북여성인권부설상담소 늘봄, 사)충북여성인권부설상담소 해봄, 사)충북여성인권부설상담소 다시봄, 사)청주여성의전화 부설 쉼터 가이아, 사)청주여성의전화, 사)청주여성의전화 부설 청주성폭력상담소, 청주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청주행복의집, 충북해바라기센터, 청주가정법률상담소부설 가정폭력상담소, 충북이주여성상담소 등
충북농기원, 곤충산업 발전 위한 간담회 개최
- 곤충산업, 협력으로 도약... 충북 11개 시군이 한자리에 -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는 지난 3월 31일 도내 11개 시군 곤충사업 관계자 등 22명이 참여한 가운데, 충북도 곤충산업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고 협력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현재 충북의 곤충산업은 농가 수가 2023년 기준 300개소로 매년 10%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국 농가 대비 10% 규모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곤충 농가들이 판매할 곳을 찾기 어렵거나 규모가 작아, 곤충 농가로 등록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운영하지 않는 곳도 많은 실정이다.
또한 곤충 사육에 관심이 있는 농가들이 창업 요건이나 사육 설비 등에 대해 시군 담당자를 찾아가도 정확한 설명을 듣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시군의 고충을 청취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함께 찾기 위해 이번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간담회에서는 충북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곤충산업의 목표와 사업 추진 내역을 설명하고, 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연구 결과도 공유했다. 또한, 각 시군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청취하고 함께 해결책을 도출했다.
도 농업기술원 박계원 곤충연구소장은 “곤충산업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는 뜻깊은 자리였으며,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 개발과 정책 제안 등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곤충산업 시·군 담당자 간담회 개최 계획
곤충산업의 현 상황을 파악하고, 시군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곤충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 |
개 요
❍ 일 시 : 2025년 3. 31.(월) 14:00~16:00
❍ 장 소 : 곤충연구소 교육실
❍ 대 상 자 : 22명/ 시·군(11명), 농업기술센터(11명)
❍ 주요내용
- 주요 곤충별 산업 및 연구 현황 소개
- 우리도 곤충분야 추진계획 공유 및 협조 사항 협의
- 시군 지역별 발생 이슈 및 해결방안 협의
진행 일정
시 간 |
주 요 내 용 |
비 고 |
|
14:00~14:05 |
5’ |
개회 및 참석자 소개 |
곤충연구팀장 |
14:05~14:10 |
5’ |
인사말씀 |
곤충연구소장 |
14:10~14:30 |
20’ |
충북 곤충산업육성 5개년 계획(‘25~’29) |
충북도청 축수산과 |
14:30~15:00 |
30’ |
산업곤충 연구 현황 시군 애로 및 협의 사항 |
곤충연구팀장 |
15:00~15:50 |
50‘ |
시군 현황 청취 및 토론 |
곤충연구소장 |
15:50~16:00 |
10’ |
폐회, 기념촬영 |
|
향후계획
도내 곤충농가 간담회 추진 : 2차 추진(11월)
※ 기타 문의: 충북농업기술원 곤충연구소 ☎5591, ☎5593
숲속 힐링, 마음을 정화하는 시간
- 충북산림환경연구소, ‘미동산, 힐링 숲체험’ 교육생 모집 -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이하 연구소)는 4월 1일부터 쉼이 필요하거나 자연 속 힐링에 관심 있는 도민을 대상으로 ‘미동산, 힐링 숲체험’ 교육생 20명을 선착순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교육생들이 숲의 맑은 공기와 자연의 소리로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찾는 특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미동산, 힐링 숲체험’은 4월 25일 미동산수목원 산림교육센터에서 진행되며, ‘산마늘 패스토 만들기’와 ‘야외 미술치유프로그램’ 등 오감을 활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교육프로그램 참가비는 무료이고, 교육 희망자는 미동산수목원 홈페이지(https://midongsan.chungbuk.go.kr)를 통해 교육을 신청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충북 산림환경연구소 산림교육팀(☏043-220-6173)으로 문의하면 된다.
이재국 산림환경연구소장은 “이번 교육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자연을 즐기고, 자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면서, “앞으로도 도민에게 쉼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다.”라고 말했다.
충북도, 사방사업 실무·안전교육 실시
- 안전사고 예방 및 발전방향 모색 -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이하 연구소)는 4월 1일 산림교육센터에서 올해 착공한 사방사업 시공자, 감리자 등 50여 명을 대상으로 사방사업의 품질향상을 위한 정보 공유 및 사업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사방사업 실무·안전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에서는 사방사업의 품질향상을 위한 시공·감리자의 역할 및 유의사항 등 현장 시공절차와 요령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건설안전지원센터 전문강사를 초빙하여 중대재해처벌법 및 사업장의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번 교육을 통해 사방사업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 예방하고, 단 한 건의 안전사고도 발생하지 않도록 무사고·무재해를 다짐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연구소는 금년도에 산사태 등 산림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장마철 이전까지 사업 완료를 목표로 산림유역관리 2개소, 사방댐 85개소, 계류보전 6개소를 추진할 계획이다.
충북도는 1974년부터 현재까지 사방댐 1,067개소, 계류보전 544개소, 산림유역관리 37개소의 사방시설을 조성하여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재국 산림환경연구소장은 “금번 교육을 통해 사방사업의 품질 향상을 위한 정보 공유 및 안전 시공 방안을 모색하는 귀한 시간이었다”면서, “올해도 단 한 건의 안전사고 없이 사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