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4일 보도자료 목록]
구분 |
제 목 (8건) |
자료 |
사진 |
영상 |
담당부서 |
행사 |
◎ (7. 14.월) 충북교육청,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개최 < 대입준비는 2026 대입 박람회에서 > |
○ |
○ |
○ |
중등교육과 |
진로진학팀 |
|||||
홍영은 |
|||||
043-290-2223 |
|||||
행사 |
◎ (7. 14.월) 충북교육청, NH농협은행 충북본부와 교육금고 약정 체결 < NH농협은행에서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년간 교육금고 업무 맡아 > |
× |
○ |
○ |
재정복지과 |
재산사학학운위 |
|||||
홍호길 |
|||||
043-290-2594 |
|||||
행사 |
◎ (7. 14.월) 충북교육청, 미리캔버스와 업무협약으로 에듀테크 활용 지원 강화 |
○ |
○ |
○ |
창의특수교육과 |
융합인재팀 |
|||||
김영국 |
|||||
043-290-2703 |
|||||
행사 |
◎ (7. 14.월) 국제교육원, 제천제일고에 특별한 교육과정 운영해 < 원어민 교사와 함게하는 감동교실 속 세계시민교육 > |
× |
○ |
× |
국제교육원 |
국제교육부 |
|||||
류효숙 |
|||||
043-756-8302 |
|||||
행사 |
◎ (7. 14.월) 진로교육원, 오늘은 나도 선생님! < 교육청 업무 경험으로 현실적인 진로설계 도움 > |
× |
○ |
× |
진로교육원 |
진로교육과 |
|||||
김혜정 |
|||||
043-210-0213 |
|||||
행사 |
◎ (7. 14.월) 오송고, 첨단 바이오 연구현장에서 바이오 분야의 미래를 보다 < 바이오 전문가와 함께하는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운영 > |
× |
○ |
× |
오송고 |
|
|||||
윤슬기 |
|||||
070-5004-7380 |
|||||
행사 |
◎ (7. 14.월) 광혜원고, 교과 융합형‧학생주도 진로캠프 운영 |
× |
○ |
× |
광혜원고 |
|
|||||
고현주 |
|||||
070-4173-1325 |
|||||
행사 |
◎ (7. 14.월) 단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리다 < 첫 공개 학술제 개최 > |
× |
○ |
× |
단재고 |
|
|||||
김유민 |
|||||
043-290-3202 |
[7월 14일 교육감 주요 일정]
시간 |
내 용 |
장 소 |
자료 유무 |
||
보도자료 |
사진 |
영상 |
|||
09:15 |
◎ 교육금고 약정 체결식 |
교육감실 |
○ |
○ |
○ |
11:00 |
◎ 대입 박람회 개회식 |
충북대 개신문화관 |
○ |
○ |
○ |
14:00 |
◎ 제427회 임시회 1차 본회의 |
본회의장 |
× |
× |
× |
16:30 |
◎ 미리캔버스 업무협약 |
교육감실 |
○ |
○ |
○ |
※ 주요일정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며, 보도자료가 제공되지 않는 사진․영상은 배포되지 않으니 필요시 문의바랍니다.(290-2025)
|
|
|
||||||
충북교육청,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개최 대입준비는 2026 대입 박람회에서 -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14일(월)부터 15일(화)까지 양일간, 2026학년도 대입 대비 입시정보를 제공하고 진학상담을 통한 맞춤형 대입 지원을 위해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를 운영한다.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에서 충북교육청이 매년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도 대입의 정보를 얻고 공교육 제도권 내에서 진로진학지도의 맞춤형 상담을 받고자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 약 12,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대입 박람회는 <대학별 부스 상담‧컨설팅>과 <충북대입지원단 1:1 맞춤형 대입상담> 등 2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충북 도내 학생들이 많이 지원하는 서울 주요대학과 지역 대학 등 100여 개 대학을 초청해 박람회를 찾은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를 극대화했다.
참여하는 학생과 학부모들은 원하는 부스에 찾아가 대학별 수시모집 요강과 학생부종합전형가이드 등 다양한 자료를 받을 수 있으며 대학의 입학사정관과 개별 상담을 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도 얻게 된다.
또한, 충북교육청 소속 교사들로 구성된 충북대입지원단 1:1 맞춤형 대입상담 진행한다. 고3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진학상담교사 40명이 박람회 기간 중 1:1 대입진학상담을 1층 회의실에서 학생 개별로 30분씩 진행한다.
충북대입지원단은 대입 진학 상담 뿐만 아니라, 제시문 기반 면접, 수능 모의평가 분석 자료집 제공 등을 통해 학생, 학부모, 교사들에게 진학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충북교육청은 도내 전 지역에 학생 수송을 위한 버스 64대를 임차해 지역 내 격차 없는 대입지원을 노린다.
윤건영 교육감은 학생들에게 “이번 박람회를 통해 꼭 필요한 정보를 얻고, 진학과 진로를 함께 설계해가는 깊이 있는 성찰의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학부모에게는 “입시는 자녀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스스로 결정해 보는 과정이다. 함께 고민하되 최종 선택은 자녀가 내릴 수 있도록 든든한 지지자가 되어 주길 부탁드린다. 믿음과 응원이 자녀를 더욱 단단하게 이끌어 줄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충북교육청은 이번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기간 중에 충북대학교의 협조를 받아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해 많은 학생, 학부모와 교직원의 방문을 도왔다.
붙임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추진 계획 1부
|
|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추진 계획 |
|
|
|
중등교육과 진로진학팀
공교육 중심의 대입 박람회 운영으로 사교육비 경감 및 만족도 향상
수요자 맞춤형 대입 지원으로 다양한 입시 정보 제공 및 진학 상담
학생들의 진학 선호도에 따른 대학 초청으로 고교-대학 연계성 강화
Ⅰ |
추진 목적 |
□ 안정적인 박람회 운영을 통해 격차를 줄이고 모두의 성장을 도모하는 진학지원 활성화
□ 공교육 제도권 내의 대입지원 박람회 운영을 통한 진로진학지도 교육력 강화
□ 2026학년도 대입 대비 입시정보제공 및 진학상담을 통한 맞춤형 대입지원
Ⅱ |
추진 개요 |
□ 행사 개요
○ 행사명: 전지다학 충북교육 2026 대입 박람회
○ 일정: 2025. 7. 14.(월) ~ 7. 15.(화) 10:00 ~ 17:00 [2일간]
※ 준비 기간: 7. 13.(일) [1일간] (행사 종료 후 당일 철거)
○ 규모: 100여개 대학 부스 운영 예정(부대공간 별도)
○ 장소: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전체 활용)
○ 대상: 고교생, 학부모, 교원 등(약 1만 2천여 명)
○ 주최・주관: 충청북도교육청
□ 주요 프로그램
□ 주요 내용
연번 |
프로그램명 |
주요 내용 |
대상 |
담당 |
비고 |
1 |
대학별 부스 상담・컨설팅 |
참가 대학 부스에서 상담・컨설팅 (각 대학입학사정관) |
고교생 학부모 |
대학 |
사전신청 현장접수가능 |
2 |
1:1 맞춤형 대입상담 |
진학상담교사와 함께하는 1:1 맞춤형 대입진학상담 |
고3 |
지원단 |
사전신청 |
※ 교원은 모든 프로그램 참가 가능
※ 위의 일정은 추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버스 운영 계획(예정)
7월 14일(월) |
7월 15일(화) |
||||
지역 |
고교수 |
버스 |
지역 |
고교수 |
버스 |
충주 |
8교 |
17대 |
제천 |
4교 |
10대 |
단양 |
1교 |
2대 |
진천 |
5교 |
8대 |
보은 |
2교 |
4대 |
괴산 |
1교 |
2대 |
옥천 |
2교 |
3대 |
증평 |
1교 |
2대 |
영동 |
3교 |
4대 |
음성 |
4교 |
8대 |
합계 |
30대 |
합계 |
30대 |
||
버스 총 60대(학교 수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Ⅲ |
세부 추진 계획 |
연번 |
프로그램 |
세부 내용 |
1 |
대학별 부스 상담·컨설팅 |
•대상: 고교생, 학부모, 교원(고3 우선) •장소: 충북대학교 개신문화관 •일자: 7. 14.(월) ~ 7. 15.(화) •내용: 참가 대학 부스에서 각 대학입학사정관이 대입 상담・컨설팅 진행 •규모: 100개 대학, 100개 부스 운영 예정 •운영: 대면 •방역: 전시장 입장 인원 사전신청, 참가 대학별로 1:1 상담이 진행될 수 있도록 방역 관리 철저 |
2 |
1:1 맞춤형 대입 상담 |
•대상: 고3(대입상담) •장소: 1층 회의실 •일자: 7. 14.(월) ~ 7. 15.(화) •내용: 진학상담 교사(40명), 2일간 1:1 대입진학상담 •규모: 1회당 40명, 개별 30분 내외 상담 예정(2일간 560명 예정) •운영: 대면 ※ 사전 신청 운영(현장접수 가능) |
※ 각 프로그램별 세부사항은 추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Ⅳ |
기대효과 |
□ 대입제도 변화에 따른 맞춤형 진학지원을 통한 공교육 만족도 제고
□ 수요자 맞춤형 대입 진학 상담을 통한 입시 관련 사교육비 경감
□ 다양한 진학자료 제공 및 진학설계 지원을 통한 수요자 만족도 제고
Ⅴ |
참가대학 부스 |
부스 번호 |
대학명 |
부스 번호 |
대학명 |
부스 번호 |
대학명 |
부스 번호 |
대학명 |
1 |
DIST |
26 |
대전대학교 |
51 |
연세대학교 |
76 |
충청대학교 |
2 |
가천대학교 |
27 |
대전보건대학교 |
52 |
연세대학교(미래) |
77 |
켄텍(KENTEC) |
3 |
가톨릭 꽃동네대학교 |
28 |
대진대학교 |
53 |
용인대학교 |
78 |
평택대학교 |
4 |
가톨릭대학교 |
29 |
동국대학교 |
54 |
우석대학교 |
79 |
한경국립대학교 |
5 |
강남대학교 |
30 |
동국대학교(WISE) |
55 |
우송대학교 |
80 |
한국공학대학교 |
6 |
강동대학교 |
31 |
동양대학교 |
56 |
우송정보대학교 |
81 |
한국교원대학교 |
7 |
건국대학교 |
32 |
명지대학교 |
57 |
울산대학교 |
82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8 |
건국대학교(글로컬) |
33 |
목원대학교 |
58 |
원광대학교 |
83 |
한국예술종합학교 |
9 |
건양대학교 |
34 |
배재대학교 |
59 |
유원대학교 |
84 |
한국외국어대학교 |
10 |
경기대학교 |
35 |
백석대학교 |
60 |
을지대학교 |
85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11 |
경동대학교 |
36 |
상명대학교 |
61 |
이화여자대학교 |
86 |
한국항공대학교 |
12 |
경상국립대학교 |
37 |
상지대학교 |
62 |
인천대학교 |
87 |
한남대학교 |
13 |
경희대학교 |
38 |
서울시립대학교 |
63 |
인하대학교 |
88 |
한림대학교 |
14 |
고려대학교 |
39 |
서울신학대학교 |
64 |
전남대학교 |
89 |
한밭대학교 |
15 |
고려대학교(세종) |
40 |
서울여자대학교 |
65 |
전북대학교 |
90 |
한서대학교 |
16 |
광운대학교 |
41 |
서원대학교 |
66 |
전주교육대학교 |
91 |
한성대학교 |
17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
42 |
선문대학교 |
67 |
중부대학교 |
92 |
한신대학교 |
18 |
국립공주대학교 |
43 |
성결대학교 |
68 |
중앙대학교 |
93 |
한양대학교 |
19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
44 |
성균관대학교 |
69 |
중원대학교 |
94 |
한양대학교(ERICA) |
20 |
극동대학교 |
45 |
성신여자대학교 |
70 |
청주교육대학교 |
95 |
협성대학교 |
21 |
나사렛대학교 |
46 |
세명대학교 |
71 |
청주대학교 |
96 |
호남대학교 |
22 |
남서울대학교 |
47 |
수원대학교 |
72 |
충남대학교 |
97 |
호서대학교 |
23 |
대구대학교 |
48 |
순천향대학교 |
73 |
충북대학교 |
98 |
홍익대학교 |
24 |
대덕대학교 |
49 |
안동대학교 |
74 |
충북도립대학교 |
99 |
아주대학교 |
25 |
대원대학교 |
50 |
안양대학교 |
75 |
충북보건과학대학교 |
100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
|
||||||
충북교육청, NH농협은행 충북본부와 교육금고 약정 체결 NH농협은행에서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년간 교육금고 업무 맡아 -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14일(월) 오전, NH농협은행 충북본부(본부장 임세빈)와 교육금고 약정을 체결했다.
이날 약정식은 윤건영 교육감과 임세빈 NH농협은행 충북본부 본부장을 비롯해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충청북도교육청 교육금고 지정을 위한 일반경쟁입찰에 NH농협은행 충북본부가 단독으로 참여했으며, 지난 6월 12일(목) 충청북도교육청금고지정심의위원회의 심의‧평가를 거쳐 NH농협은행 충북본부를 교육금고로 지정했다.
NH농협은행 충북본부는 2026년부터 2029년까지 4년간 ▲각종 세입금의 수납‧보관 ▲세출금의 지급(기금 포함) ▲세입세출외현금 및 각종 잡종금의 수납‧보관‧지급 ▲ 운용자금의 예치 및 관리 등의 교육금고 업무를 맡게 된다.
윤건영 교육감은 “이번 약정을 통해 NH농협은행 충북본부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금고 운영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NH농협은행 충북본부에서 충북교육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애써주심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라고 말했다.
|
|
|
||||||
충북교육청, 미리캔버스와 업무협약을 통해 에듀테크 활용지원 강화 |
충청북도교육청(교육감 윤건영)은 14일(월), 교육감실에서 교사들이 콘텐츠 제작 도구로 활발히 활용하고 있는 미리캔버스를 서비스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에듀테크 기업인 (주)미리디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은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과 강창석 (주)미리디 대표를 비롯해 관계자들이 참석해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교직원의 역량을 촉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협약의 주요 내용은 ▲교직원의 미리캔버스 라이선스 무료 제공 ▲교사 대상 연수 협력 ▲충북교육박람회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 등이 있다.
이번 협약으로 충북교육청 교직원은 미리캔버스의 우수한 콘텐츠 생성 기능을 무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수업자료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풍성한 교실 수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미리캔버스는 교원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해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며, 충북교육청의 교육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하였다.
윤건영 교육감은 “미리캔버스와 업무협약을 통해 충북의 교직원이 에듀테크를 편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학생 맞춤형 수업과 수업 구조 전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AI 시대 미래교육을 위해 학교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업무협약서 1부
|
|
|
|
|
||||||||||
|
|
|
|
|
||||||||||
|
|
충청북도교육청과 (주)미리디(이하 “양기관”이라 한다.)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과 교직원 역량강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협약을 체결한다. 제1조(목적) 본 협약은 양 기관의 상호 협력을 통해 충청북도교육청 교직원을 대상으로 미리캔버스 pro 계정을 지원하고 교원들의 디지털 기반 역량을 강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제2조(협력사항) 양 기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상호 협력하여 수행한다. 1. 미리캔버스 Pro 라이선스를 교직원에게 무료제공 2. 라이선스 관리 및 배포를 위한 기술 협력 3. 교직원 대상 미래캔버스 활용 교육 및 연수 지원 4. 미리캔버스 사용과 홍보를 위한 행정적 지원 5. 충북교육박람회 성공적 개최를 위한 협력 6. 기타 상호협력에 필요한 사항 제3조(의견 등 조정) 본 협약서의 해석이나 적용에 관하여 이견이 있는 경우, 양 기관은 상호 협력하여 조정‧해결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제4조(효력발생 및 유효기간) ① 본 협약은 양 기관의 대표가 합의 서명한 날로부터 효력이 발생하며 협약기간은 2025년 9월 1일부터 2027년 2월 28일로 한다. ② 본 협약의 내용을 변경 또는 해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1개월전까지 상대방에게 그 내용을 서면으로 통보하여야 한다. 제5조(비밀유지) 양 기관은 업무협약을 통하여 취득한 자료 및 정보는 동 협약서가 정하는 사업목적 달성을 위해서만 활용하여야 하며, 상대방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거나 누설하지 않는다. 본 협약이 종료된 이후에도 같다. 제6조(기타) 본 협약에 명기되지 아니한 사항은 양 기관의 합의에 의하여 결정한다. 본 협약 체결을 증명하고 이를 성실히 수행하기 위해 협약서 2부를 작성하고 상호 서명 후 각 1부씩 보관한다. 2025년 7월 14일
|
|
|
||||||||||||||||||||||
|
|
|
|
|
||||||||||||||||||||||
|
|
|
|
|
|
|
|
||||||
국제교육원, 제천제일고에 특별한 교육과정 운영 - 원어민 교사와 함께하는‘감동교실’속 세계시민교육 - |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국제교육원(원장 김흥준) 북부운영팀(제천)은 제천제일고등학교의 세계시민교육과정을 지원하는 감동교실을 14일(월)과 15일(화), 이틀간 운영하여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제천제일고 1, 2학년 14학급 총 37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외국어 원어민 교사가 없는 학교의 여건을 고려해 영어권 4개국(아일랜드, 영국,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북부운영팀 원어민 교사들이 학기말 특별교육과정을 지원하였다.
수업 내용은 ▲아일랜드 교사의 지속 가능한 삶(Sustainable Living) ▲영국 교사의 영국과 미국 영어의 차이(British English VS American English) ▲미국 교사의 미국 문화(American Culture) ▲남아프리카공화국 교사의 환경 보전(Environment Conservation)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의 눈높이와 학습 수준, 흥미를 고려한 체험형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2학년 정아인 학생은 “평소 수능 준비를 위한 독해 위주의 영어 수업과는 달리, 실제 의사소통을 경험하고 여러 나라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이런 기회를 더 많이 갖는다면 나도 글로벌 마인드를 갖게 될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김흥준 국제교육원장은 “일반고에서 영어 사용 환경을 조성하고 세계시민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학교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더 넓은 시야와 인식을 심어줄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앞으로도 학교와 학생들의 수요에 맞는 글로벌 교육과정 지원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
|
|
||||||
진로교육원, 오늘은 나도 선생님! 교육청의 업무 경험으로 현실적인 진로설계 도움 - |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진로교육원(원장 오병미)은 14일(월), 도내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2025. 진로직업체험의 날>을 운영했다.
행사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진로탐색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공무원의 직무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공무원‧교육‧사범계열에 대한 진로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복대중, 서원중, 청주동중, 중앙탑중 총 4개 중학교에서 2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진로특강을 시작으로 ▲직종별 직업 소개 ▲멘토-멘티 활동 ▲사무 체험 ▲진로교육원 견학 ▲체험보고서 작성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학생들은 특히 초등교사, 중등교사, 교육전문직원, 교육행정공무원 등 실제 교육청 내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멘토들과의 만남을 통해 각 직종의 업무 특성과 필요 역량을 체험하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특강은 장동석 충북학교운영위원회협의회 협의회장이 <나를 소중하게>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였고, 이어 각 부서의 멘토들과 1:1 매칭을 통해 기안문 작성, 전화응대, 민원처리 체험 등 실무 중심의 진로체험이 이뤄졌다.
참여한 한 학생은 “교육전문직원과 교육행정직원은 어떤 일을 하는지 잘 몰랐는데, 직접 설명도 듣고 체험하면서 관심이 더 생겼다.”라며, “내가 어떤 진로를 선택해야 할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오병미 진로교육원장은 “이번 진로직업체험은 단순한 견학이 아니라, 실제 교육공무원 업무를 경험하며 학생들이 현실적인 진로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라며, “앞으로도 학생 개개인의 꿈과 적성에 맞는 다양한 진로체험 기회를 꾸준히 제공하겠다.”라고 밝혔다.
향후, 진로교육원은 진로체험을 확대하여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진로설계 능력 향상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다.
|
|
|
||||||
오송고, 첨단 바이오 연구현장에서 바이오 분야의 미래를 보다 - 바이오 전문가와 함께하는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본격 운영 - |
오송고등학교(교장 안성표)는 14일(월), 바이오 분야 진로에 관심 있는 재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바이오 전문가 멘토링 프로그램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생명과학 분야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과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학생들이 직접 연구 현장을 방문해 실제 연구자와의 소통을 통해 진로 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멘토링을 진행한 연구원들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화학생물연구센터 ▲천연물연구센터 ▲미래형동물자원센터 ▲국가영장류센터 ▲실험동물자원센터 소속으로 바이오 분야의 전문가들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했다.
이날(14일) 진행된 멘토링에서는 miRNA*와 AI신약개발 분야 및 감염병 극복 과정 등 학생들이 생명과학 관련 탐구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궁금했던 내용을 중심으로 질의응답을 진행하였다.
*miRNA(마이크로RNA): 식물, 동물, 바이러스 등에서 발견되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작은 비발현 RNA 분자로, RNA 침묵과 전사 이후의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기능을 함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질문을 이어갔으며, 연구원들도 깊이 있는 질문과 적극적인 태도에 성의있게 답변을 이어갔다.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오 분야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실제 연구 환경을 가까이서 접하는 경험을 통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 동기를 키울 수 있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2학년의 한 학생은 “멘토링 및 연구기관 방문을 통해 평소에 교과서로만 접하던 바이오 분야의 실험이 운영되는 모습을 실제로 보고 질문할 수 있어, 진로에 대한 동기부여가 강하게 되었다.”라며 만족감을 드러냈다.
또한, 3학년의 한 학생은 “단순한 진로 탐색을 넘어서, 실제 연구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실험을 직접 보고 연구원들과 대화하면서 생명과학 분야의 구체적인 진로 경로가 그려졌다. 대학에서 더 깊이 있게 공부해 보고 싶다는 확신이 들었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안성표 오송고등학교장은 “학생들의 진로 인식과 자기주도성을 높이기 위한 교내 과학 프로그램으로, 지역의 우수 과학 인프라를 교육적으로 연결한 사례이다.”라며, “학생들의 진로 탐색과 창의적 역량 신장을 위해 학교가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계속 발굴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오송고등학교는 지난 8일(화)에 사전 활동으로 참여 학생 10명은 국내 대표 바이오 연구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창분원을 방문하여 연구시설 견학과 실험 관찰, 연구원과의 사전 질의응답 활동을 수행한 바 있다.
|
|
|
||||||
광혜원고, 교과융합형‧학생주도 진로캠프 운영 |
광혜원고등학교(교장 김기회)는 14일(월), 교내에서 <교과융합형‧학생주도 테마형 진로캠프>를 운영하며 학생들의 진로 설계 역량과 학업 동기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광혜원고는 면 단위 지역에 위치해 도시 중심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진로 정보 접근성과 체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된 교육환경에 놓여 있어, 지역적 여건을 극복하고,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이번 진로캠프를 기획했다.
이번 진로캠프는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 체험과 학생 주도의 진로 부스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을 발견하고 미래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특히 다양한 진로 체험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업 동기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미래 산업을 체험하며, 나의 진로를 열다!>를 주제로 한 교과융합형 프로그램에서는 드론, VR/AR, 3D모델링, 코딩 등 첨단 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가 강의와 실습이 진행됐다.
학생들은 최신 기술을 직접 경험하며 해당 분야의 직업군과 산업 전망을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진로 설계에 어떻게 연결할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학생주도 테마형 프로그램인 미리내 진로부스는 <미래를 이끌고 내일을 연다>는 뜻을 담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동안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탐구한 주제를 무학년제로 공유하는 장으로 운영되었다.
▲과학 실험 ▲경제‧마케팅 퀴즈 ▲교육 토론 ▲보건‧심리 체험 ▲애니메이션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체험 부스를 학생들이 직접 기획‧운영하며 진로를 주도적으로 탐색했다.
<유전자의 암호를 풀어라!> 부스를 운영한 1학년 권목련 학생은 “유전자 구조를 친구들에게 설명하면서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고, 진로에 대한 확신도 더 커졌다.”라며 뿌듯한 소감을 전했다.
김기회 광혜원고등학교장은 “진로교육의 본질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게 돕는 데 있다.”라며, “이번 진로캠프처럼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를 준비하는 역량을 길러나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광혜원고는 진로교육 집중학년제와 진로체험 중점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사회 연계 진로탐방, 진로심리검사 기반 상담, 전공학과 체험, 교과 연계 진로 탐구활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진로설계와 학업 실천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
|
||||||
단재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리다 |
단재고등학교(교장 정관숙)은 14일(월), 전교생이 참여하는 교내 학술제 <지속 가능한 미래를 그리다>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행사는 단재고 개교 이래 처음으로 외부에 공개된 학술제로 참여자들은 교육활동을 관람하며 지역사회의 큰 관심을 모았다.
학술제는 전교생이 2~4인으로 구성된 팀을 이루어 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주제로 탐구하고, 그 결과를 발표 영상과 포스터로 제작하여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는 학기 중 진행된 주제 탐구 보고서 특강을 기반으로, 교육내용을 실천의 장으로 확장시킨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받는다.
또한, 멸종위기동물을 주제로 ▲비누 조각 전시 ▲생태 사진전 ▲영문 인포그래픽 전시 등 다채로운 전시 마당과 ▲에너지 효율을 ▲그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등 창의적인 체험 부스도 함께 운영되어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이번 학술제는 학생회 중심의 자율적 기획과 운영으로 학술제의 전 과정을 주도하며 발표팀 구성을 독려하고, 전시‧체험 마당 기획까지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부는 각 팀이 제작한 탐구 영상과 포스터를 QR코드로 열람하고, 전교생과 교직원이 직접 우수 작품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부는 최우수 5개 팀의 현장 발표가 이어져 발표력과 탐구력을 겸비한 단재고 학생들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관숙 단재고등학교장은 “이번 학술제는 단재고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해답을 찾아가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소중한 기회의 장이었다.”라며, “앞으로도 학생 중심의 IB 교육 철학을 바탕으로, 탐구와 협력의 학습 공동체로서 단재고만의 고유한 문화를 더욱 확산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단재고등학교는 앞으로도 학생 주도의 탐구 활동을 지속적으로 장려하며, 지역사회와의 지식 공유와 실천을 통해 미래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