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오송역 중심 종합개발계획 수립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외 (8월28일 종합)

  • 등록 2025.08.29 05:58:32
크게보기

 

 

보도자료 목록

제 목(8)

사진

ENG

담당부서

오송역 중심 종합개발계획 수립용역착수보고회 개최

건축문화과

충북농기원, 쪽파 양액재배 성과 점검스마트팜 보급 확대

농업기술원

충북도 인구 지속적 증가6개월 연속 증가

×

×

행정운영과

충북도-한국자동차연구원, ‘미래자동차 연구개발 공동협력박차

×

산업육성과

충북도, 범도민 환경교육으로 기후재난 위기 대응에 나서

×

×

환경정책과

충북도, 2025년 감염병 예방 역량강화 학술대회 개최

×

감염병관리과

몽골 도로명주소 연수단, 충북에서 ‘K-주소선진사례 체험

×

토지정보과

충북보건환경연구원, ‘실리콘 주방용품안심하고 사용하세요!

×

보건환경연구원

 

금일 주요행사

현지시간

내 용

장 소

비고

관련자료

보도자료

사진

ENG

08:40

충북테크노파크 원장 임명장 수여

여는마당

 

09:30

쪽파 양액재배 시범사업 현장 평가회

청 주

 

14:00

오송역 중심 종합개발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오송선하마루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오송역 중심 종합개발계획 수립용역착수보고회 개최

- 충북도·청주시·국가철도공단 공동 추진, 충북 미래 성장축 조성 -

 

충북도는 28() 오송선하마루에서 청주시, 국가철도공단과 함께오송역 중심의 종합개발계획 수립용역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고회에는 김영환 충북도지사, 이범석 청주시장, 국가철도공단 유승현 글로벌개발처장 등 관계기관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이번 용역은 HK건축사사무소 컨소시엄이 수행사로 선정돼 18개월간 진행되며, 오송역 및 주변 유휴부지 개발 교통환승체계 개선 선하부지 활용방안 오스코 및 역세권 등 인근 사업 연계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20271월 최종 완료될 예정이다.

 

김영환 지사는 오송역은 대한민국 철도의 중심이지만 역세권 개발은 아직 충분치 않다, “이번 계획을 통해 국가 균형발전과 충북의 미래 성장을 이끌 새로운 성장축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송선하마루처럼 유휴공간을 문화휴식 공간으로 재생하는 공공기여를 확대하고,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개발로 추진하겠다, 청주시와 국가철도공단과 협력해 실현 가능한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철도공단 · 충청북도 · 청주시

송역 중심의 종합개발계획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추 진 배 경

 

 

 

전국 최초 혁신공간 재생 사례로서오송역 선하공간 활용 시범사업의 성공적 추진 및 운영을 통한 선하공간 활용 확장 가능성 및 필요성 확인

충북 대표 관문이자 국가 철도망의 유일한 분기역으로서 연간 1,200만명이 이용하는 오송역에 대한 위상 및 기능 제고 필요

청주 및 세종권역을 포함한 생활인구 등 고려, 미래사회에 선제적 대비 필요

 

 

그간 추진사항

오송역 중심 종합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공단청주시) ’25. 03.

ㅇ 지사님 방침결정 및 기관 간 실무협정 추진 ‘25. 04.

ㅇ 오송역 중심종합개발 계획 수립 용역 착수(공단주관) ‘25. 07.

 

보고회 개요

일시/장소 : ‘25. 8. 28.() 14:00 / 오송선하마루

ㅇ 주요내용 : 용역 추진계획 보고, 관련기관 의견 청취 및 질의응답 등

ㅇ 보 고 자 : 용역 수행기관 (HK / 도화 / 한길R&D 컨소시엄)

ㅇ 참석대상 : 지사님, 청주시장, 국가철도공단 글로벌사업본부장, 전문가 자문위원(총괄건축가, 시정연구원장), 관련부서 등

 

세부 일정 (14:00 ~ 15:00)

 

시간

세부 내용

비고

14:00~14:02(2‘)

- 개회 및 국민의례

사회자 : 광역교통팀장

14:02~14:05(3‘)

- 참석자 소개

사 회 자

14:05~14:10(5‘)

- 인사말씀

충북도지사, 청주시장, 국가철도공단 본부장

14:10~14:30(20‘)

- 착수보고

용역 수행기관

14:30~15:00(30‘)

-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

전문가 및 관련부서 의견 청취

참 석 자

15:00

- 폐회

 

 

 

붙임

 

용역개요

 

(용 역 명) 오송역 중심의 종합개발계획 수립 용역

(용역기간) 2025. 7. ~ 2027. 1. (18개월) * 26. 1. 개발구상() 확정 예정

(용역내용) 오송역(유휴부지) 및 주변 지역을 연계한 체계적 개발계획

- 오송역 복합개발 및 환승센터, 선하부지 개발 기본구상, 건축계획, 타당성 조사 등

- 선하부지 개발을 위한 관련규정 및 구조안전 검토 등

- 오송역 접근성 강화를 위한 대중교통, 광역교통체계 개선사항, 주차 문제 해소 등

- 오스코 컨벤션 등 인접 지역 연계를 위한 개발계획 및 시설개선 사항 등

(용 역 비) 65백만원KR40%, 30%*, 30%

* : 195백만원 ‘25. 2회 추경 반영

(수행기관) HK건축사사무소(건축) / 도화(도시·토목) / 한길R&D(교통) 컨소시엄

 

 

 

충북농기원, 쪽파 양액재배 성과 점검스마트팜 보급 확대

- 충북형 스마트팜 모델로 농업혁신 및 일자리 창출 동시 실현 -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조은희)28일 청주시 오동동 쪽파 재배포장에서 쪽파 양액재배 시범사업 평가회를 열고 추진 성과와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사업은 농업인구 감소와 이상기상에 대응하기 위한 충북형 스마트팜 보급 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기술원이 개발한 수위 조절형 양액재배 장치는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어 농가의 접근성이 높고, 사계절 재배가 가능해 생산량과 품질 향상에 효과적이다.

 

특히, 쪽파는 연 7회 이상 재배가 가능해 노지보다 생산량이 약 4.8배 많아 새로운 소득 작물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손질된 쪽파는 도내 김치 업체에 납품되어 유통비 절감과 품질 향상 효과도 기대된다.

 

아울러, 쪽파 양액재배는 도시농부’, ‘일하는 밥퍼등 충북도의 일자리 정책과 연계해 농촌 인력 부족 완화와 고령층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김영환 지사는 충북형 스마트팜은 농업과 일자리를 함께 해결하는 혁신 모델이라며 성과를 보완해 빠르게 확대 보급하겠다라고 말했다.

 

 

 

쪽파 양액재배 시범사업 현장 평가회 개최 계획

 

 

 

목 적

시범사업 추진현황 공유 및 충북형 스마트팜 모델 확산 방향 제시

사업농가, 시군공무원 등 관계자 현장의견 수렴 및 개선방안 도출

 

행사개요

일 시: 2025. 8. 28.(), 09:30~11:30

장 소: 시범사업 참여농가 * 주소: 청주시 청원구 오동동 516-3

계획인원: 40(충북도지사, 사업농가, 시군공무원, 관심농업인, 관련업체 등)

주요내용

- (추진경과) 쪽파 양액재배 기술 시범사업 추진현황 공유

- (정책안내) 충북형 모델 소개(보급형 스마트팜, 일자리 연계, 계약재배)

- (현장연시) 충북도원 개발(21 특허출원) 수위 조절형 양액재배 장치

- (의견수렴) 농업인, 시군공무원 등 질의응답 및 현장의견 청취

 

행사일정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09:30

-

등 록

-

09:3009:32

02

개 회

기술보급과장

09:3209:35

03

충북도지사 인사말씀

충청북도지사

09:3509:50

15

시범사업 추진경과 보고 및 충북형 모델 소개

원예기술팀장

09:5010:00

10

수위 조절형 양액재배 장치 기술 현장연시

10:0011:30

90

종합토의 및 현장의견 수렴

농업인, 시군공무원 등

11:30

-

폐 회

-

 

 

 

충북도 인구 지속적 증가6개월 연속 증가

- 전년 말 대비 7,223명 증가, 증감률 전국 3-

 

충청북도의 인구가 20252월 이후 6개월째 연속적으로 증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20257월 기준 도내 총인구는 1,654,701명으로 전년 말보다 7,223명 증가했으며, 4월에 165만 명을 돌파한 이후에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7월 기준 전월 대비 인구증가율은 인천광역시, 경기도의 뒤를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특히 출생아 수의 경우 전국에서 전국 2위를 차지하며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충북임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김종기 충북도 행정운영과장은 이러한 인구 증가 현상은 충북도가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기업 유치, 정주 인프라 확충 및 임신·출산·양육 관련 지원정책의 성과라며, “지역 맞춤형 정책을 강화해 인구 증가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붙 임

 

20257월 말 기준 충청북도 인구 현황

 

 

기본현황

총 인구수 : 1,654,701

- (주민등록인구수) 1,591,815(전국 51,159,889/ 3.1%)

- (등록외국인수) 62,886(전국 1,566,996/ 4%)

총 세대수 : 793,580세대

 

인구증감 현황

(단위 : )

 

구 분

당월(`25. 7.)

 

전월(`25. 6.)

전년동월(`24. 7.)

`25. 6. 대비

`24. 7. 대비

인구총계

1,654,701

1,281

8,720

1,653,420

1,645,981

 

주민등록인구

1,591,815

770

633

1,591,045

1,591,182

등록외국인

62,886

511

8,087

62,375

54,799

세대수

793,580

971

8,076

792,609

785,504

18세 이상

1,381,991

6,739

6,598

1,375,252

1,375,393

당해연도 누계 출생아

(월간 출생아)

4,807

(686)

686

459

4,121

(687)

4,348

노인인구(65세 이상)

359,580

1,291

17,912

358,289

341,668

 

의미 있는 지표

 

 

’2110월말 총 인구수 164만명(1,640,289) 첫 돌파

- 주민등록인구 1,599,499, 등록외국인 40,790

10개월 연속 출생아 수 증가율 전국 1(‘234월말~ `241월말)

- ’241월말 기준 출생아 수 증가율 6.1% * 전국 평균 2.5

’236월말 인구수 164만명(1,640,039) 재돌파

’254월말 인구수 165만명(1,650,238) 첫 돌파

- 주민등록인구 1,590,735, 등록외국인 59,503

 

 

참고1

 

도내 시·군 인구증감 현황

 

 

시군

금월(25. 7.)

전월 대비(25. 6.)

전년 동월 대비(24. 7.)

합계

주민등록

등록외국인

합계

(증감)

주민등록

등록외국인

합계

(증감)

주민등록

등록외국인

1,654,701

1,591,815

62,886

1,653,420

1,591,045

62,375

1,645,981

1,591,182

54,799

1,281

770

511

8,720

633

8,087

청주

876,800

856,247

20,553

875,887

855,340

20,547

870,929

853,563

17,366

913

907

6

5,871

2,684

3,187

충주

213,626

206,976

6,650

213,539

206,872

6,667

213,534

207,346

6,188

87

104

-17

92

-370

462

제천

131,369

128,198

3,171

131,609

128,437

3,172

131,935

129,385

2,550

-240

-239

-1

-566

-1,187

621

보은

31,486

30,374

1,112

31,387

30,350

1,037

31,413

30,727

686

99

24

75

73

-353

426

옥천

50,010

48,399

1,611

49,976

48,373

1,603

49,812

48,521

1,291

34

26

8

198

-122

320

영동

44,372

42,947

1,425

44,483

43,050

1,433

45,103

43,792

1,311

-111

-103

-8

-731

-845

114

증평

38,554

37,156

1,398

38,566

37,181

1,385

38,443

37,235

1,208

-12

-25

13

111

-79

190

진천

95,056

85,882

9,174

95,131

85,991

9,140

95,216

86,769

8,447

-75

-109

34

-160

-887

727

괴산

37,587

35,848

1,739

37,717

35,968

1,749

37,644

36,095

1,549

-130

-120

-10

-57

-247

190

음성

108,106

92,753

15,353

107,575

92,422

15,153

103,860

90,219

13,641

531

331

200

4,246

2,534

1,712

단양

27,735

27,035

700

27,550

27,061

489

28,092

27,530

562

185

-26

211

-357

-495

138

 

 

참고2

 

시도별 주민등록인구수 및 증감현황

 

 

구 분

'25. 7.

주민등록인구수

'25. 6.

주민등록인구수

 

증감()

증감율(%)

증감율

순위

서 울

9,323,492

9,325,616

-2,124

-0.03

7

부 산

3,251,625

3,252,830

-1,205

-0.05

11

대 구

2,357,040

2,357,052

-12

-0.04

9

인 천

3,041,215

3,039,450

1,765

0.08

1

광 주

1,398,538

1,399,082

-544

-0.06

14

대 전

1,440,682

1,439,764

918

0.01

4

울 산

1,093,317

1,093,665

-348

-0.03

8

세 종

392,154

392,223

-69

0

5

경 기 도

13,715,016

13,711,404

3,612

0.04

2

강 원 도

1,510,181

1,510,615

-434

-0.05

12

충 청 북 도

1,591,815

1,591,045

770

0.01

3

충 청 남 도

2,136,299

2,135,890

409

0

6

전 라 북 도

1,729,337

1,730,258

-921

-0.06

15

전 라 남 도

1,782,183

1,783,484

-1,301

-0.04

10

경 상 북 도

2,516,753

2,519,474

-2,721

-0.06

16

경 상 남 도

3,214,016

3,216,105

-2,089

-0.05

13

제 주 도

666,226

666,625

-399

-0.09

17

총계

51,159,889

51,164,582

-4,693

-0.01

 

 

 

 

참고3

 

시도별 출생아 수 및 증감현황

 

 

 

구 분

'25. 7.

출생아 수

(0/누계)

'24. 7.

출생아 수

(0/누계)

 

증감()

증감율(%)

증감율

순위

서 울

26,866

24,548

2,318

9.4

4

부 산

8,173

7,592

581

7.7

6

대 구

6,364

5,763

601

10.4

3

인 천

9,667

8,659

1,008

11.6

1

광 주

3,797

3,585

212

5.9

7

대 전

4,418

4,216

202

4.8

10

울 산

3,268

3,087

181

5.9

8

세 종

1,731

1,701

30

1.8

15

경 기 도

44,878

41,538

3,340

8.0

5

강 원 도

3,927

3,918

9

0.2

16

충 청 북 도

4,807

4,348

459

10.6

2

충 청 남 도

6,031

5,764

267

4.6

12

전 라 북 도

4,140

3,956

184

4.7

11

전 라 남 도

5,038

4,787

251

5.2

9

경 상 북 도

6,224

6,062

162

2.7

14

경 상 남 도

8,064

7,716

348

4.5

13

제 주 도

1,895

1,895

0

0

17

총계

149,288

139,135

10,153

7.3

 

 

 

 

충북도-한국자동차연구원, ‘미래자동차 연구개발 공동협력박차

- 충북도 미래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한 실질적 연구·협력 강화 -

 

충북도와 한국자동차연구원은 28일 천안 한국자동차연구원 본사에서 최근 미래자동차 산업 동향과 연구개발 사업 공동추진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충북도 과학인재국장·산업육성과장, 한국자동차연구원장 등 양 기관의 주요 사업 담당자 15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외부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충북도와 연구원이 공동으로 미래자동차 산업 경쟁력 강화에 매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미 상호 관세 협상 타결 후 자동차 산업 동향 공유와 대응책 마련, 미래자동차 추진 사업 진행 상황, 2026년 정부예산 확보를 위한 국가직접지원 사업 공조, 최신 정책·기술 동향 교류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특히, 충북도는 한국자동차연구원을 수행기관으로 수요맞춤형 전기다목적자동차 기반구축사업을 진행 중이며, ‘미래차 탑재모듈 상용화 기반구축신규사업 추진을 위한 정부예산 확보 등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충북도와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미래자동차 R&D의 파트너로서 현장 실습부터 연구·정책 연계, 정부지원 확대에 이르기까지 긴밀한 공동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미래자동차 분야 현장 실험실(수소연료전지·전기차 배터리 실험실, 신뢰성분석실 및 PBV센터 등) 탐방과 실시간 연구 현장 체험을 통해 협력 의지를 확인했다.

 

김수인 도 과학인재국장미래자동차 연구개발의 중심 현장에서 실질적 공동협력의 성과를 직접 경험함과 동시에 앞으로 더욱 유의미한 성과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충북은 다목적자동차, 친환경자동차, 자율주행 등 미래자동차산업의 새로운 중심축이 되고 있으며, 연구원과 함께 지리적 이점과 산업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대한민국 미래자동차산업의 선도지역으로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첨 부

 

수요맞춤형 전기다목적자동차 연구센터 사업개요

 

(사 업 명) 수요맞춤형 전기다목적자동차 기반구축

(사업목적) 내연기관 다목적 자동차부품업계의 전동화 전환을 위한 다양한 전기 다목적자동차의 전기전력 및 섀시플랫폼 성능평가 장비구축

(사업위치) 충북 음성군 휴먼스마트밸리산업단지(, 인곡산업단지) 일원

(사업기간) 2023. ~ 2026.(4)

(사업예산) 198.5억원(국비 80, 도비 90, 군비 28.5)

(사업규모*) 본관동(1개동), 전비시험동(1개동)

* 부지면적 약 23,100m2, 약 건축면적 2,765.62m2(본관동 1,991.76m2, 전비시험동 804.83m2)

(장비구축) 전기다목적자동차 전비시험장비 총 10대 구축

 

전기다목적자동차 연구센터 조감도

전비시험장비 (예시)

 

 

 

충북도, 범도민 환경교육으로 기후재난 위기 대응에 나서

- 기후재난 대응 범도민 환경교육 공모사업 5개 선정·추진 -

 

충북도는 28‘2025년 기후재난 대응 교육 강화 범도민 환경교육 공모사업’ 5개 사업을 최종 선정하고 9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범도민 환경교육 공모사업은 환경부 국고보조금 확보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최근 대형화일상화되고 있는 기후재난에 대응하여 도민 대상 환경교육을 실시하여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생활 속 환경 실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폭염폭우가뭄 등 기후재난 발생시 사후 대응방법은 물론 이러한 기후재난 발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일반도민들의 생활습관, 기업 등의 인식전환 등 기후재난 발생 저감 환경기반 조성을 위한 교육도 함께 진행할 예정으로 세부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창체넷 : 충북 기후 인식 UP : 기후 결정, 충북기업이 움직여유!

(기후재난 대응 및 ESG 실천 인식확산 프로젝트)

기후변화로 작업장 안전 문제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 도내 산업체 종사자의 기후재난 대응력 향상과 기업의 ESG 전환 기반 인식 확산을 위해 도내 기업체 대상 기후재난 실태조사(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등)를 실시하고, ESG 보드게임(ESG 경영 상황을 가상 시나리오로 체험하는 시뮬레이션 카드 게임)을 제작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제천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 기후재난대응 시민역량강화 및 실천형 환경교육 통합사업

유치원, 중등학생, 특수교육, 성인 등 대상별 맞춤형으로 재난별 대응법 및 생활속 실천법 등 환경교육을 실시해 지역내 기후재난 저감 행동실천 기반을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또 자원순환탄소중립 실천 캠페인형 플리마켓도 운영할 계획이다.

 

충청북도환경교육센터 : 2025년 기후재난 대응 교육 강화 범도민 환경교육

충북도민에게 적합한 기후재난 대응력 강화 및 실천형 환경교육 매뉴얼을 개발·배포하여 도민들의 기후적응력을 높인다. 또한, 센터가 소재한 청남대의 생태·역사·문화 등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특화 환경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청주국제에코콤플렉스 : 청주시민 누구나 환경교육-기후재난 이해와 대응

기후위기 환경교육 영상을 제작해 시청 후 참여 프로그램(실천 인증샷 이벤트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온라인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더 많은 시민들이 기후재난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역환경교육 자원의 교류 기반 구축을 위한 환경교육네트워크도 운영할 예정이다.

 

진천군환경교육센터 : 지역의 힘으로, 모두를 아우르는 기후재난 환경교육

지역 내 강사들로 구성된 홍보 켐페인 강사 기획단을 구성하여 기후재난에 대한 다양한 홍보와 함께 지역 아젠다를 발굴해 나간다. 또한, 한국어에 익숙지 않은 이주노동자 대상 교안을 개발하고 유아 및 아동 대상 참여형 환경교육극을 개발하여 포용하는 환경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택수 도 환경정책과장은 이번 공모사업으로 기관별 특성을 살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도민 환경의식 향상과 지속가능한 환경실천 확산으로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재난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충청북도는 지난해 환경부로부터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어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환경교육 기반을 강화해 왔으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교육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충북도, 2025년 감염병 예방 역량강화 학술대회 개최

- 감염병 대비·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 공유의 장 마련 -

 

충북도는 828()부터 29()까지 12일간, 충북 영동군 일라이트호텔에서 충북도, 충청북도감염병관리지원단, 도내 14개 보건소 감염병 업무 담당자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충청북도 감염병 학술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신종·재출현 감염병의 예방·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보 공유와 협력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날 행사에서는 2025년 감염병 예방관리 우수기관에 대한 충청북도지사 표창 수여 및 실무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첫째 날은 국가 감염병 정책 특강(충청권 질병대응센터 김윤아 과장) 현장 역학조사(청주 상당경찰서 오완균 팀장) 감염병 예방관리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됐으며, 이튿날에는 지역사회 감염병 대응 방안에 관한 토론,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올해로 2회째를 맞이한 이번 학술대회는 참석자 간 교류와 협업의 기반을 다지고, 기관별 실무자들의 현장 의견을 직접 청취하는 자리가 되었다. 이를 통해 향후 신종감염병 발생 시 실무현장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된 대응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서동경 도 보건복지국장은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감염병 대응 유관기관 간 협조체계를 더욱 강화해 의료 대응 역량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지역 특성에 맞는 충북형 감염병 의료대응 체계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년 감염병 예방 역량강화 학술대회

 

개 요

기 간 : 2025. 8. 28.() ~ 8. 29.()

장 소 : 영동 일라이트 호텔(영동군 영동읍 영동힐링로 159)

참석대상 : 70여명(, ·군 보건소 감염병 담당자 등)

주요내용 : ’25년 감염병예방관리 우수기관 포상*, 특별강좌 등

* 도지사 포상 우수기관 3개소

 

연 번

기관명

상 별

비 고

1

옥천군보건소

최우수

최종 1

2

증평군보건소

우 수

최종 2

3

제천시보건소

우 수

최종 3

 

 

세부일정

 

구 분

시 간

주요내용

비 고

1일차

8. 28.()

14:00~14:05

’5

사전안내

사회자

14:05~14:10

’5

국민의례 및 개회선언

사회자

14:10~14:15

’5

환영사

영동군수

14:15~14:20

’5

축사

보건복지국장

14:20~14:25

’5

우수기관 포상

보건복지국장

14:25~14:30

’5

기념촬영

 

14:30~15:30

’60

(특강)국가 감염병 정책

충청권 질병대응센터

15:40~17:10

’90

(특강)현장 역학조사

청주시 상당경찰서

17:20~18:20

’60

감염병 예방관리 우수사례 발표

우수기관 3개소

18:20~

 

저녁식사 및 휴식

 

2일차

8. 29.()

08:00~09:30

’90

아침식사

 

09:30~10:30

’60

분임토의(감염병대응안건)

사회자

10:40~11:30

’50

만족도조사 및 폐회

사회자

 

 

 

몽골 도로명주소 연수단, 충북에서 ‘K-주소선진사례 체험

- 충북도, 대한민국 도로명주소 글로벌 확산의 교두보 역할 -

 

충북도는 28, 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K-주소 글로벌 아카데미과정 중 몽골 도로명주소 관계자 20여 명이 충북을 방문해 선진사례를 견학하고 체험했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대한민국 도로명주소 체계의 몽골 진출을 계기로, 몽골 관계자를 초청해 825일부터 93일까지 약 10일간의 집중 교육을 진행 중이다.

 

이번 연수의 일환으로 몽골 연수단은 충북을 찾아 우리 도의 도로명주소 활용 사례를 배우고, 이를 토대로 몽골의 주소체계 구축에 활용할 예정이다.

 

견학 일정에서 연수단은 청주우체국 충북소방안전체험관을 방문했다. 청주우체국에서는 도로명주소 기반의 신속·정확한 우편 배송 시스템을 확인했고, 충북소방안전체험관에서는 화재·지진 등 재난 상황 발생 시 도로명주소를 통한 빠른 신고와 대피 훈련을 직접 체험했다.

 

또한, 충북도가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급경사지 도로명주소 사례도 소개되었다. 이는 산사태 등 돌발 위기 시 신속한 위치 신고와 응급조치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로, 연수단의 큰 관심을 모았다.

 

아울러, 충북의 대표 관광명소인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거점 호수정원 청남대 등을 소개하여 충북의 매력과 가치를 함께 전했다.

 

이헌창 충북도 토지정보과장은 몽골과의 우정을 소중히 간직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겠다, “충북이 몽골의 도로명주소 체계 구축과 성장에 든든한 동반자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K-주소 글로벌 아카데미몽골 연수단 충북 선진지 견학 추진

 

행정안전부에서 추진 중인 몽골 연수단의 K-주소 글로벌 아카데미교육 과정 중 충북의 선진지 견학에 따른 추진 계획임

 

 

개 요

방 문 단 : 몽골 연수단 20명 외 행정안전부 연수 관계자

방문일시 : 2025. 8. 28.(), 14:00 ~ 18:00

* 공주 교육장에서 오찬 후 출발 예정

방문목적 : 우리도의 K-주소 선진 체계에 대한 현지 견학을 통해 우수한 주소 시스템을 견학 몽골의 주소시스템 구축에 기여

주요내용

- 도로 급경사지 주소 구축을 위한 우리도의 사례 학습

- 도로명주소를 활용한 화재·지진 안전체험 실습

- 도로명 주소에 따른 우편물 분류체계 견학

 

세부일정()

 

시 간

 

진 행 순 서

비 고

240’

~14:00

 

청주우체국 도착

 

14:00~14:10

10’

인사말씀(환영사)

 

14:10~14:50

40’

우편 물류 분류 설명 및 견학

 

14:50~15:20

30’

충북안전체험관 이동

 

15:2015:35

15’

도로명 주소 활용사례(급경사지) 설명

 

15:3515:40

5’

충북안전체험관 안내 영상

 

15:4016:20

40’

도로명주소 상영 및 지진 대비 안전체험

 

16:2016:50

30’

청남대 이동

 

16:5017:50

60’

청남대 관람

 

17:5018:00

10’

마무리 말씀(배웅인사)

 

18:00~

 

석식장소 이동

 

 

 

참 고

 

상세 세부일정()

 

 

구 분

활 동 명

장 소

주요내용

14:00

청주우체국 도착

 

청주우체국 방문

14:00 ~ 14:10

인사말씀

청주우체국

도 홍보영상물 시청

우편물류과장, 토지정보과장

14:10 ~ 14:50

우편물류 분류 과정 설명 및 견학

우편물류 분류 과정,

우편PDA 설명 및 견학

무인우편접수기 견학

종료 후 사진촬영

14:50 ~ 15:20

충북안전체험관 이동

 

충북안전체험관 방문

15:20 ~ 15:35

도로명주소 활용사례(급경사지) 설명

충북안전체험관

급경사지 주소 부여

활용사례 설명

15:35 ~ 15:40

충북안전체험관 안내 영상

영상 시청

15:40 ~ 16:20

도로명주소 상영 및 지진 대비 안전체험

도로명주소 활용 신고방법 영상 시청 및 지진 대비 안전체험

체험 종료 후 사진촬영

16:20 ~ 16:50

청남대 이동

 

 

16:50 ~ 17:50

청남대 관람

청남대

) 대통령 별장 관광명소 방문 대통령기념관에서 사진촬영

17:50 ~ 18:00

마무리 말씀

(배웅인사)

 

18:00 ~

석식장소 이동

 

 

 

 

충북보건환경연구원,

실리콘 주방용품안심하고 사용하세요!

- 도내 유통 실리콘 주방용품 50, , 포름알데히드 등 4개 항목 모두 적합’ -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원장 임헌표)은 안전성 및 편리성을 고려하여 식품 용기·조리도구 등 사용량이 늘고 있는 실리콘 주방용품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도내 유통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번 검사는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도내에서 판매되는 실리콘 제품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주걱, 국자, 찜용기 등 다양한 주방용품을 포함한 총 50건을 백화점, 대형마트, 생활용품전문점 등에서 수거하여 안전성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항목은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에서 정한 고무제(실리콘) 용출규격으로 신경계 손상이나 위장관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Pb)아연(Zn), 발암 가능성이 보고된 포름알데히드 그리고 기구에서 식품으로 옮겨질 수 있는 화학물질의 총량을 평가하는 총 용출량 4종이다.

 

검사 결과, 모든 항목이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전의 용출규격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도내에서 판매되는 실리콘 주방용품은 일상적인 사용 과정에서 건강상 위해 우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됐다.

 

김명희 약품화학과장은 생활용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번 검사 결과 도내 유통되는 실리콘 주방용품이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아 안전성이 입증됐다, “앞으로도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철저한 안전성 검사를 통해 도민이 안심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규식 yks2832@hanmail.net
Copyright @충북데일리 Corp. All rights reserved.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로73번길 9(수동) 등록번호: 충북,아00203 | 등록일: 2018-08-29 | 발행인 : 연규순 | 편집인 : 연규식 | 전화번호 : 043-223-0885 Copyright @충북데일리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