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4.6℃
  • 구름많음강릉 15.4℃
  • 맑음서울 7.6℃
  • 구름조금대전 6.7℃
  • 구름많음대구 7.5℃
  • 맑음울산 10.7℃
  • 구름많음광주 9.8℃
  • 구름조금부산 15.6℃
  • 구름많음고창 7.8℃
  • 구름조금제주 13.7℃
  • 맑음강화 7.3℃
  • 구름많음보은 4.4℃
  • 흐림금산 4.7℃
  • 맑음강진군 9.3℃
  • 맑음경주시 7.1℃
  • 구름많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충북도,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타당성 검증완료, 서울대병원 오송 유치 위한 정부 설득에 본격 착수 -

 

충북도는 14() 충북학사 서서울관 소회의실에서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이날 최종보고회에는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 조영민 서울대병원 기획조정실장 및 박경수 삼정KPMG 상무가 참석하였다.

 

용역수행업체인 삼정KPMG정부와 제약·바이오 기업의 R&D 투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중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신약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대형 병원의 진료 과중과 연구 환경 악화로 인해 임상연구 수행 기반이 위축되고 있어,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설립이 대안이라면서, “충청권의 인구 증가, 오송을 경유하는 지방 환자의 유입을 산정했을 때 병상수요 확보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복원 경제부지사는 바이오 분야 초격차 기술 확보 및 글로벌 선도 수준 달성을 위해서는 글로벌 수준의 R&D 임상연구병원이 설립되어야 한다, “이 기능 수행에 최적의 병원인 서울대병원이 오송에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충북도는 서울대병원 R&D 임상연구병원 유치 계획은 제5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에 반영되어 있고, 설립에 대한 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이 매우 높은 만큼 정부 설득에 적극 나설 계획이며, 지역거점 병원인 충북대·충남대병원과 연계해 중부권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와 의료서비스를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R&D 임상병원 설립 용역 최종보고회

 

개 요

일 시 : 11. 14.() 13:30~14:30 오찬(12:00, 가시리 여의도점)

장 소 : 충북학사 서서울관 2층 소회의실(서울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25)

참석대상(5)

- (2) : 경제부지사, 바이오정책과장

- 서울대병원(1) : 조영민 기획조정실장

- 용역사(2) : 박경수 상무, 김도현 이사

주요내용 : 용역 최종보고 및 질의응답, 향후 추진방향 등 논의

 

진행순서

 

시 간

 

진행순서

비고

60

13:30 ~ 13:35

5‘

개회 및 기념촬영

 

13:35 ~ 13:55

20‘

최종보고

김도현 이사

13:55 ~ 14:25

30‘

질의응답, 향후계획 논의

 

14:25 ~ 14:30

5‘

폐회

 

 

 

최종보고 주요내용

설립 방향

 

타당성 검토(B/C)

 

 

붙임

 

글로벌 R&D 임상병원 설립 개요

 

 

위 치 :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내

사업기간 : 2026~2030

사 업 비 : 9,353억 원(국비 2,003 지방비 7,350)

운영주체 : 서울대병원

주요내용 : 뇌신경계, 치매인지, 희귀난치질환, 감염병 특화 연구중심의 R&D 임상병원 건립(600병상)

 

 

주요내용

 

구 분

주요추진 과제

글로벌바이오클러스터
앵커병원 구축

첨단의료복합단지, K-바이오 스퀘어 등과 연계한 기술실증임상시험 중심 병원 구축

····관 연계를 통해 오송 바이오 클러스터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 플랫폼

국가전략형 임상시험
체계 구축

신약, 감염병, 희귀·난치질환 등 국가적 임상과제를 지원할 공공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

질병관리청, 식약처 등 연계하여 기관 네트워크 연구 및 연구자 주도 임상 거점화

충청권 지역책임형
필수의료체계 구현

중부권 내 필수의료 제공, 고난도 질환 및 임상연계 환자관리 수행 종합병원 운영

600병상 규모 스마트병원 기반, 지역 의료공백 해소 및 차세대 공공의료 모델 제시

시도별 인구 1천명당 상급종합병원 병상수 전국 최저 수준(전국 평균 0.96) 충북 0.5, 충남 0.48, 세종 0

 

 

주요기능

 

주요기능

병상규모

주 요 내 용

임상연계형 종합병원 운영

550병상

(일반진료) 400병상 운영(일반 350, 중환자실 50)

- 중증환자 대상 의료서비스를 통해 지역의료 안전망 강화 및 수도권 집중 완화 등 의료균형의 거점

(특화진료) 중개임상진료센터 150병상 운영

- 진료 초기부터 환자의 임상연구 참여를 유도하고 임상 현장 기반 진료와 연구가 융합되는 통합 모델 구현

임상현장 기반 연구센터 운영

50병상

(임상연구센터) 입원병동 50병상 운영

- 특화진료와 연계하여 연구 대상 환자 선별, 데이터 수집, 연구 수행까지 전주기 연구시스템 구현

 

위치도

 

 

오송역 도보 10, 전국 임상시험 참여 노인들의 접근성 매우 우수, 대한민국 노화 코호트 확보 용이

 

추진상황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MOU : ’22. 3. 22.

정부, 첨단산업 글로벌 클러스터 육성방안 반영 : 23. 6. 1.

정부, 4차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23~’32) 반영 : 23. 6. 7.

R&D 임상연구센터 사전타당성용역(충북도, 삼정KPMG) : 25. 5.~11.

서울대병원 관계자 오송 방문(2) : ’25. 5. 16., 6. 27.

21대 대선공약 반영 : 25. 6.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승인(국토부) : 25. 8. 28.

(국토부 보도자료 주요내용) K-바이오를 선도할 핵심 거점이자 한국판 켄달스퀘어 구축,
대한민국 미래 100년 책임질 바이오 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향한 전환점

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반영(복지부) : 25.10.23.

 

기대효과

(정책적 효과) 기초~임상~생산의 연계 체계를 기반으로 전 주기 보건연구개발 체계의 국가적 완결성 확보

(경제적 효과) 보건의료기술의 임상 실증 기반을 확보, 조기 시장 진입을 통해 사업화 촉진과 글로벌 시장 산업 경쟁력 강화

(사회적 효과) 중부권 중증 질환자 대상의 진료 인프라를 확충하여 지역 간 의료접근성 격차 해소를 통한 필수의료 접근성 확대

(기술적 효과) AI 활용한 스마트병원 기술을 기반으로 임상연구와 진료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통합 디지털 임상연구 환경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