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8 (화)

  • 맑음동두천 -0.3℃
  • 맑음강릉 2.3℃
  • 구름조금서울 2.2℃
  • 흐림대전 3.3℃
  • 맑음대구 4.5℃
  • 맑음울산 3.2℃
  • 흐림광주 5.6℃
  • 맑음부산 5.1℃
  • 구름많음고창 3.6℃
  • 제주 9.4℃
  • 맑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3℃
  • 흐림금산 2.3℃
  • 흐림강진군 6.0℃
  • 맑음경주시 0.0℃
  • 맑음거제 5.6℃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충북여성재단, 사라진 직업으로 다시 만나는 충북 여성의 삶과 목소리 ‘2025 충북여성생애구술사 이야기마당’ 성황리에 마쳐

 

사라진 직업으로 다시 만나는 충북 여성의 삶과 목소리

‘2025 충북여성생애구술사 이야기마당성황리에 마쳐

- 충북여성재단, 지역 여성 노동 역사의 복원과 기록의 의미 되새겨 -

 

 

충북여성재단(대표이사 유정미)2025 1118() 오후 2, 충북미래여성플라자 A동 로비에서 <2025 충북여성생애구술사 이야기마당>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충북여성사: 잊혀진 노동, 살아있는 목소리 사라져가는 직업에 종사한 충북의 여성들보고서 발간을 기념해 열린 이번 이야기마당에는 구술에 참여한 9명의 여성들과 함께해 지역의 역사 속 여성의 사회진출과 직업의 흔적을 조명했다.

 

이번 충북여성생애구술사사업은 1970~80년대를 중심으로 이제는 거의 사라진 양잠농부, 화장품 방문판매원, 전화교환원(전화국/우체국), 타자수, 의상실·한복집 주인, 방앗간 주인, 조산사 등 9개 직종에 종사했던 충북 여성들의 생애를 구술인터뷰를 통해 담아냈다. 특히 그간 청주에 집중됐던 여성사 기록이 지리적 한계를 넘어 보은·진천·증평·충주·제천·음성 등 충북내 8개 시군으로 조사 범위를 확장해 지역적 다양성을 확보했다.

 

<2025 충북여성생애구술사 이야기마당> 1부에서는 사업 경과보고와 함께 구술자들의 인터뷰를 기록한 아카이빙 영상이 상영되었고, 2부에서는 구술자들이 직접 나와 그간의 경험과 소회를 생생하게 전달했다. 양잠농부 이은근 씨(94/보은)누에가 너무 이뻐서 일을 그만두지 못한다고 말했고, 화장품 방문판매원 정숙희 씨(86/진천)무거운 가방을 들고 하루종일 걸었던 시간이 자부심으로 남는다”, 전화교환원 출신 이춘대 씨(85/충주)내 말 한마디에도 정성을 다했던 시절이라며 과거를 회상했다. 우체국 전화교환원이었던 박정순 씨(79/청주)일하면서 남들 사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던 탓에 지금도 누가 비밀얘기를 하면 모르는척 한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고, 직접 조산소를 운영했던 홍성명 씨(71/증평)임산부나 아기들한테 정성을 다하다보니 내 마음도 좋아지더라며 직업적 자부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현주 충북여성재단 정책연구팀장은 이번 구술작업은 단순한 정보수집이 아니라, 우리가 망각해온 역사의 단단한 기반을 다시 만나는 경험이었다, “인터뷰는 기억과 감정을 존중하며 삶을 함께 되짚는 치유의 시간이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는 여성들이 가족 생계의 중심이자 지역사회 노동 주체로서 겪은 성차별, 직업적 편견, 노동의 애환과 자부심이 복합적으로 담겼다. 이들의 생애사는 근로자의 노동사이자 산업과 기술의 발전사이며, 성별화된 사회 속에서 여성이 어떻게 저항하고 주체로 성장했는지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여성사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여성 기록전문가 양성과정을 이수한 구술 작가들과 사진·삽화 작가, 그리고 역사·여성사 전문가들의 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기획과 섭외, 채록, 집필, 감수까지 1년 여의 정성과 연대가 깃들었다. 삽화 속 타자기, 전화기, 누에상자, 바느질과 방앗간 기계는 더 이상 일터에서 보기 어렵지만, 그 도구들을 지녔던 여성들의 삶은 이번 이야기마당을 통해 역사 속 본문으로 복원되었다.

 

유정미 충북여성재단 대표이사는 이들 아홉 명의 여성은 산업화와 도시화의 시대를 살아낸 생생한 역사 그 자체이며, 이 기록은 단지 직업의 흔적이 아니라 그들이 만든 사회적 기여와 의미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여성의 이름으로 지역사를 써 나가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충북여성재단이 펴낸 이번 보고서는 4년 만에 재개된 생애구술사이자 아홉 번째 충북여성사 발간물로서, 지역 여성의 노동과 기억, 삶의 존엄을 복원하는 중요한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이번 이야기마당은 충북 여성의 숨겨진 노동과 존재를 조명하며, 지역의 성평등한 역사 서술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관련 문의는 충북여성재단 정책연구팀(043-285-2624)로 하면 된다.

 

붙임. 보도사진(메일별송)

 

자료제공 : 충북여성재단 정책연구팀 043-285-2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