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교육을 위한
기초학력 진단평가 개선 방안 및 로드맵 (안)
목적 및 방침
〇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충북에듀테크 활용 평가를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진단 및 맞춤형 피드백
〇 학습역량, 학습유형, 학습저해요인, 정서행동환경, 학습동기, 학교생활 적응도, 관계성 등 비인지적 진단활동 병행
〇 맞춤형 피드백으로 성장하는 이력을 공유하며 학교에 대한 신뢰 회복 및 교사를 존중하는 분위기 형성
근거 및 배경
〇 기초학력보장법, 기초학력보장법시행령
〇 「제20대 대통령 국정과제 4-82. 모두를 인재로 양성하는 학습혁명」
〇 「제18대 충북교육감 선거공보. 스마트 기반 평가를 통한 학생성장 맞춤형 교육」
〇 코로나 19로 인한 (기초)학력저하, 공교육정상화, 문해력 저하 문제 대두
기초학력 진단평가 현황 및 검토사항
구분 |
현행 |
검토사항 |
대상학년 |
초3-고1 |
초 1~2학년 3’Rs 결손 요인 조기 파악 필요 |
*과목 |
3’Rs, 필수, 선택 과목 |
필수과목의 확대 필요 |
시기 |
3월 기초학력 진단의 달 운영 |
보정지도 후 1차~3차에 걸친 향상도 평가에 대한 인식과 이해도 부족 |
평가도구 |
3종류 병행(진단-보정 시스템, 학교출제, 담임출제) |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시스템으로 일원화 필요 |
선정기준 |
지필평가+관찰+상담 |
지필평가만으로 한정할 우려가 있음 |
결과분석 |
기초학력향상지원기본계획 제출 |
다양한 분석으로 다각적인 보정이 요구됨 |
기타 |
학교급별 연계지도 언급 없음 |
학교급간 기초학력에 대한 연계와 이해도 부족 |
*현행 기초학력 진단평가 대상학년 및 과목 현황
학교급 및 해당학년 |
필수/선택 |
과목 |
초등학교 3~6학년 |
3’Rs(읽기, 쓰기, 셈하기) |
|
초등학교 3, 4, 5, 6학년 |
필수 |
국어, 수학 |
선택 |
사회, 과학, 영어 |
|
중 1학년~고 1학년 |
필수 |
국어, 수학, 영어 |
선택 |
과학, 사회(역사) |
기초학력 진단평가 개선 방안
□ 평가 대상 및 필수 과목의 단계적 확대
현행 |
개선 |
||||
학년 |
필/선 |
과목 |
학년 |
필/선 |
과목 및 적용 시기 |
초 3~6 |
3’Rs(읽기, 쓰기, 셈하기) |
초 1 |
기초한글(’23. 9월), 연산(’23. 9월) |
||
초 2 |
3’Rs(’23. 3월) |
||||
초 3~6 |
3’Rs(읽기, 쓰기, 셈하기) |
||||
초 3~6 |
필수 |
국어, 수학 |
초 3~6 |
필수 |
국어, 수학, 영어(’23), 사회(’24), 과학(’24) |
선택 |
사회, 과학, 영어 |
||||
중 1~고 1 |
필수 |
국어, 수학, 영어 |
중 1~중 3 |
필수 |
국어, 수학, 영어, 과학(’23), 사회(’24) |
선택 |
과학, 사회(역사) |
고 1 |
필수 |
국어, 수학, 영어 |
|
선택 |
과학, 사회(역사) |
||||
활용 가능성 |
ㆍ기초기본 학력진단보정 ㆍPC, 시험지 병행 |
활용 가능성 |
ㆍ기초기본 학력진단보정, ㆍ일부 다차원 진단 ㆍ스마트패드, PC, 시험지 병행 |
□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평가 도구 충북에듀테크시스템으로 일원화
◦ 2022년 하반기: 충북에듀테크시스템(시범-수학, 영어)/진단-보정시스템/
학교자체/교사자체 병행 실시
◦ 2023년: 충북에듀테크시스템(운영-국어, 수학, 영어) / 진단-보정시스템 병행
◦ 2024년: 충북에듀테크시스템으로 일원화
시스템 |
활용 가능성 |
년도별 실시과목 계획 |
충북에듀테크시스템 |
ㆍ기초기본 학력진단보정 ㆍ과목별 심화 보충 ㆍ예체능과목도 진단 ㆍ다양한 다차원 진단 ㆍ스마트패드 위주 |
ㆍ2022년: 수학(시범), 영어(시범) ㆍ2023년: 국어, 수학, 영어 ㆍ2024년: 국어, 수학, 영어 + 과목추가 |
□ 시기별, 대상별 명확한 책무성 제시
시기 |
내용 |
학교급 및 대상학년 |
과목 |
대상 |
3월 |
기초학력진단의 달 |
초등학교 2~6학년 |
3’Rs |
전체학생 |
초등학교 3~고 1학년 |
교과 |
전체학생 |
||
6월 |
기초학력 1차평가의 달 (1차 향상도 평가와 연계) |
초등학교 2~6학년 |
3’Rs |
3월 진단에서 부진학생 |
초등학교 3~고 1학년 |
교과 |
3월 진단에서 부진학생 및 향상도 검사 희망자 |
||
9월 |
기초학력 2차평가의 달 (2차 향상도 평가와 연계) |
초등학교 1학년 |
한글, 수학 |
전체학생 |
초등학교 2~6학년 |
3’Rs |
3, 6월 진단에서 부진학생 |
||
초등학교 3~고 1학년 |
교과 |
3, 6월 진단에서 부진학생 및 향상도 검사 희망자 |
||
12월 2~3주 |
기초학력향상평가 주간 (3차 향상도 평가와 연계) |
초등학교 1학년 |
한글, 수학 |
전체학생 |
초등학교 2~6학년 |
3’Rs |
전체학생 |
||
초등학교 3~고 1학년 |
교과 |
전체학생 |
□ 평가 결과의 다차원적 분석: 학습지원대상자 특성에 따른 진단결과의 분석
◦ 일반/다문화/탈북, 일반/ADHD, 일반/난독, 연속선정, 다과목선정 등 분석
기초학력 진단평가 내실화를 위한 현장 지원 방안
□ 충북에듀테크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장소통체계 구축 및 평가도구 제공
□ 학교급 연계성 및 문해력·독서교육 강화, 현장지원 연수, 모니터링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