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4일 보도자료]
1. 충북교육청, 1월 4일까지 초등학교 취학예정자 예비소집 실시
2. 충북교육청, 2023년 교육복지사업 확대 추진
충북교육청, 1월 4일까지 초등학교 취학예정자 예비소집 실시 |
충북교육청은 1월 4일(수)까지 2023학년도 초등학교 취학예정자에 대한 예비소집을 학교별로 실시했다고 밝혔다.
2023학년도 도내 초등학교 의무취학 예정자수는 13,976명으로 전년도보다 521명 감소했고, 향후에도 계속 취학대상자 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올해 예비소집일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역과 학교 상황에 맞춰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1월 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대부분의 학교가 학생 안전 및 소재파악을 위해 대면접수를 실시하고 있으나, 승차 확인(드라이브스루) 방식, 워킹스루 같은 방식과 비대면 접수인 온라인 예비소집, 화상통화 및 전화통화, 줌 활용 등을 함께 진행하였다.
이번 예비소집 대상은 2016년 1월 1일 ~ 12월 31일 사이 출생 아동과 전년도 미취학아동, 2017년생 조기입학 신청 아동 등이다.
아울러 예비소집에 응소하지 않은 학생에 대하여는 유선 연락, 가정 방문, 학교방문 요청 등 절차가 진행되며, 학교는 아동의 소재·안전이 확인되지 않으면 관할 경찰서에 소재 파악을 위한 수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참고로, 취학아동수가 0명인 예상교는 총 6교, 1명인 예상교는 13교로 예상된다.
[참고자료] ❍ 취학아동수 0명 예상교: 6교 - 수성초 구성분교, 미원초 금관분교, 용원초 동락분교, 판동초 송죽분교, 대가초, 영춘초 별방분교 ❍ 취학아동수 1명 예상교: 13교 - 동화초, 수회초, 산외초, 군서초, 동이초 우산분교, 증약초 대정분교, 심천초, 양산초, 초강초, 학성초, 가평초, 가곡초, 가곡초 보발분교 ❍ 취학아동수 250명 이상 예상교: 6교 - 솔밭초, 용아초, 중앙초, 청주내곡초, 창리초, 증평초 |
충북교육청, 2023년 교육복지사업 대폭 확대 추진 |
충청북도교육청은 올해 교육복지사업을 대폭 확대하여 전년도에 편성한 3,387억원보다 489억원을 증액한 3,876억원을 편성했다.
충청북도교육청은 2023년 도내 모든 학생들의 교육복지 기회 보장과 지원으로 교육 소외 및 불평등 요소를 없애고 생애발달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교육과정이나 학습기회 보장하는 사업, 공교육비 부담 경감 사업, 유아·특수교육을 위한 사업, 학교 돌봄기능 강화를 위한 사업, 학생의 심신 건강 증진을 위한 사업,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사업, 취약계층 학생을 위한 사업 등 7개 분야 40개 세부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 중 공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지원 사업(무상급식, 무상 교과서, 무상교복 및 고교 무상교육 등)을 전년보다 210억원 증액하여 1,473억원을 편성하였으며, 특히 수학여행·학생수련활동·1일형 체험학습 등 현장체험학습비를 대상 학년 전체에게 지원하기 위해 전년보다 274억원 증액한 293억원을 편성하여 보편적 복지지원을 확대한다.
또한, 취약계층의 졸업앨범비 지원 대상을 기존 저소득층 학생에서 다자녀 학생까지 확대하여 학부모 부담 경감 및 교육격차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학교를 전년보다 11교 확대하여 107교를 운영하고, 학교·가정·지역사회를 연결하여 교육복지 공백을 최소화하는 교육복지안전망을 기존 7개 군지역에서 도내 전체로 확대하여 운영한다.
충청북도교육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모든 학생을 위한 보편적 복지는 더 가깝고 폭넓게 다가가고, 취약계층을 위한 선별적 복지는 더 두텁고 든든하게 지원하여 도내 모든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2023년 교육복지사업 추진 내용
-참고자료-
1. 2023년 추진사업 총괄 현황
추진사업별 예산 총괄 (단위: 천원)
추진사업 |
2022년 |
2023년 |
증감 |
|||
예산액 |
구성 비율 (%) |
예산액 |
구성 비율 (%) |
예산액 |
구성 비율 (%) |
|
교육과정·학습기회 보장 |
27,012,801 |
8.0 |
31,452,085 |
8.1 |
4,439,284 |
0.1 |
공교육비 부담 경감 * 무상급식비 |
126,207,872 |
37.3 |
147,276,372 |
38.0 |
21,068,500 |
0.7 |
유아특수교육 * 유아학비(누리과정비) |
149,567,134 |
44.2 |
141,416,519 |
36.5 |
△8,150,615 |
△7.7 |
학교 돌봄기능 강화 |
8,240,350 |
2.4 |
8,673,880 |
2.2 |
433,530 |
△0.2 |
학생심신건강증진 |
2,285,731 |
0.7 |
2,802,256 |
0.8 |
516,525 |
0.1 |
다문화·탈북 등 소외계층학생 |
1,620,940 |
0.4 |
1,994,840 |
0.5 |
373,900 |
0.1 |
취약계층 교육비, 교복, 위생용품 * 현장체험학습비 |
23,833,093 |
7.0 |
54,050,215 |
13.9 |
30,217,122 |
6.9 |
합계 |
338,767,921 |
100 |
387,666,167 |
100 |
48,898,246 |
100 |
추진사업 현황
❍ 2023년 교육복지사업 예산액은 387,666,167천원으로 2022년 최종 예산액인 338,767,921천원에 비해 48,898,246천원 증가함.
❍ 2023년 교육복지사업 중 유아특수교육 사업이 141,416,519천원으로 교육복지사업 구성비율의 36.5%, 공교육비 부담 경감 사업이 147,276,372천원으로 교육복지사업 구성비율의 38%이며, 유아특수교육 및 공교육비 부담 경감 사업이 전체 교육복지사업의 74.5%를 차지함.
❍ 2023년 교육복지사업 중 취약계층 학생을 위한 지원사업비가 전년 대비 30,217,122천원 증가한 54,050,215천원으로 2022년 구성비율 7%에서 6.9% 상승하여 2023년 교육복지사업 구성비율의 13.9%를 차지함.
2. 2023년 교육복지사업 주요 사항
❍ (기초학력 안전망 운영 지원 강화) 다차원 학생성장 플랫폼을 활용한 객관적 진단 및 맞춤형 피드백 제공, 초등 문해력 및 수리력 강화 지원 등 모든 학생의 평등한 출발선 보장과 교육결손 해소를 위한 지원 강화
❍ (무상교복비 지원금액 확대) 소득 수준에 관계 없이 모든 신입생에 대한 교복 지원금액 확대(300천원→314천원)로 공교육비 경감 및 보편적 교육복지 실현
❍ (무상급식비 지원단가 인상) 무상급식 식품비 단가 초·중·고 평균 27.5%, 특수 5.6% 인상, 운영비 3.5% 인상, Non-GMO식품 구입비 1인당 10원 인상 등 모든 학생에게 차별 없는 급식 제공, 우수 식재료 사용 및 바른 먹거리 제공으로 신뢰받는 학교급식 제공
❍ (특수교육 지원인력 운영 확대) 특수교육 보조인력 증원(특수교육실무사 및 자원봉사자 900명→1,060명)으로 맞춤형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
❍ (위기학생 심리·정서 지원 확대) 위기 학생에 대한 체계적인 상담활동을 통해 학교 부적응 조기 진단, 치유를 통한 예방, 심리·정서 통합지원 등 학교현장 집중 지원 확대
❍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확대)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한국어학급 신·증설을 통한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확대로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교육 환경 조성 강화
❍ (현장체험학습비 지원 확대) 단위학교의 수학여행, 수련활동, 1일형 현장체험학습 등 교육여행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상 학년 전체 학생에게 지원하여 학부모 교육비 경감 및 보편적 복지 지원 확대
❍ (저소득층 및 다자녀 졸업앨범비 지원 확대) 다자녀 학생 졸업앨범비 지원 추가에 따른 대상인원 증가(3,745명→6,936명)로 학부모 부담 경감 및 교육격차 완화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운영 확대) 교육복지우선지원 사업학교 확대(96교→107교), 시지역 교육복지안전망 추가 구축(7군 지역 7개→도내 전체 14개) 등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 지원 강화
❍ (유아학비(누리과정비) 원아수 감소) 공·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 만 3~5세 원아수 감소(65,462명→59,436명, △6,026명)에 따른 총예산액 △11,614,856천원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