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달라지는 지원시책·제도
분 야 |
시책 및 제도 내용 |
담당부서 |
행복 돌봄 (교육) 12건 |
◦열정드림 장학금 지원(증평군 평생학습관 검정고시 교육과정 합격자 우선선발) - 30명, 1인/200천원 지원 ◦출산가정 자녀 사진비 지원(10만원상당 → 15만원상당) |
미래전략과 |
◦일상돌봄 서비스 사업 지원대상 완화 - 지원대상: 가족돌봄청(소)년 연령기준 만13~19세 → 가족돌봄청(소)년 연령기준 만9~39세로 완화 |
복지지원과 |
|
◦상하수도요금 감면 확대 - 지원대상: 19세이하 자녀 3명 이상인 다자녀가구 → 19세 이하 자녀 2명 이상인 다자녀가구 |
수도사업소 |
|
◦어르신 성인용 보행기 지원 - 지원대상: 관내 65세이상 노인으로 보행이 불편한 자(기초생활수급자, 의료급여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수급자) 지원내용: 보행기 구입비 최대 20만원 이내 실비 지원 ◦디딤씨앗통장 지원대상 확대 - 지원대상: 차상위계층 아동까지 확대 지원 |
행복돌봄과 |
|
◦분만취약지역 군(郡)지역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영수증 미지참시 대중교통 요금(왕복)으로 지급 가능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확대 - 지원횟수(1인/25회) → (출산당/25회) - 지원금액(연령별 지원금액 상이) → 연령 무관(지원금 동일)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 (신청기간) 출산예정일 40일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 (유효기간)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확대 - (지원대상) 여성이 15~49세인 예비부부 또는 부부 → 20~49세 가임력 검사 희망자 - (지원횟수) 평생 1회 → 주기별 1회, 최대 3회 |
보 건 소 |
분 야 |
시책 및 제도 내용 |
담당부서 |
행복 돌봄 (교육) |
◦우리동네 배움터(읍,면 평생학습센터) - 내용: 교육시설의 도심지역 편중 및 학습 격차 해소를 위해 34플러스센터, 창의파크, 도안문화센터에서 프로그램 운영 ◦차세대 도서관 서비스 ‘내일의 도서관’ 운영 - 내용: 독서환경의 다변화, 전자책, 오디오북 서비스 지원 |
미래전략과 |
공감 행정 5건 |
◦모바일 주민참여예산 창구 운영 - 내용: 휴대전화(모바일)를 통해 손쉽게 제안 ◦규제애로 온라인 소통창구 운영 - 내용: sns를 통해 쉽게 규제애로 사항 건의 |
기획예산과 |
◦모바일 체납처분 에고제 운영 - 내용: 지류 발송이 아닌 압류예고문을 카톡을 활용한 모바일 전자 문서 발송, 손쉽게 내역 열람 및 납부까지 가능(반송없는 송달 도모) |
재무과 |
|
◦온돌봄 여권배달 서비스 지원대상 확대 - 지원대상: 1953.1.1. 이전출생자 및 사회적 배려대상자 → 1953.1.1. 이전출생자 및 사회적 배려대상자, 만0~2세 이하 영유아 대상 |
민원소통과 |
|
◦개별공시지가가격 문자알림 서비스 - 대상: 증평군 토지 소유자 중 개별통지 신청자 - 내용: 개별공시지가 결정지가 및 열람, 이의신청기간 문자 통지 |
민원소통과 |
|
혁신 경제 1건 |
◦소상공인 대상 도시근로자 지원사업 - 내용: 지역소재 소상공인 사업장, 유휴인력을 대상으로 일자리 제공(근로자 고용부담 완화) |
경제기업과 |
미래 농업 3건 |
◦증평형 농촌일손 더하기 - 대상: 증평군 주소를 두고 영농을 영위하는 농업경영체 - 내용: 농촌인력 1인/8시간 고용시 인건비 75천원 또는 50천원 농가에 지원 ◦농촌체류형 쉼터 - 대상: 농업인, 주말, 체험영농을 하려는 사람 - 규모: 한세대 당 총 연면적의 합이 33㎡ 이내로 설치 ◦34플러스센터 대관 서비스 및 인삼홍보관 개관 - 내용: 공유부엌, 음악실, 다목적회의실 등 누구나 대관 신청 가능 |
농업유통과 |
분 야 |
시책 및 제도 내용 |
담당부서 |
문화 관광 체육 3건 |
◦트리하우스 개장 - 좌구산휴양림 내 새로운 숙박동 개장 ◦별천지숲인성학교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 - 대상: 4~8세 아동, 내용: 체험아동대상 안전교육 실시, 이용료: 6천원 |
휴양랜드사업소 |
◦증평종합운동장 트랙 개방 및 걷기운동 활성화 - 내용: 종합운동장 트랙 개방하여 걷기 운동을 통해 군민 건강 증진 |
체육진흥과 |
|
평생 복지 6건 |
◦보훈유공자(보훈명예수당, 보훈예우수당) 지원 확대(15만원→20만원) ◦긴급복지 지원금 확대 - 1인가구: 713,100원 → 730,500원 - 4인가구: 1,833,500원 → 1,872,700원 ◦충북형 중증장애인일자리 ‘함께근로’ 시범운영 - 내용: 출퇴근에서 근로활동까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꼐 일 할 수 있도록 인건비, 교통지 지원 ◦충북형 중증장애인 권리중심일자리 시범운영 - 내용: 고용시장 참여가 어려운 최중증장애인에게 사회참여공익형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해 사회참여 기회 제공 |
복지지원과 |
◦솔로(Solo)서기, 내1도 맑음 - 내용: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독거가구 중 고위험 가구 선정, 월 1회 안부확인(유선 또는 가정방문) ◦고독사 예방을 위한 ‘안부 살핌’ 운영 지원 - 내용: 고독사 위험군 안부확인 및 사회관계망 프로그램 운영 등 |
복지지원과 |
|
미래 증평 (환경) 2건 |
◦깔끄미로(1사 1도로 클린) 운영 - 내용: 사업체 스스로 주변 도로 1구간 이상 자율적 비산먼지 저감 활동 실시 ◦1회용품 사용저감 환경 우수업소 선정 - 내용: 관내 1회용품 사용 저감 환경 우수업소 5개소 선정하여 현판전달, 종량제봉투 및 음식물 스티커 지급 |
환경위생과 |
(미래전략과)
|
|
교육 분야 |
문의 |
증평군 미래전략과 ☎ 835-4634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신청자격 |
|
✓증평군 평생학습관 검정고시 교육과정을 통해 합격한 합격자(우선선발) ✓공고일 현재 1년이상 증평군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계속 거주하는 군민으로 2024년도 시행된 중졸 또는 고졸 검정고시를 합격한 만19세 성인
|
지원내용 |
|
✓선발예상인원 30명(1인당 200천원) 지원 |
선발방법 |
|
✓중·고졸 검정고시 합격자 접수비율에 따라 선발하되, 검정고시 성적 평 균점수가 높은 순으로 선발 |
기타사항 |
|
✓증평군민장학회 홈페이지 신청 후 증평군청 미래전략과 평생학습팀 서류 제출 ✓(재)증평군민장학회의 타 장학금과 중복 수혜 불가 |
기대효과
• 검정고시 합격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함으로써 중·고졸 학력 인증을 받지 못한 사람
들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목표의식을 심어주어 학업을 계속 이어나가게 함.
|
|
복지 분야 |
문의 |
증평군 미래전략과 ☎ 835-4622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관내 출생아로 출생신고된 영유아 |
|
관내 출생아로 출생신고된 영유아 |
지원내용 |
|
10만원 상당 기념사진 촬영권 |
15만원 상당 기념사진 촬영권 |
|
신청기간 |
|
출생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 (별도 신청서 작성 필요) |
출생신고 시 통합신청서 작성 (별도 신청서 작성 불필요) |
|
사용기한 |
|
촬영권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 |
촬영권 발급일로부터 6개월 이내 |
|
기타사항 |
|
✓ 협력업체(4개소) ∙ 예술사진관(증평읍 중앙로 206-1, 3층 / ☎ 043-836-4567) ∙ 조구성스튜디오(증평읍 중앙로 190-3 / ☎ 043-836-6448) ∙ 아이뽀스튜디오(증평읍 광장로 80-1, 4층 / ☎ 043-838-8320) ∙ 행복사진관(증평읍 두름로 114, 103호 / ☎ 010-6445-0987) |
||
|
기대효과
• 관내 출산가정에 ‘기념사진 촬영권’을 지원하여 출산을 축하하고 아기와의 추억을 간직하도록 하여, 출산 친화적 분위기 조성 기여
참고 |
출산가정 자녀 사진비 지원 |
□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5. 1. 1. ~ 12. 31.
❍ 사 업 비 : 11,040천원(군비)
❍ 사업대상 : 관내 출생아로 출생신고된 영유아
❍ 사업내용 : 1인 150천원 상당 기념사진 촬영권 지원
❍ 협력업체 : 총 4개소
- 예술사진관, 조구성스튜디오, 아이뽀스튜디오, 행복사진관
□ 세부 추진계획
❍ 지원기준
- 지원대상 : 부모가 증평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으며, 당해연도에 관내로 출생신고한 출산가정
- 신청자격 : 출생아의 부 또는 모
※ 부모가 모두 사망, 이혼 등의 사유로 대상자와 함께 거주할 수 없는
경우 주민등록을 같이 두고 있는 보호자도 신청 가능
❍ 신청방법 및 발급기준
- 신청방법 : 출생신고 시 행복출산 통합처리서비스 신청
- 유효기간 : 사진촬영권 발급일로부터 6개월
❍ 추진절차
출산서비스 통합 신청서 작성 (출생신고시) |
⇨ |
신청현황 새올행정시스템 확인 |
⇨ |
기념사진 촬영권 사용 |
⇨ |
사진대금청구 및 지급 |
출생아 가정 |
군(미래전략과) |
출산가정-> 협력업체 |
군(미래전략과)-> 협력업체 |
|||
출산서비스통합신청 접수 및 시스템 등록 |
사진촬영권 발급 및 등기우편 발송 |
|||||
읍·면사무소(민원팀) |
군(미래전략과) |
(복지지원과)
문의 |
증평군 복지지원과 ☎ 835-3544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가족돌봄청(소)년 연령기준 만 13~39세 |
|
가족돌봄청(소)년 연령기준 만 9~39세로 완화 |
지원내용 |
|
✓B-1(가사만 12시간) 유형 삭제 ✓고난도 사례 단가 75% ✓기본 A·C형 시간당 단가 - 참고 자료 참조 ✓병원동행 서비스 가격 - 시간당 1.5만원 ✓본인부담률 - 참고 자료 참조 |
✓B형으로 명칭 변경 ✓고난도 사례 단가 80%(5% 인상) ✓기본 A·C형 시간당 단가 인상 - 참고 자료 참조 ✓병원동행 서비스 가격 인상 - 시간당 1.7만원(+13%) ✓본인부담률 조정 - 참고 자료 참조 |
|
|
||||
|
||||
|
||||
|
이러한 사업입니다
구 분 |
|
내 용 |
지원대상 |
|
✓질병, 고립 등으로 일상생활에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만 19 ~ 64세) ✓질병 등을 앓는 가족을 돌보거나 그로 인해 생계를 책임지는 청년(만 9 ~ 39세) |
지원내용 |
|
✓기본서비스(재가 돌봄·가사 서비스), 특화서비스(병원동행 서비스)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읍면동 주민센터 |
신청기간 |
|
✓연중 모집(예산 소진 시까지) |
기타사항 |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제4조 참조 |
기대효과
•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을 대상으로 촘촘한 서비스 제공으로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돌봄이 필요한 가구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참고 |
일상돌봄 서비스 |
지원내용 관련
➊ B-1 유형(가사만 12시간) 삭제
현행 |
⇨ |
개정 |
|
돌봄+ 가사 |
A형(36시간) |
유지 |
|
C형(72시간) |
|||
가사 |
B-1형(12시간) |
삭제 ※ 기존 이용자는 재판정 시까지 |
|
B-2형(24시간) |
B형으로 명칭 변경 |
➋ 고난도 사례(제공인력 2인) 적용 사유 확대* 및 단가 인상
(제공인력 각 75%→각 80%, 긴급돌봄 동일)
* 주거환경 등을 고려하였을 때, 1인 투입으로 정상적 서비스 제공이
현저히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단, 해당 사유는 3개월 범위 내 지원 가능)
➌ 기본 A·C형 방문요양급여 수가를 준용하여 시간당 단가 인상
(시간당 약 1천 원 인상)
0.5시간 |
1시간 |
1.5시간 |
2시간 |
2.5시간 |
3시간 |
3.5시간 |
4시간 |
이용불가 |
25,000 |
33,000 |
42,000 |
49,000 |
55,000 |
62,000 |
68,000 |
4.5시간 |
5시간 |
5.5시간 |
6시간 |
6.5시간 |
7시간 |
7.5시간 |
8시간 |
77,000 |
85,000 |
93,000 |
101,000 |
110,000 |
117,000 |
123,000 |
136,000 |
➍ 바우처 총액 및 본인부담금
서비스 종류 |
바우처 총액(월) |
소득수준별 본인부담금 및 정부지원금 |
||
소득수준 |
본인부담금 |
정부지원금 |
||
|
|
수급자, 차상위 |
면 제 |
660,000원 |
120% 이하 |
(10%) 66,000원 |
594,000원 |
||
120~160% |
(25%) 165,000원 |
495,000원 |
||
160% 초과 |
(100%) 660,000원 |
0원 |
||
|
|
수급자, 차상위 |
면 제 |
1,320,000원 |
120% 이하 |
(10%) 132,000원 |
1,188,000원 |
||
120~160% |
(25%) 330,000원 |
990,000원 |
||
160% 초과 |
(100%) 1,320,000원 |
0원 |
||
|
|
수급자, 차상위 |
면 제 |
432,000원 |
120% 이하 |
(10%) 43,200원 |
388,800원 |
||
120~160% |
(25%) 108,000원 |
324,000원 |
||
160% 초과 |
(100%) 432,000원 |
0원 |
(행복돌봄과)
|
|
복지 분야 |
문의 |
증평군 행복돌봄과 ☎ 835-4825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지원대상 |
|
✓관내 거주 65세 이상 노인으로 보행이 불편한 자 - 기초생활수급자, 의료급여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초연금수급자 |
지원내용 |
|
✓성인용 보행기 구입비 최대 20만원 이내 실비 지원 ✓5년에 1회 지원(사용 중 수리 및 교체 비용 본인부담)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읍·면사무소 주민복지팀 |
신청기간 |
|
✓(지원신청) 연중 ✓(비용청구) 대상자 선정(지원 결정) 후 1년 이내 청구 |
제출서류 |
|
✓(지원신청) 신청서, 진단서 또는 소견서(등급외 A,B 판정자 제출 불필요) ✓(비용청구) 청구서, 통장사본, 구입 영수증 등 |
기타사항 |
|
✓(지원제외) - 장애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 다른 법령에 따라 지원받은 자 - 장기요양 등급판정자(1~5등급, 인지지원등급) 제외 |
기대효과
• 보행이 어려운 어르신들의 보행 불편해소 및 이동 편의증진
• 복지용구 급여를 통해 복지혜택을 받는 장기요양등급 판정자 이외에 보행이 어려운 어르신의 복지사각지대 해소
참고 |
어르신 성인용 보행기 지원 |
□ 필요성
❍ 보행이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성인용 보행기를 지원하여 보행 불편 해소 및 이동 편의증진에 기여하고자 함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1. ~ 12.
❍ 사 업 량 : 50명
❍ 사 업 비 : 10백만원
❍ 지원대상 : 관내 거주 65세 이상 노인으로 보행이 불편한 자 중
①「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제2호에 따른 수급자
②「의료급여법」제3조의3에 따라 수급권자로 인정된 사람
③「국민기초생활 보장법」제2조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④ 기초연금수급자로 군수가 성인용 보행기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자
❍ 지원제외 :「장애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등 다른 법령에 따라 지원을 받은 자
※ 장기요양 등급판정자(1~5등급, 인지지원등급) 제외
❍ 지원내용 : 성인용 보행기 구입비용 최대 20만원 이내 실비 지원
(구입비용이 지원금액 초과시 전액 본인부담)
❍ 지원절차 : 지원 신청 → 대상자 선정 → 보행기 구입 → 청구
❍ 구비서류
- (지원신청)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진단서 또는 소견서 (장기요양 등급외 A,B 판정자 제출 불필요)
- (비용청구) 청구서, 통장사본, 구입 영수증(카드명세표, 현금영수증, 세금계산서 등), 사업자등록증 등
□ 향후계획
❍ 성인용 보행기 지원사업 홍보 : 2025. 1. ~
❍ 성인용 보행기 지원 신청·접수 및 지급 : 2025. 1. ~ 12.
|
|
복지 분야 |
※ 분야명 : 복지, 보건, 경제, 문화 예술, 농정 축산, 환경,
일반행정, 소방 안전, 체육 관광, 교통, 감사 등
문의 |
증평군 행복돌봄과 ☎ 835-4843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0~17세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
|
0~17세 보호대상아동 및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차상위계층 아동 |
지원내용 |
|
아동의 저축액과 정부매칭 저축액 1:2로 매칭되는사업(최대10만원) |
아동의 저축액과 정부매칭 저축액 1:2로 매칭되는사업(최대10만원) |
|
신청기간 |
|
연중 |
연중 |
|
사용기한 |
|
24세 도달시 사용용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 |
24세 도달시 사용용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 |
|
|
|
|
|
|
기타사항 |
|
만기(18세)후 특정자립용도(학자금, 취업훈련비, 주거마련, 의료비, 결혼자금 등)에 한해 사용가능 |
만기(18세)후 특정자립용도(학자금, 취업훈련비, 주거마련, 의료비, 결혼자금 등)에 한해 사용가능 |
기대효과
• 취약계층 아동이 사회에 진출할 때 필요한 초기비용 마련함으로써 미래 성장 동력인 아동에 대한 사회투자로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을 육성하는데 기여
(보건소)
|
|
복지분야 |
문의 |
증평군 보건소 ☎ 835-4226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신청일 현재 도내 군 지역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중인 임산부 |
|
변동 없음 |
지원내용 |
|
임신~출산 기간동안 관외 산전진료 및 출산 목적의 진료 시 사용된 교통비 지원 |
변동 없음 |
|
지원금액 |
|
단태아 50만원, 다태아 이상 100만원 * 1일 한도 5만원 |
변동 없음 |
|
증빙서류 |
|
병원 진료일과 같은 날짜에 사용한 교통비 영수증 제출 * 교통비 영수증 미지참 시 지급 불가 |
병원 진료 당일 교통비 영수증이 없다면, 대중교통 요금(왕복)으로 지급 가능 |
기대효과
• 대중교통과 분만 인프라가 취약한 관내 임산부 이동편의 제공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출산환경 제공
|
|
보건분야 |
문의 |
증평군 보건소 ☎ 835-4226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난임진단을 받은 난임부부 |
|
변동 없음 |
지원내용 |
|
난임시술비의 일부 및 전액 본인부담금, 비급여 지원 |
변동 없음 |
|
지원횟수 |
|
1인당 25회 (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 |
출산당 25회 (체외수정 20회, 인공수정 5회) |
|
지원금액 |
|
45세 미만 신선배아 110만원 동결배아 50만원 인공수정 30만원 45세 이상 신선배아 90만원 동결배아 40만원 인공수정 20만원 |
연령무관 신선배아 110만원 동결배아 50만원 인공수정 30만원 |
기대효과
• 난임시술비 지원 연령차등 폐지 및 지원횟수 확대로 난임부부의 경제적·심리적 부담 완화
문의 |
증평군 보건소 ☎ 835-4226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국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가정 |
|
변동 없음 |
신청기간 |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 |
|
유효기간 |
|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 |
기대효과
•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 파견을 지원하여 모자 건강증진 도모 및 경제적 부담 경감
문의 |
증평군 보건소 ☎ 835-4226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여성이 15~49세인 예비부부 또는 부부 |
|
20~49세 가임력 검사 희망자 |
지원내용 |
|
필수 가임력 검사비 지원 여성 - 부인과 초음파, 난소기능검사 남성 - 정액검사 |
변동 없음 |
|
지원금액 |
|
여성 - 13만원 남성 - 5만원 |
변동 없음 |
|
지원횟수 |
|
평생 1회 |
주기별 1회, 최대 3회 1주기 20~29세 2주기 30~34세 3주기 35~49세 |
|
유효기한 |
|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검사 |
변동 없음 |
|
청구기한 |
|
검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청구 |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청구 |
|
기타사항 |
|
대리 신청 가능 |
대리 신청 불가능 |
기대효과
• 임신·출산 고위험 요인의 조기발견 기회 제공으로 건강함 임신·출산 지원
(민원소통과)
복지 분야 |
※ 분야명 : 복지, 보건, 경제, 문화 예술, 농정 축산, 환경,
일반행정, 소방 안전, 체육 관광, 교통, 감사 등
문의 |
증평군청 민원소통과 ☎ 835-3416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 |
지원대상 |
|
1953. 1. 1. 이전 출생자 (만 71세) 및 사회적 배려대상자 |
|
1953. 1. 1. 이전 출생자 (만 71세) 및 사회적 배려대상자에서 만 0~2세 이하 영유아 대상 확대 |
사 업 비 |
|
비예산 |
비예산 |
|
지원내용 |
|
여권 배송 서비스 |
여권 배송 서비스 |
|
신청기간 |
|
상시 |
상시 |
|
사용기한 |
|
- |
- |
|
기타사항 |
|
✓사업내용 ∙내용 |
|
기대효과
• 여권 민원 1회 방문(ONE-STOP) 서비스로 군민 편의성 제고
참 고 |
|
온돌봄 여권 배달 서비스 |
추진방향
○ 여권을 1회 방문(ONE-STOP)만으로 발급하여 민원 불편 해소
○ 임산부 및 24개월 미만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복지 서비스
사업개요
○ 기 간 : 연중
○ 사 업 비 : 비예산
○ 대 상 자 : 임산부 및 24개월 영유아를 둔 부모
○ 내 용 : 재방문이 어려운 임산부 및 24개월 미만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담당 공무원이 직접 여권을 전달하는 「온돌봄 여권배달 서비스」운영
※ 기존 만71세 이상 고령층 및 중증장애인 대상에서 임산부 및 24개월 이하 영유아를 둔 부모로 대상 확대
향후계획
○ 군 홈페이지 게시 및 보도자료 배포 홍보 : 2025. 1.
○ 온돌봄 여권 배달 서비스 운영 : 2025. 1.
(농업유통과)
농정 축산 분야 |
문의 |
증평군 농업유통과 ☎ 835-3714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지원대상 |
|
✓증평군에 주소를 두고 영농을 영위하는 농업경영체(세대별 지원) |
지원내용 |
|
✓농촌인력 1일 8시간 고용시 인건비 75천원 또는 50천원 농가에 지원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증평군 농업유통과 농정기획팀 |
신청기간 |
|
✓2025. 1. ~ 12. * 사업비 소진 시 조기 종료 |
구비서류 |
|
✓증평군 농촌인력 지원 신청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
기대효과
• 농촌인력 필요 농가에 농협과 연계하여 인건비를 지원함으로써 안정적인 영농활동 유지 도모
참 고 |
|
증평형 농촌일손 더하기 |
필 요 성
○ 농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인력난이 심화되고 인력 수급 불일치에 따른 농가 어려움 가중
○ 농촌 인건비 상승에 따라, 농가 수입 감소 등 농민들의 삶의질 하락에 따른 대책 마련
○ 사업 예산의 군비 절감을 위해 농협과 함께하는 지자체 협력사업의 발굴 필요
사업개요
○ 사 업 명 : 증평군 농촌인력 지원
○ 사업기간 : 2025. 1. ~ 12.
○ 지원대상 : 증평군에 주소를 두고 영농을 영위하는 농업경영체
○ 지원내용 : 인건비 = 군(50천원) + 농협(25천원) + *자부담
*자부담 : 인건비에서 75천원 또는 50천원 제외한 금액
○ 실제 근로활동 사실여부와 인건비지급내역 확인 후 사업비 지급
추진상황
○ 사업추진을 위한 간담회 실시 1~3차 : 2024. 4. ~ 8.
○ 증평군 농촌인력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 2024. 6. 14.
○ 증평군 농촌인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 2024. 9. 27.
○ 증평형 농촌일손 더하기 시범사업 시행 : 2024. 9. ~ 12.
향후계획
○ 증평형 농촌일손 더하기 성과분석회 : 2024. 12. 23.
○ 2025년도 사업시행 : 2025. 1.
문의 |
증평군 농업유통과 ☎ 835-3712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설치주체 |
|
✓농업인 ✓주말·체험영농을 하려는 사람 |
설치규모 |
|
✓농업인 또는 주말·체험영농을 하려는 사람이 “본인”이 “농작업용으로 직접 활용”할 경우, 한 개만 설치 가능 - (본인) 농업인 또는 주말·체험영농을 하려는 개인 또는 세대원 - (농작업용으로 직접 활용) 농작물 경작지 또는 다년생식물을 재배로 이용하는 경우에 한함 - (설치면적) 한 세대 당 총 연면적의 합이 33㎡ 이내로 설치 ⁕ 한 필지 내 농촌체류형 쉼터와 농막 동시 설치 가능하나 두 시설물의 연면적 합계가 33㎡ 이내여야 함 |
|
||
대상농지 |
|
✓「농지법」제2조제1호 가목 규정에 따른 농지(위험지역 등은 설치제한) ✓설치농지 최소 면적은 농촌체류형 쉼터 건축면적에 주차면적, 데크 등 부속시설 면적을 합산한 면적의 두 배 ✓현황도로 등에 연접한 농지 |
신청방법 |
|
✓가설건축물 축조 신고 절차에 따라 설치(세움터 또는 직접방문) |
의무사항 |
|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의무 ✓영농 의무 ✓농지대장 등재 의무 |
기대효과
• 농촌 생활인구 확산 및 농촌 소멸에 대응하고 농업인들에게 농업경영 편의를 높여 영농의 효율화에 기여
문의 |
증평군 농업유통과 ☎ 835-3754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신청대상 |
|
✓34플러스센터 내 시설을 이용하려는 자(1층, 3층 대관) |
시 설 명 |
|
✓1층 공유부엌, 공유오피스, 음악실 ✓2층 인삼홍보관, 스마트팜 ✓3층 다목적 프로그램실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증평군 농업유통과 농촌개발팀 ✓34plus.modoo.at에서 대관신청서 다운로드 가능 |
신청기간 |
|
✓연중 상시 신청 접수 |
이용료 면제 및 감면 |
|
✓증평군 인삼문화타운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제11조(이용료) 참고 |
기대효과
• 34플러스센터 활성화 및 증평인삼의 우수성 홍보
(휴양랜드사업소)
|
|
휴양관광분야 |
문의 |
휴양랜드사업소 좌구산휴양림 관리사무실 ☎ 835-4551 |
신개념 숙박시설 트리하우스 개장
구 분 |
|
내 용 |
명 칭 |
|
- 자작나무방(5인실), 단풍나무방(5인실) |
면 적 |
|
- 46.8㎡ |
사 용 료 |
|
- 성수기 : 22만원 - 비수기 : 14만원 |
개장시기 |
|
- 2025년 3월 예정 (12월 준공 후 시설보완 및 시범운영 후 정식개장 예정) |
예약방법 |
|
- 숲나들e 홈페이지에서 예약가능 (https://www.foresttrip.go.kr/index.jsp) |
할인 및 감면 |
|
- 좌구산휴양랜드 관리 및 운영조례 제6조[별표6] 참조 |
기대효과
• 좌구산휴양랜드의 부족한 숙박시설 확충으로 이용객의 불편함 해소
• 새로운 최신식 시설 도입으로 이용객의 만족도 제고
• 좌구산휴양랜드 활성화에 기여
참고 |
트리하우스 조성사업 |
□ 사업개요
❍ 위 치 : 증평읍 율리 산61-1번지(좌구산휴양림)
❍ 사 업 량 : 트리하우스 2동(1동 연면적 48.6㎡, 5인실)
※공정률 90%
❍ 사업기간 : 2024. 8. ~ 2025. 1.
❍ 총사업비 : 500백만원(도비 250, 군비 250)
- 250백만원/동 × 2동 = 500백만원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
❍ 트리하우스 조성사업 계약 : 2024. 8. 16.
❍ 트리하우스 조성사업 착공 : 2024. 8. 28.
❍ 공용건축물 착공 신고 : 2024. 9. 26.
❍ 기초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 2024. 10. 7. ~ 10. 11.
❍ 기타 골조 및 외부마감공사 : 2024. 10. ~ 11.
❍ 트리하우스 관련 조례 정비 : 2024. 11. ~ 12.
❍ 실내인테리어공사 : 2024. 12.
❍ 트리하우스 조성사업 준공 : 2024. 12.
❍ 트리하우스 운영관련 보완 : 2025. 1. ~ 2.
❍ 트리하우스 개장 : 2025. 3.
|
|
소방안전분야 |
※ 분야명 : 복지, 보건, 경제, 문화 예술, 농정 축산, 환경,
일반행정, 소방 안전, 체육 관광, 교통, 감사 등
문의 |
증평군 휴양랜드사업소 ☎ 835-4523 |
구 분 |
|
2025년 |
|
대 상 |
|
- 4~8세 아동 |
|
기 간 |
|
- 2025. 8. ~ 12.(매주 토·일요일) |
|
내 용 |
|
- 체험 아동을 대상으로 생활안전, 재난안전 등 안전교육 실시 |
|
모집방법 |
|
- “숲나들e“를 통한 사전예약(미예약건은 현장예약 가능) |
|
이 용 료 |
|
- 6,000원(입장비 2,000원, 체험비 4,000원) |
|
기타사항 |
|
- 외부 안전교육 강사 초빙 |
기대효과
• 안전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안전지식, 안전태도 등 안전의식을 내면화하여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참고 |
별천지숲인성학교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 |
□ 필요성
❍ 아동들이 프로그램 체험 시 아동들의 안전사고 위험을 최소화
❍ 안전교육을 통한 별천지숲인성학교 기능 확대
□ 사업개요
❍ 사 업 명 :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
❍ 기 간 : 2025. 8. ~ 12.(매주 토·일요일)
❍ 장 소 : 별천지숲인성학교 1층 다목적실
❍ 대 상 : 4 ~ 8세 아동
❍ 모집방법 : 숲나들e를 통한 사전예약(미예약건은 현장예약 가능)
❍ 사업내용 : 체험 아동을 대상으로 생활안전, 재난안전 등 안전교육 실시
❍ 이 용 료 : 6,000원(입장비 2,000원, 체험비 4,000원)
□ 추진상황
❍ 2023년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실적 : 560명(27회)
❍ 2024년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실적 : 633명(33회)
□ 향후계획
❍ 2025년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계획 수립 : ‘25. 7.
❍ 2025년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시행 : ‘25. 8. ~ 12.
□ 보도자료
증평군 별천지숲인성학교 “별천지와 함께하는 안전여행” 보도자료 |
(복지지원과)
|
|
복지분야 |
문의 |
증평군 복지지원과 ☎ 835-3512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독립유공자 ✓전상·공상군경, 무공수훈자(65세이상) |
|
✓독립유공자 ✓전상·공상군경, 무공수훈자(65세이상) |
지원내용 |
|
✓150천원 |
✓200천원 |
|
신청기간 |
|
✓연 중 |
✓연 중 |
|
신청장소 |
|
✓읍·면 행정복지센터 |
✓읍·면 행정복지센터 |
|
|
||||
|
기대효과
• 조국의 자주독립을 위해 공헌하고 헌신한 독립유공자의 명예를 선양하고자 함.
• 국가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고 실질적인 생활지원 확대
문의 |
증평군 복지지원과 ☎ 835-3542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경제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 |
|
변동없음 |
지원내용 |
|
✓생계지원 1인가구 713,100원 4인가구 1,833,500원 ✓의료지원 3백만원 이내 ✓주거지원(농어촌) - 3~4인가구 250,500원 ✓사회복지시설이용지원 - 4인가구 1,494,100원 ✓교육지원 - 초등(127,900원), 중등 (180,000원), 고등(214,000원) ✓연료비 : 150,000원 |
✓생계지원 1인가구 730,500원 4인가구 1,872,700원 ✓의료지원 3백만원 이내 ✓주거지원(농어촌) - 3~4인가구 250,500원 ✓사회복지시설이용지원 - 4인가구 1,494,100원 ✓교육지원 - 초등(127,900원), 중등 (180,000원), 고등(214,000원) ✓연료비 : 150,000원 |
|
지원요건 |
|
✓기준중위소득 75%이하의 소득, 일반재산 130백만원(농어촌기준), 금융재산 6백만원이하 |
변동없음 |
|
지원절차 (생계지원) |
|
✓생계지원 3개월 결정(시군구)→연장 (3개월 범위 내, 긴급지원 심의위원회) |
변동없음 |
|
재산기준 |
|
✓재산산정시 완화기준 지속운영 ✓주거용 재산 공제한도액 : 농어촌 35백만원 ✓생활준비금 공제율 : 기준중위소득 100% |
변동없음 |
|
|
기대효과
• 생계곤란 저소득 가구에 대한 최저생활 보장
|
|
복지분야 |
문의 |
증평군 복지지원과 ☎ 835-3532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지원대상 |
|
✓장 애 인 : 도내 거주하고 있는 18세 이상의 중증장애인 ✓비장애인 : 참여 장애인과 친분이 있는 18세 이상의 도민으로 직무지도원 양성과정을 수료한 사람 ✓사 업 장 : 도내 상시근로자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및 사회적경제기업 |
지원내용 |
|
✓인건비(사업장) : 2인 1조, 최저임금의 60% 지원(1일 3~4시간, 9개월) ✓교통비(참여자) : 조별, 1일 10,000원 |
사업기간 |
|
✓2025. 2. ~ 12.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민간위탁수행기관(미정) |
기대효과
•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하는 일자리 제공으로 장애인 가정에 소득 창출
• 장애인 의무고용률 이행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영부담 완화 및 개선
• 장애인의 사회활동 참여 활성화로 장애인식 개선에 기여
문의 |
증평군 복지지원과 ☎ 835-3532 |
새롭게 시작합니다
구 분 |
|
내 용 |
지원대상 |
|
✓장 애 인 : 주민등록상 증평군 거주하고 있는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중 미취업 중증장애인(최중증장애인) ✓전담인력 : 해당 사업 업무 추진에 적합한 자 |
지원내용 |
|
✓장 애 인 : 월 722천원 ✓전담인력 : 월 2,096천원 |
직무유형 (장애인) |
|
✓사회참여 공익형 :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 시 불편사항 개선 요구 및 장애인 권익보호, 환경보호 등 공익캠페인 ✓인식개선 활동 :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강의·공연 활동 등 ✓자아실현 창작형 : 예술(음악, 미술 등) 분야 창작 활동 등 |
사업기간 |
|
✓2025. 2. ~ 12. |
신청방법 |
|
✓(방문신청) 민간위탁수행기관(미정) |
기대효과
• 고용시장 참여가 어려운 최중증장애인의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 기회 제공
• 최중증장애인의 권리중심활동을 일자리로 인정·지원함으로써 자립기반 조성에 기여
(수도사업소)
|
|
수도요금 분야 |
※ 분야명 : 복지, 보건, 경제, 문화 예술, 농정 축산, 환경,
일반행정, 소방 안전, 체육 관광, 교통, 감사 등
문의 |
증평군 수도사업소 ☎ 835-4087 |
이렇게 달라집니다
구 분 |
|
종전(2024년) |
|
변경(2025년) |
지원대상 |
|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19세 이하 자녀가 3명 이상인 다자녀가구 ·정도가 심한 장애인 ·옥외 지하의 누수 등에 책임이 없는 자 |
|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19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다자녀가구 ·정도가 심한 장애인 ·옥외 지하의 누수 등에 책임이 없는 자 |
|
||||
|
||||
지원내용 |
|
가구당 5㎥(7,800원) |
가구당 5㎥(7,800원) |
|
신청기간 |
|
매달 |
매달 |
|
신청방법 |
|
∙수도사업소 방문 및 신청서 작성 |
∙수도사업소 방문 및 신청서 작성 |
기대효과
• 다자녀 가구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출산 극복에 일조
2 |
|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주민참여예산 신청 |
◇ 손쉬운 주민참여예산제도 참여를 위한 모바일 활용 활성화 ◇ 주민의 실질적 참여 확대로 소통 행정 강화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3. ~ 12.
❍ 방 법 : QR코드를 활용한 모바일 주민참여 창구 마련
❍ 주요 추진내용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접근성 강화
․ 주민참여예산 포스터 및 현수막에 QR코드를 삽입
․ 휴대전화(모바일)를 통해 연계된 신청창구로 바로 의견제시 가능
․ 군 홈페이지, 네이버블로그 등 각종 홍보자료에도 QR홍보 연계
- 주민 제안에 대한 신속한 소통체계 구축
․ 주민 모바일제안 신청 시 주민참여예산 담당자에게 자동 문자알림
․ 제안사항에 대한 신속한 답변으로 주민 만족도 제고
필 요 성
❍ 주민의 즉흥적 아이디어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창구 부족으로 실제 제안으로 연계되기 어려움
향후계획
❍ 증평군 주민참여예산제 운영계획 수립 : 2025. 2.
❍ 증평군 홈페이지와 QR코드 연계 접수창구 구축 : 2025. 3.
❍ 주민참여예산제 홍보(현수막, 전단지 등) 실시 : 연중
❍ 주민참여예산학교를 통한 참여방법 교육·홍보 : 2025. 3. ~ 4.
❍ 온․오프라인 주민참여예산 제안 신청접수 : 2025. 4. ~ 7.
팀 명 |
예산팀 |
담당자 |
행정7급 |
박재민 |
4 |
|
규제애로 온라인 소통창구 운영 |
◇ SNS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규제 애로사항을 건의할 수 있도록 온라인 소통창구 운영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2. ~ 12.
❍ 대 상 : 소상공인, 기업체 등 군민
❍ 방 법 :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 1:1 소통창구 운영
❍ 주요내용
- 증평군 규제애로 소통창구 카카오톡 채널 개설
- 다양한 규제애로사항을 상시 접수할 수 있도록 온라인 소통창구 운영
- 불합리한 규제 및 제도개선사항 중앙부처 건의
필 요 성
❍ 규제개혁 신문고 및 옴부즈만 등 접근이 어려웠던 기존 소통방식 개선
❍ SNS 활용하여 보다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통창구 필요성 증대
향후계획
❍ 소통창구 카카오톡 채널 개설 : 2025. 2.
❍ 규제 애로사항 접수 : 2025. 2. ~ 12.
팀 명 |
의회법무팀 |
담당자 |
세무6급 |
김동준 |
2 |
|
솔로(Solo)서기, 내1도 맑음 |
◇ 1인가구의 안부확인을 통해 위기가구의 안정적 정착 및 위기상황 예방 도모 ◇ 1인가구 급증에 따른 위험가구 예방적 ․ 상시적 발굴체계 구축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1. ~ 12.
❍ 대 상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1인 독거가구
❍ 총사업비 : 비예산
❍ 내 용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1인 독거가구 중 고위험 가구를 선정하여 월 1회 유선 ․ 가정방문 통해 안부 확인 실시(혹서기, 혹한기 집중 관리)
- 새로운 문제나 욕구 발생 시, 해당 기관 서비스 연계를 통한 위기상황
재발 예방
필 요 성
❍ 위기상황은 지체될수록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 안부 확인을 통한 보다 더 촘촘한 안전망 구축 필요
❍ 1인 가구의 지역사회 내 안정적 정착 및 보호체계 기반 마련
향후계획
❍ 사업계획 수립 및 대상자 선정 |
: |
2025. 1. |
❍대상자 모니터링 실시 및 실적관리 |
: |
2025. 2. ~ 12. |
팀 명 |
생활보장팀 |
담당자 |
사회복지8급 |
김가혜 |
4 |
|
고독사 예방을 위한‘안부 살핌’운영 지원 |
◇ 생애주기별 특성에 맞는 고독사 예방 대책 수립 및 서비스 연계 ◇ 고독사 위험군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관리하여 고독사 적극 예방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1. ~ 12. (연중)
❍ 사 업 비 : 20,000천원(국 10,000, 도 6,000, 군 4,000)
❍ 사업대상 : 관내 고독사 위험군(사회적 고립가구 포함)
❍ 내 용
- 고독사 위험군 발굴(복지사각지대 발굴시스템 활용·조사) |
- 민간협력 안부확인(인적 자원망 활용 모니터링) |
- 생활환경 및 행태 개선(주거환경 개선사업 등) |
- 사회관계망 형성 프로그램 운영 등 |
추진계획
❍ 증평군 고독사 예방 시행계획 수립 |
: |
2025. 1. ~ 2. |
❍ 고독사 위험군 선정(판단도구 활용) |
: |
연중 수시 |
❍ 안부확인 및 지원 프로그램 운영 |
: |
2025. 3. ~ 11. |
❍ 사후 모니터링 및 정산 |
: |
2025. 12. |
기대효과
❍ 고독사 위험군 안부확인 및 생활행태 개선으로 고독사 예방에 기여
❍ 사회관계망 형성지원을 통한 고립감 해소 및 사회적 기능 회복
팀 명 |
희망복지팀 |
담당자 |
행정7급 |
김지현 |
1 |
|
깔끄미로(1사 1도로 클린) 운영 |
◇ 공사장 또는 사업장 주변도로 1구간 이상 비산먼지 저감 활동 실시 ◇ 환경오염의 원인 제공자가 환경오염의 방지 및 제거에 앞장서고 스스로 책임지는 ‘원인자 책임 원칙’으로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기여 |
사업개요
❍ 위 치 : 증평군 일원
❍ 기 간 : 2025. 1. ~ 2025. 12.
❍ 대 상 : 공사 면적 1,000㎡이상 공사장 또는 장비 운영이 잦은 사업장 등
❍ 총사업비 : 비예산사업
❍ 내 용
- 사업체 스스로 주변 도로 1구간 이상 자율적 비산먼지 저감 활동 실시
- 실시 결과 보고 접수 및 모니터링 실시
필 요 성
❍ 사회적 책임이 있는 사업체의 자발적 환경개선 유도로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과 지역 환경 보전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향후계획
❍ ‘깔끄미로’(1사 1도로 클린) 추진 계획 수립 : 2024. 11. ~ 12.
❍ 홍보 및 신청자 모집 : 2025. 1. ~ 3.
❍ 사업 추진 및 지속적 모니터링 실시 : 2025. 4. ~ 12.
팀 명 |
기후대기팀 |
담당자 |
환경9급 |
김기모 |
3 |
|
1회용품 사용저감 환경 우수업소 선정 |
◇ 식당에서 사용되는 1회용품(종이컵, 물티슈 등) 사용 저감을 통한 일회용품 쓰레기 감소와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유도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1. ~ 2025. 12.
❍ 사 업 량 : 환경우수업소 5개소
❍ 총사업비 : 1백만원(군비 100%)
❍ 내 용
- 증평군 관내 1회용품 사용 저감 환경 우수업소 선정
- 선정된 음식점에 환경 우수업소 지정서 및 현판 전달, 종량제봉투 및 음식물 스티커 지급
필 요 성
❍ 2023년 11월 24일 이후 1회용품 규제 대상에서 종이컵이 제외 대상이 되며 식당에서 종이컵을 사용하는 곳이 늘어남
❍ 종이컵 대신 다회용컵을 사용토록 유도하여 일회용품 쓰레기를 줄이고 자원순환 사회로의 전환 필요
향후계획
❍ 1회용품 사용저감 환경우수업소 신청 홍보 : 2025. 3.
❍ 환경우수업소 선정 : 2025. 6.
팀 명 |
자원순환팀 |
담당자 |
환경9급 |
정희진 |
4 |
|
우리동네 배움터(읍·면 평생학습센터) 운영 |
◇ 「평생교육법」 및 「증평군 평생교육 진흥 조례」 개정에 따라 평생학습센터 설치·운영 의무화 이행을 통한 지역의 교육격차 해소 |
사업개요
❍ 운영기간 : 상반기(3~6월), 하반기(9~11월)
❍ 총사업비 : 8백만원(강사비, 재료비 일부 지원)
❍ 운영장소 : 3개소
- 증평읍(2) : 34플러스센터(송산리), 창의파크(장동리)
- 도안면(1) : 도안문화센터
필 요 성
❍ 교육시설의 도심지역 편중 및 지역별 학습 격차 문제 해소
❍ 읍·면별 생활권 학습공간 인프라 구축 및 평생학습 네트워크 강화
❍ 지역사회 요구 반영을 통한 평생학습도시의 체계적 관리
추진현황
❍ 읍·면 평생학습센터 운영 근거 마련(조례 개정) : 2024. 8. 9.
❍ 찾아가는 교육문화 프로그램 시범 운영 : 2023. ~ 2024.
- 도안면 문화센터 (캘리그라피, 식물그리기 등)
- 마을 경로당 (자화상 그리기, 그림책 여행 등)
❍ 우리동네 배움터 지정 및 개소식 : 2024. 11.
❍ 평생학습 매니저 양성과정 운영 : 2024. 12.
향후계획
❍ 우리동네 배움터 매니저 선발 : 2025. 2.
❍ 우리동네 배움터 프로그램 운영(상·하반기) : 2025.3.~5./9.~12.
팀 명 |
미래전략팀 |
담당자 |
행정8급 |
유재영 |
5 |
|
차세대 도서관 서비스“내일의 도서관” 운영 |
◇ 디지털 독서 환경 변화를 반영한 이용자 독서 욕구 충족 ◇ 도서관 이용자의 편의 도모와 공공도서관으로서의 인식 제고 |
사업개요
❍ 사업명 : 차세대 도서관 서비스 “내일의 도서관” 운영
❍ 기 간 : 2025. 1. ~ 12.
❍ 내 용
- 이용자들의 독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일상 속에서 언제든지 자유롭게 독서에 매진할 수 있도록 전자책 및 오디오북 서비스 운영
필 요 성
❍ 한국 최초 노벨문학상의 주인공 한강의 소설이 품귀 현상을 빚는 등 전자 매체에 대한 수요 급증
❍ 언제 어디서든 읽을 수 있는 편리성에 있어 청년층의 선호가 강함
향후계획
❍ 오디오북 키오스크 설치 : 2024. 12.
❍ 전자책 및 오디오북 컨텐츠 이용 활성화 : 2025. 1. ~
팀 명 |
도서관팀 |
담당자 |
사서7급 |
정민용 |
2 |
|
모바일 체납처분 예고제 운영 |
◇ 기존에 종이로 발송하던 압류예고문을 카톡을 활용한 모바일 전자문서로 발송하여 신속하고 정확, 반송 없는 송달로 자진납부 유도 및 신속한 채권확보에 기여 |
사업개요
❍ 기 간 : 2025. 1. ~ 2025. 12.
❍ 대 상 : 체납으로 인한 압류대상자
❍ 사 업 비 : 없음(공공운영비로 운영)
❍ 내 용
- 기존에 종이로 발송하던 압류예고문을 모바일로 발송
- 체납자의 주소지와 거주지 상이한 경우 또는 연락처가 불분명한 경우도 전자문서 발송가능
- 예고문 수령 후 체납 내역 열람 및 납부까지 가능
필 요 성
❍ 체납자의 재산압류 전 자진납부를 유도하기 위해 압류예고문 발송
- 주소불명·납세자 미거주 등으로 정확한 송달 어려움
- 연락처 미상 등으로 반송분에 대한 체납자 연락 어려움
❍ 체납자에게 압류 예고문 수령까지의 장시간 소요
기대효과
❍ 신속하고 정확한 체납처분 예고로 체납액 조기 징수
❍ 압류 등의 체납처분에 대한 조세 저항 감소
❍ 체납액 징수와 납세편의 제공하는 세정서비스 구현
팀 명 |
징수팀 |
담당자 |
세무7급 |
오민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