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진천군, 2025년도 군민안전보험 가입
2. 진천군, 2025년 생거진천 에코머니 사업 추진
3. 진천군, 영농철 맞아 농기계 안전 사용 당부
동 정
△ 송기섭 진천군수는 12일 오전 10시 군수 집무실에서 진행되는 성품 기탁식에 참석
행 사
△ 광혜원면 자장나눔 행사 = 12일 오전 11시 향미각
진천군, 2025년도 군민안전보험 가입
진천군 주민등록 주민이면 누구나 혜택
충북 진천군은 군민안전보험의 일부 보장금액을 확대해 시행한다고 11일 밝혔다.
군민안전보험은 진천군에 주민등록을 둔 모든 군민이면 자동 가입되는 군 사업으로 다른 보험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보장금액(최대 2천만원) 내에서 보상받을 수 있다.
보험금 청구 기간은 사고일로부터 3년 이내로 가입보험사로 신청하면 보상받을 수 있다.
올해 군민안전보험 총사업비는 9천300만원이며, 보장항목은 전년과 동일하고 보장항목 중 ‘사회재난사망’의 보장금액을 확대했다.
보장내용은 △자연재해 상해사망 2천만원 △폭발·화재·붕괴·상해 후유장애 2천만원 △폭발·화재·붕괴 상해사망 2천만원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후유장애 2천만원 △대중교통 이용 중 상해사망 2천만원 △강도 상해사망 2천만원 등이다.
또 △강도 상해후유장애 2천만원 △스쿨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비(1~5급) 2천만원 △농기계사고 상해사망 2천만원 △농기계사고 상해후유장해 1천800만원 △가스 상해위험사망 1천600만원 △가스 상해위험후유장해 1천600만원 △성폭력범죄피해 1천만원 △성폭력범죄상해 1천만원 △뺑소니 무보험차 상해사망 500만원 △야생동물 피해보상사망 700만원 △개물림사고 응급실내원치료비 50만원 △사회재난사망 2천만원, 실버존 사고 치료비(1~5급) 2천만원 등 총 19종을 보장한다.
다만 만 15세 미만은 상법에 따라 사망사고 보험금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며 스쿨존 교통사고 부상치료비는 만 12세 이하만 적용된다.
군은 모든 군민이 제도의 이점을 바로 알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상 범위, 보상한도액을 군 홈페이지(www.jincheon.go.kr) 등에 게시하고 있다.
또한, 전광판, 지방세 고지서, 이장교육 등 홍보 매체를 다양화할 계획이며, 군민안전보험과 보상관련 문의는 한국지방재정공제회(1577-5939), 그 외 내용은 진천군청 안전정책과(043-539-3686)로 문의하면 된다.
은민호 군 안전정책과장은 “군민안전보험이 일상생활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각종 사고로부터 피해를 입은 군민의 생활안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군민 모두가 행복한 으뜸도시 생거진천을 만드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진천군, 2025년 생거진천 에코머니 사업 추진
친환경 활동으로 모바일 교환권도 받고, 환경도 지키고
충북 진천군이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생거진천 에코머니 사업을 추진한다.
해당 사업은 진천군만의 특화사업으로 진천 군민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여자가 사진으로 친환경 활동을 인증하면 활동별로 포인트를 부여하며 일정 점수 이상을 적립하면 적립 순위에 따라 활동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이후 분기별 포인트 적립 상위 80명에게 문자 메시지로 커피쿠폰 등 모바일 교환권이 발송된다.
친환경 활동은 난이도에 따라 포인트가 차등 부여되는데 플로깅 활동, 대중교통 이용하기, 자전거타기, 장바구니 사용하기, 개인컵 사용하기, 우유팩 분리수거 하기 등 19가지 활동이 있다.
이는 모두 일상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군민 스스로 탄소중립에 동참하도록 도우며 지역 친환경 문화 정착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황용희 군 환경과 주무관은 “생거진천 에코머니 사업은 탄소발자국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군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친환경 문화를 만드는 큰 힘이 될 것”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진천군, 영농철 맞아 농기계 안전 사용 당부
충북 진천군 농업기술센터(소장 남기순)는 봄철 영농철을 맞아 트랙터, 퇴비살포기, 심경로터리, 보행관리기 등 겨울철 보관했던 농기계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 전 점검·정비를 당부했다.
먼저 엔진오일과 미션오일 등의 양과 상태를 점검해 보충하거나 교환해야 하며, 냉각수는 새는 곳이 없는지 확인하고 부족하면 보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볼트, 너트의 풀림 상태를 보고 풀린 곳이 있으면 조여주며, 에어클리너는 필터 오염 상태를 확인하고 청소하거나 교환해야 한다.
배터리의 경우는 전기 배선과 접속부, 전구, 퓨즈 등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교체해야 한다.
김태규 군 농촌지원과 주무관은 “농기계 사용이 많아지는 시기인 만큼 철저한 점검·정비를 통해 안전한 농작업 환경을 만들기 바란다”며 “농기계 점검, 정비, 수리가 어려운 마을에 경운기, 관리기, 예취기 등 소형기종을 중심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순회 수리교육, 내방수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