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목록
제 목 (6건) |
사진 |
ENG |
담당부서 |
▸ 도청 광장을 도민의 품으로! 본관 앞 잔디광장 준공 |
○ |
○ |
회계과 |
▸ 2023년 충청북도 대물림 음식업소 지정식 개최 |
○ |
○ |
식의약안전과 |
▸ 김명규 경제부지사, 특화단지 지원 협의체 참석 |
○ |
× |
산업육성과 |
▸ 기업들 발목잡는 규제 걷어내go~ 지역경제 살리go~ |
○ |
× |
법무혁신담당관 |
▸ 굿네이버스, 충북에 수해 피해복구 지원사업 추진 |
○ |
○ |
복지정책과 |
▸ 충북도 2023년 추석 명절 종합대책 추진 |
× |
× |
행정운영과 |
□ 금일 주요행사
시간 |
내 용 |
장 소 |
비고 |
관련자료 |
||
보도자료 |
사진 |
ENG |
||||
09:20 |
4급 임용장 수여 |
여는마당 |
|
× |
○ |
× |
09:30 |
본관 정원 잔디광장 준공식 |
본관정원 |
|
○ |
○ |
○ |
10:00 |
2023 대물림 음식업소 지정식 |
대회의실 |
|
○ |
○ |
○ |
10:40 |
수해피해 복구 지원 전달식 |
여는마당 |
|
○ |
○ |
○ |
11:30 |
저소득층 지원 성금 기탁식 |
여는마당 |
|
× |
○ |
○ |
16:30 |
중원포럼 |
청남대 |
|
× |
○ |
○ |
※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도청 광장을 도민의 품으로! 본관 앞 잔디광장 준공!
- 도민 삶의 연결고리, 문화 풀내음이 피어나는 잔디광장 준공 -
- 혁신의 충북도의 발자취를 상징하는 도청의 새로운 길 재탄생 -
22일 충북도청 앞마당에 새로운 길이 열렸다. 본관 앞 작은 정원에 생긴 세 갈래 길은 도청 정문을 통해서 그리고 지난 5월 17일에 개관 후 도민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산업장려관을 통해서 도청 본관으로 향해 폐쇄적인 도청에서 벗어나 지리적인 재배치를 통해 새롭게 생긴 길은 도민에게 열려있는 새로운 흐름을 의미한다.
충북도는 김영환 지사의 취임 이후 시티파크를 조성하기 위한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도 청사 개방이다.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근대문화유산이지만 청사로만 활용되던 도청이 도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탈바꿈되고 있다.
지난 12월 도 청사와 상당공원을 잇기 위한 북측 담장 철거를 시작으로 이번 이날 잔디광장 준공을 통해 충북도 청사의 완전한 개방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담장 90m를 철거했으며, 보도와 청사 정원의 단차를 없앴고 정문에서 보행자와 차량 사이를 위태롭게 나눠주던 볼라드를 철거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한 보행길을 새롭게 만들었다.
장애물을 없애 도청으로 들어오는 보행약자를 배려하고 담장 철거로 심리적, 시각적 개방감의 효과를 가져 이번 사업은 물리적 장애물을 없애 도민과 소통하는 열려있는 충북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아울러 자주 침수되던 정원이 배수관로 정비를 통해 도민들을 위한 다목적 행사가 가능해져, 폐쇄적이었던 도 청사에 도민들을 위한 문화행사를 지속 추진하여 도민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이번 개방은 김영환 지사가 충북도의 혁신을 위해 추진하는 시티파크 르네상스, 도청사 개방의 성과물이다.
첫 번째로는 도청사 구석에 방치된 산업장려관이 도민들을 위한 문화 전시 및 소통 공간으로 업사이클링되면서 도민들을 위한 행사가 개최되고 매일매일 사람들의 활기찬 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두 번째는 신관과 동관의 쓸모없는 옥상 공간에 푸른 녹지공간과 휴게시설을 만들어 사람들이 휴식하고 산책하는 도심 속 힐링공간, 하늘정원으로 재탄생시켰다.
이번에 세 번째 선보인 잔디광장은 도민 누구나 편하게 쉬면서 문화행사를 즐길 수 있는 문화 풀내음이 가득찬 공간으로 도청이 도민에게 항상 열려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계속하여 꾸준히 도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도 청사 유휴공간들이 탈바꿈되고 있다.
김영환 지사는 “문화적 가치가 높은 도 청사를 도청만의 향유물이 아닌 도민과 함께하는 공간으로 재탄생 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잔디광장에서 다양한 행사를 계획 중이며 도민 여러분들이 편하게 쉬고 즐기실 수 있는 또 하나의 명소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충북도는 이번에 준공된 잔디광장에서 매주 금·토요일 농특산물 장터 운영을 시작으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할 계획이다.
또한 올해 연말까지 본관 앞 주차장의 아스콘을 철거하고 자연석 포장 공사를 통해 본관과 산업장려관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향후 도청 앞 공간을 다목적 광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2023년 충청북도 대물림 음식업소 지정식 개최
- 충북이 인증한 맛집, 도민과 관광객들에게 충북의 맛을 보여주길 -
충북도는 22일 충북도청에서 2023년 대물림 음식업소로 선정된 업소 대표자와 가족,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정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신규로 지정된 업소는 순정순대원조식당(청주), 민속가든(충주), 광성추어탕(제천), 일미식당(영동), 기사식당(괴산), 한우일번가(단양) 등 6곳이다.
대물림 음식업소란 2대 25년 이상 운영한 업소로 아들, 며느리, 딸, 사위, 손자, 손녀 등으로 대물림된 업소를 말하며, 대를 이어오는 우리 지역 고유의 전통음식을 계승·발전시키고, 관광 자원으로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격년으로 지정한 도 인증음식점이다.
이날 지정식에서는 지정증과 현판을 수여하였으며, 지정된 업소에게는 위생용품 구입비, 시설개선 융자금 우선 지원, 충북인증맛집 웹페이지 및 블로그 홍보, 맛집책자 수록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김영환 충청도지사는 “자손 대대로 음식 노하우를 전수하여 음식점을 계승, 발전해 간다는 것은 한 가문의 자랑이자 영광이라고 생각한다”며, “충북의 음식 문화를 알리고 관광산업을 살린다는 자부심과 책임감으로 충북 음식문화 발전의 중심에 서 주실 것”을 당부했다.
한편, 현재 충청북도에는 이번 대물림 음식업소로 선정된 6개 업소를 포함하여 총 52개 대물림업소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붙임 1 |
|
2023년 신규 대물림 음식업소 : 6개소 |
연번 |
시군명 |
업소명 |
대표자 |
소재지 |
영업기간 |
취급음식 |
전화번호 |
1 |
청주시 |
순정순대원조식당 |
박미연 |
청주시 청원구 안덕벌로19 |
28년 |
순대국밥 |
215-3448 |
2 |
충주시 |
민속가든 |
엄한나 |
충주시 행정3길 42 (목행동) |
27년 |
오리 회전구이 |
853-8284 |
3 |
제천시 |
광성 추어탕 |
최정은 |
제천시 독순로8길 4 |
33년 |
추어탕 |
644-6434 |
4 |
영동군 |
일미식당 |
박미영 |
영동읍 영동시장4길 7 |
25년 |
올갱이국 |
743-1811 |
5 |
괴산군 |
기사식당 |
조경진 |
괴산군 괴산읍 괴강로8 |
29년 |
올갱이국 |
833-5794 |
6 |
단양군 |
한우 일번가 |
김윤기 |
단양군 매포읍 평동3로 3 |
29년 |
마늘 한우불고기 |
422-4168 |
붙임 2 |
|
충청북도 대물림 음식업소(2003년 ~ 현재) |
연번 |
업소명 |
소재지 |
세부주소 |
취급음식 |
지정 |
대물림 연혁 |
1 |
상주올갱이집 |
청주시 |
상당구 서문동 180-14 |
올갱이국 |
2003 |
2대52년 |
2 |
리정식당 |
청주시 |
상당구 내덕1동 297-12 |
육개장 |
2003 |
2대59년 |
3 |
삼미족발 |
청주시 |
상당구 우암동 347-3 |
돼지족발 |
2003 |
3대44년 |
4 |
청송통닭 |
청주시 |
상당구 남문로2가 113-6 |
삼계탕 |
2003 |
2대51년 |
5 |
소영칼국수 |
청주시 |
상당구 수동 406-3 |
칼국수 |
2003 |
2대52년 |
6 |
옥산장날순대 |
청주시 |
옥산면 오산리 211 |
순대국밥 |
2003 |
2대69년 |
7 |
어래식당 |
보은군 |
속리산면 사내리 273 |
산채비빔밥 |
2003 |
2대43년 |
8 |
경희식당 |
보은군 |
속리산면 사내리 280 |
한정식 |
2003 |
2대44년 |
9 |
선광집 |
옥천군 |
청산면 지전리 162-8 |
생선국수 |
2003 |
2대60년 |
10 |
구읍할매묵집 |
옥천군 |
옥천읍 문정리 2-2 |
도토리묵 |
2003 |
2대72년 |
11 |
개미식당 |
영동군 |
황간면 금계리 546-2 |
청국장 |
2003 |
2대46년 |
12 |
금강식당 |
단양군 |
영춘면 백자리 84 |
도토리냉면 |
2003 |
2대43년 |
13 |
삼흥집 |
청주시 |
남일면 고은리 457-3 |
돼지생고기 |
2005 |
2대46년 |
14 |
동원가든 |
제천시 |
봉양읍 학산리 294-1 |
닭숯불구이 |
2005 |
2대37년 |
15 |
화성가든 |
보은군 |
보은읍 교사리 35-6 |
소불고기 |
2005 |
2대40년 |
16 |
속리토속음식점 |
보은군 |
속리산면 사내리 280-1 |
산채비빔밥 |
2005 |
2대49년 |
17 |
송애집 |
진천군 |
초평면 화산리 513-19 |
붕어찜 |
2005 |
2대41년 |
18 |
미련집 |
진천군 |
초평면 화산리 532-1 |
붕어찜 |
2005 |
2대41년 |
19 |
단골집 |
진천군 |
초평면 화산리 513-20 |
붕어찜 |
2005 |
2대39년 |
20 |
초롱가든 |
진천군 |
초평면 평화로 452 |
붕어찜 |
2005 |
2대39년 |
21 |
경주집 |
청주시 |
상당구 서문동 180-12 |
버섯찌개 |
2007 |
2대37년 |
22 |
공원당 |
청주시 |
상당구 남문로2가 87 |
우동,메밀국수 |
2007 |
2대46년 |
23 |
남한강횟집 |
충주시 |
동량면 조동리 885 |
민물고기찜,회 |
2009 |
2대39년 |
24 |
대추나무집 |
제천시 |
명동 150 |
쇠고기정식 |
2009 |
2대43년 |
25 |
오십년할머니집 |
괴산군 |
괴산읍 대덕리 93 |
민물매운탕 |
2009 |
2대50년 |
26 |
자연식당 |
단양군 |
단양읍 별곡리 559 |
마늘더덕주물럭 |
2009 |
2대37년 |
27 |
송림 |
충주시 |
수안보면 미륵리 209-1 |
송어매운탕 |
2011 |
2대37년 |
28 |
중앙닭집식당 |
괴산군 |
괴산읍 동부리 505-1 |
삼계탕 |
2011 |
2대35년 |
29 |
왕릉숯불돼지갈비 |
단양군 |
단양읍 별곡리 609 |
마늘돼지갈비 |
2011 |
2대36년 |
30 |
은혜별채 |
충주시 |
사직산22길 14 |
삼겹살 |
2013 |
2대30년 |
31 |
봉서식당 |
충주시 |
산척면 월현길 20 |
흑염소전골 |
2015 |
2대46년 |
32 |
종로식당 |
충주시 |
관아3길 22 |
황석어찌개 |
2015 |
2대45년 |
33 |
느티나무집 |
진천군 |
진천읍 백곡로 1253 |
민물매운탕 |
2017 |
2대33년 |
34 |
주차장집식당 |
괴산군 |
괴산읍 읍내로 282 |
올갱이국 |
2017 |
2대46년 |
35 |
은혜별천지 |
충주시 |
사직산8길 35(문화동) |
간장삼겹살 |
2019 |
2대30년 |
36 |
대장궁식당 |
충주시 |
수안보면 미륵송계로 105 |
꿩코스요리 |
2019 |
2대35년 |
37 |
삼정면옥 |
충주시 |
관아3길 21(성서동) |
평양냉면 |
2019 |
2대40년 |
38 |
안성식당 |
영동군 |
황간면 영동황간로 1618 |
올뱅이국밥 |
2019 |
2대31년 |
39 |
유명오리촌 |
청주시 |
서원구 구룡산로 405번길 121 |
한방오리백숙 |
2021 |
2대30년 |
40 |
진미집 |
청주시 |
상당구 성내로 118번길 21 |
오리백숙 |
2021 |
2대37년 |
41 |
무궁화식당 |
제천시 |
제천시 독순로 91-4 |
곱창전골 |
2021 |
2대34년 |
42 |
코끼리식당 |
보은군 |
보은읍 삼산로 2길 9 |
자연산버섯찌개 |
2021 |
2대40년 |
43 |
한미손칼국수 |
영동군 |
영동읍 영동시장4길15-1 |
칼국수 |
2021 |
2대30년 |
44 |
가선식당 |
영동군 |
양산면 금강로 760 |
어죽 |
2021 |
2대30년 |
45 |
갈매기식당 |
단양군 |
단양군 대강면 단양로 74 |
흑염소 전골 |
2021 |
2대33년 |
46 |
돌집식당 |
단양군 |
단양읍 중앙2로 11 |
곤드레마늘정식 |
2021 |
2대34년 |
47 |
순정순대원조식당 |
청주시 |
청원구 안덕벌로19 |
순대국밥 |
2023 |
2대28년 |
48 |
민속가든 |
충주시 |
충주시 행정3길 42 |
오리회전구이 |
2023 |
2대27년 |
49 |
광성추어탕 |
제천시 |
제천시 독순로8길 4 |
추어탕 |
2023 |
2대33년 |
50 |
일미식당 |
영동군 |
영동읍 영동시장4길 7 |
올갱이국 |
2023 |
2대25년 |
51 |
기사식당 |
괴산군 |
괴산군 괴산읍 괴강로8 |
올갱이국 |
2023 |
2대29년 |
52 |
한우일번가 |
단양군 |
단양군 매포읍 평동3로 3 |
마늘한우불고기 |
2023 |
2대29년 |
김명규 경제부지사, 특화단지 지원 협의체 참석
- 이차전지(오창), 바이오의약품(오송) 특화단지 애로사항 전달 -
충청북도는 22일,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범부처 특화단지 지원 협의체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서 출범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산업부 차관을 비롯해 관계부처와 지난 7월 20일, ‘이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바이오의약품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지정을 받아 국가첨단전략산업과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에 동시에 지정된 충북의 김명규 경제부지사 등 9개 광역지자체 부단체장 등이 참석했다.
김명규 부지사는 이날 행사에서 지난 9월 5일 출범한 충북 특화단지 추진단과 간담회를 통해 발굴한 현장의 목소리 중 LG에너지솔루션 에너지플랜트2의 전력공급 애로, 이차전지 기업의 위험물취급 인허가 애로, 바이오의약품 소부장 적용 및 상용화 확대 지원 등을 특화단지 지원 협의체에 전달하며 범부처 차원의 지원을 건의했다.
범부처 특화단지 지원 협의체는 11월 경 지자체와 협업을 통해 특화단지별 맞춤형 지원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기업들 발목잡는 규제 걷어내go~ 지역경제 살리go~
- 22일, 남부권에서 규제개혁 민·관 합동 현장토론회 개최 -
충북도 주관으로 남부권 3개 시군(보은군, 옥천군, 영동군)이 함께 22일 보은에서 규제애로 기업, 관련 전문가, 지역주민, 공무원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에 ‘충청북도 남부권 규제개혁 현장토론회’(주재 조덕진 기획관리실장)을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는 3개 시군에서 발굴된 규제완화 과제에 대하여 4개 중앙부처(행안부, 고용부, 복지부, 국토부), 지자체, 지방규제혁신위원회, 기업체 등 각 분야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합리적인 규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이날 논의된 안건으로는 인구감소지역의 근로자 고용 인력수급의 악순환을 해소하기 위한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 완화, 법령상 미비점 개선을 요구하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행정재산 무상 사용 허용, 전국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산업단지 지정 및 유치업종에 농업관련시설 명문화 등 도내 남부권 주력산업 분야의 규제 완화 등을 집중 논의하였다.
|
< 주요 논의 과제 > |
|
|
|
|
① 보은군 : 인구감소지역 내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 완화고용노동부 ② 옥천군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행정재산 무상 사용 허용보건복지부 ③ 영동군 : 산업단지 지정 및 유치업종에 농업(관련시설) 명문화국토교통부 |
구체적으로 이번 토론회에서는 보은군 인구감소지역, 옥천군 영유아 지원사업, 영동군 스마트농업 관련 규제완화 등 시군별 특성·여건을 고려한 세부과제로 분류하여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① 보은군[㈜ 이킴]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의 경우 근로자 채용이 어려워 외국인 고용 허용인원의 30% 이내 인원을 추가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완화를 건의했고, 전문가는 인구감소 추세와 균형발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간 차별성 검토 필요성을 피력했다.
(➪고용노동부) 고용부에서는 영세·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최근 고용 허용한도를 2배로 확대한 바 있으며, 인구감소지역의 경우 외국인 고용 비율의 추가 적용에 대해서는 향후 규제개선 방향을 살펴 추가 완화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② 옥천군[옥천군 육아종합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경우 일부 어린이집과 달리 설치·운영을 위한 국·공유재산 무상 대부·사용 근거가 없어 유상 사용하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했고, 전문가는 무상 대부 적용여부는 영유아보육법 개정을 통해 전국의 육아종합지원센터에 일괄적용되는 것이 형평성 측면에서 타당함을 강조하였다.
(➪보건복지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경우 국·공유재산 무상 대부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영유아보육법」 개정이 필요하므로, 추후 신중히 검토하여 법령 개정 시 고려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③ 영동군[영동군 청년스마트농업인] 농업인 고령화와 농촌 공동화 심화 및 기술의 발달로 농업과 첨단정보기술 등이 융합된 스마트농업 중요성 증대 추세로, 산업시설 용지 및 산업단지 입주업종에 스마트농업 및 관련시설이 포함되도록 관련 법령을 건의하였다.
(➪국토교통부) 건의사항은 공감하면서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이에 기획관리실장은 스마트팜 산업은 전통적 산업 분류체계로 인해 산업단지 내 입주 불가 등 산업 확장에 제약이 있는 점을 고려, 산업단지 내 입주가 허용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검토를 요청했다.
한편, 토론회에 앞서 조덕진 기획관리실장은 보은 농공단지 내 규제애로 현장을 방문*하여 의견을 청취하였다.
* (일시/장소) ‘23.9.22.(금) 11:00~11:30 / ㈜ 이킴보은 삼승농공단지
이 자리에서 유민 ㈜ 이킴 대표는 “인구감소지역 내 중소기업의 경우 특히 근로자 고용에 애로사항이 많다”고 건의했으며, 이에 대해 조덕진 기획관리실장은 “오늘 논의를 통해 좋은 방안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충청북도는 오늘 논의된 과제에 대하여 행안부 지방규제혁신위원회 및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하고 타 지자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토론회 후속 조치에도 만전을 기해 충북지역 기업활력이 제고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
또한 9.20.(수)‘제5차 행안부-지자체 합동 지방규제혁신회의’에 참석하여 중앙규제개선 우수사례로 선정된 곤충생산업 산업단지 입주 허용, 이차전지 산업 위험물안전관리 규제개선 사례를 전국 17개 시·도에 전파시켰다.
충북도 조덕진 기획관리실장은 “지역 곳곳에 숨어있는 그림자 킬러규제를 걷어내도록 강도 높은 현장 중심 규제개혁을 신속하게 추진하여 충북을 대한민국 규제개혁 중심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고1 |
|
충청북도 남부권 규제개혁 현장토론회추진계획 |
|
〈 행사주제 〉 |
|
|
|
|
충북 남부권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군별 지역중점 분야 규제의 해결방안을 모색 |
개 요
○ (일시) ’23.9.22.(금) 14:00∼15:30 * ㈜이킴 현장방문(11:00~11:30)
○ (장소) 보은군 농업기술센터 상록수교육장(보은읍 남부로 4733)
○ (참석) 도기획관리실장(주재), 시군부단체장, 중앙부처행안부,고용부,복지부,국토부, 전문가, 기업체, 지방규제혁신위원회, 지자체 공무원 등 100여명
○ (주요내용) 도내 기업체, 도-시군, 유관기관, 전문가, 학계 등이 참여·토론을 통해 기업 규제완화 모색
○ (안건) 지역별 중점분야 3건
① 보은군 : 인구감소지역 내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 완화 ② 옥천군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행정재산 무상 사용 허용 ③ 영동군 : 산업단지 지정 및 유치업종에 농업(관련시설) 명문화 |
주요일정
시 간 계 획 |
주요 내용 |
비 고 |
||
9.22.(금) |
13:52~14:00 |
8‘ |
규제개혁 홍보영상 상영 |
|
14:00~14:05 |
5‘ |
개회 및 국민의례 / 참석자 소개 |
사회자 (규제혁신팀장) |
|
14:05~14:08 |
3‘ |
토론회 개최 경과보고 |
법무혁신담당관 |
|
14:08~14:11 |
3‘ |
개회사 |
기획관리실장 |
|
14:11~14:16 |
5‘ |
기념 촬영 및 참석자 인사 |
기획관리실장 행사참석자 |
|
14:16~15:16 |
60‘ |
토론회
|
기획관리실장, 건의자, 관계부처 등 |
|
15:16~15:19 |
3‘ |
행안부 지방규제혁신과장 인사 말씀 |
지방규제혁신과장 |
|
15:19~15:25 |
6‘ |
지방규제혁신위원회 위원 인사 말씀(2명) |
지방규제혁신위원 |
|
15:25~15:30 |
5‘ |
기획관리실장 마무리 말씀 |
기획관리실장 |
|
15:30~ |
|
폐회 |
|
참고2 |
|
충청북도 남부권 규제개혁 현장토론회 안건 |
|
1. 인구감소지역 내 중소기업 외국인 근로자 고용허가제 완화 보은→고용노동부 |
|
|||
|
|||||
|
|||||
|
|
2.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행정재산 무상 사용 허용 옥천→보건복지부 |
|
|||
|
|||||
|
|||||
* 국공립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중 중소기업이 공동 설치·운영하는 직장어린이집
|
|
3. 산업단지 지정 및 유치업종에 농업(관련시설) 명문화 영동→국토교통부 |
|
|||
|
|||||
|
|||||
|
굿네이버스, 충북에 수해 피해복구 지원사업 추진
- 호우피해 가정에 주택 개보수 및 집기류 지원 -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이하 굿네이버스)는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를 입은 도내 가정에 36백만원 상당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진행한다.
굿네이버스는 22일 충북도청에서 김영환 충북도지사에게 수해 피해복구 지원사업 추진을 약속하는 내용을 전달했다.
도내 수해 피해를 입은 지역의 12가구를 시군에서 추천받아 가구당 최대 3백만원 상당의 주택 개보수와 집기류를 지원할 계획이다.
굿네이버스는 아동학대예방사업, 아동권리옹호사업 등 아동의 권리와 이익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도내 충청북도아동보호전문기관을 운영하며 학대받은 아동의 치료, 아동학대의 재발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 후원 수해 피해복구 지원
굿네이버스 충청지역본부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 가정에 주택개보수 등 수해복구 지원 내용 전달식 보고임 |
행사개요
❍ 일시/장소 : 2023. 9. 22(금) 10:40 / 여는마당
❍ 참 석 자 : 지사님, 김길수 굿네이버스 충청지역본부장 등
❍ 주요내용 : 수해 피해복구 지원내용 전달, 기념촬영
지원내용
❍ 대 상 자 : 수해피해 가정 중 12가구 선정(시군추천)
❍ 지원기간 : 3개월 정도
❍ 지원내용 : 36백만원(가구당 3백만원) 상당 지원
- 수해피해에 따른 주택파손, 침수에 대한 개보수 및 집기류 지원
|
<참석자 프로필> |
|
|
|
|
||
|
▶ 직 위 : 굿네이버스 충청지역 본부장 ▶ 나 이 : 46세(77년생) ▶ 학 력 : 한남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 주요경력 - 現 굿네이버스 충청지역본부장 - 前 충청남도아동보호전문기관 관장 |
||
김 길 수 |
|||
➢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 ·설 립 일 : ‘96.3.13.(이사장 정해원) ·주사무소 : 서울 영등포구 버드나루로 13 굿네이버스 * 전국 7개 지역본부, 충청지역본부(본부장 김길수)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59 ·주요사업 : 아동학대예방사업, 아동권리옹호사업, 사회복지사업 등 - 전국 아동보호전문기관 35개소, 학대피해아동쉼터 12개소, 지역아동센터 14개소 등 운영 * 충청북도아동보호전문기관 수탁운영 중(’15.11. ~’28.10.) |
충북도 2023년 추석 명절 종합대책 추진
- 물가부담을 덜고 안전한 명절이 될 수 있도록 5개 중점분야 마련 -
충청북도는 추석 명절을 맞아 연휴기간 발생할 수 있는 도민불편, 안전사고 등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2023년 추석 명절 종합대책」을 수립해 9월 18일부터 10월 3일까지 16일 동안 추석 명절 특별대책기간을 운영하고 있다.
충청북도는 ▲서민 생활물가 부담완화 ▲의료·안전 대응체계 강화 ▲안전한 교통 ▲주민생활 안정 ▲공직기강 확립 등 5개 분야 18개 세부과제를 마련하고, 명절 연휴기간 동안 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와 폭염으로 명절 성수품의 가격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물가안정을 우선과제로 하여, 대규모 점포·전통시장의 가격표시제 이행 여부 점검 및 물가책임 담당관제 운영, 주요 농·축·수산물 할인행사 등 추석 장바구니 물가관리에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또한, 안정적인 성수품의 관리를 위해 20개 주요 성수품* 제조·판매업소의 위생과 유통상태, 원산지 표시 상황 등을 점검하고, 온누리상품권 구매한도 확대,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 등을 통해 소비 활성화도 유도할 예정이다.
* (농산물) 배추, 무 사과, 배, 양파, 마늘, 감자 (축산물)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임산물) 밤, 대추, 잣 (수산물) 명태, 오징어, 갈치, 참조기, 고등어, 마른멸치
그리고 도민과 고향을 찾는 귀성객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전 소방관서에서는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하고 도 재난안전상황실은 24시간 운영하여 각종 재난·사고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대응태세를 유지하며, 연휴기간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을 지정·운영하고, 상수도·산불·쓰레기·가축방역 등의 상시 대응체계도 차질없이 유지할 예정이다.
이외에 연휴 중 증가하는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추석 특별교통대책 상황실을 운영하고 고속·시외·시내버스 및 택시 등 대중교통 증회 운영, 교통혼잡·우회 정보 제공 등을 통해 교통량 분산을 유도하는 한편 지방도와 교통안전 시설물도 집중 정비할 예정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번 추석 명절을 앞두고 물가상승으로 인한 도민의 부담을 덜고 안전하고 편안한 추석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명절 성수품 물가안정과 도민 생활안전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참고1 |
|
추석 명절 종합대책 분야별 세부 추진계획 |
중 점 과 제 |
|
세 부 추 진 계 획 |
||
|
|
|
||
|
추석 서민 생활물가 부담완화 (4) |
|
■ 추석 서민물가 안정 특별대책 |
소상공인정책과 |
■ 추석 명절 성수식품 합동 기획 감시 |
식의약안전과, 사회재난과 |
|||
■ 농‧축‧수산물 수급 및 원산물 표시 단속 |
식의약안전과, 농식품유통과, 축수산과, 사회재난과 |
|||
■ 불공정 거래행위 지도‧단속 강화 |
소상공인정책과 |
|||
|
|
|
|
|
|
의료안전대응 체계 강화(4) |
|
■ 「도민안심 프로젝트」 추진을 통한 민‧관 합동 위험 예방활동 전개 |
안전정책과 |
■ 각종 질병‧사고대비 구급·구조 및 응급의료체계 운영 |
보건정책과,감염병관리과, 식의약안전과,소방본부 |
|||
■ 재해‧화재‧산재 등 부문별 안전관리 철저 |
사회재난과, 일자리정책과, 에너지과, 산림녹지과, 교통철도과, 소방본부 |
|||
■ 집중호우‧태풍‧폭염 대비 사전조치 및 피해최소화 |
자연재난과 |
|||
|
|
|
|
|
|
안전한 교통 (3) |
|
■ 특별교통대책 상황실 설치‧운영 |
교통철도과 |
■ 교통 분산 및 대중교통 안전‧수송대책 |
교통철도과 |
|||
■ 도로시설물 관리 및 사고예방 대책 |
도로과, 도로관리사업소(본소 총괄) |
|||
|
|
|
||
|
주민생활 안정 (5) |
|
■ 도민불편 종합신고센터 운영 |
행정운영과 |
■ 체불임금 및 서민 자금난 해소 대책 |
일자리정책과, 소상공인정책과 |
|||
■ 취약계층 지원 및 나눔문화 확산 |
복지정책과, 도민소통과 |
|||
■ 상‧하수도 및 비상급수 관리 |
수자원관리과 |
|||
■ 쓰레기 관리대책 및 환경오염 행위 집중 단속 |
환경정책과, 기후대기과 |
|||
|
||||
|
|
|
|
|
|
공직기강 확립 (2) |
|
■ 공직기강 확립 감찰활동 강화 |
감사관 |
■ 당직근무 및 비상대비태세 확립 |
행정운영과 |
참고2 |
|
도민불편 신고사항처리 흐름도 |
|
|
도 지 사 (전화 220-2007, FAX 220-2009) |
|
|
|||||||||
|
|
|
보고↑ ↓지시 |
|
|
|
|||||||
|
← 처리의뢰 |
|
당 직 사 령 (전화 220-2222, FAX 220-8299) |
||||||||||
민 원 인 |
|||||||||||||
← |
불편신고 |
||||||||||||
|
|
|
|||||||||||
|
|||||||||||||
결과회신 |
→ |
||||||||||||
|
결과회신 |
→ |
|||||||||||
|
|||||||||||||
|
|
||||||||||||
불편신고↓↑결과회신 |
|||||||||||||
|
|
처리지시↓ ↑결과보고 |
|||||||||||
|
|
|
|||||||||||
유관기관 |
|
처리부서(도) |
|
|
시 · 군 |
||||||||
전기 |
한 국 전 력 |
|
응급환자 |
보건정책과 |
|
|
청주시 |
201-2222 |
|||||
220-3141∼3144 220-3151~3154 |
|||||||||||||
123 |
|
|
|
||||||||||
충주시 |
850-5222 |
||||||||||||
가스 |
한국가스공사 충북지역본부 상황실 |
|
처리지시 → ← 결과보고 |
||||||||||
감염병관리과 |
|||||||||||||
제천시 |
641-5222 |
||||||||||||
220-4581~4585 (감염병 신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 |
|||||||||||||
보은군 |
540-3222 |
||||||||||||
응급의료 국번없이 119 |
|||||||||||||
|
|||||||||||||
043)268-0019 043)750-1300 |
|||||||||||||
옥천군 |
730-3800 |
||||||||||||
비상 약국 |
식의약안전과 |
||||||||||||
|
|
|
|||||||||||
영동군 |
740-3222 |
||||||||||||
220-3181~3183 |
|||||||||||||
소비자 상담 |
경제기업과 |
||||||||||||
증평군 |
835-3222 |
||||||||||||
|
|
|
|||||||||||
220-3257 (국번없이 1372) |
|||||||||||||
진천군 |
539-3222 |
||||||||||||
|
|
|
쓰레기 |
환경정책과 |
|||||||||
220-4041~4045 |
|||||||||||||
괴산군 |
830-3222 |
||||||||||||
|
|
|
환경오염 |
기후대기과 |
|||||||||
음성군 |
871-3222 |
||||||||||||
220-4341~4345 |
|||||||||||||
|
|
|
상하수도 |
수자원관리과 |
|
|
|||||||
단양군 |
420-3333 |
||||||||||||
상수도 220-4081∼4083 |
|||||||||||||
|
|
|
|
|
|||||||||
|
|
|
|
||||||||||
|
|
|
하수도 220-4091∼4094 |
||||||||||
|
|||||||||||||
|
도로과 |
교통불편 • 사고예방 |
교통철도과 |
|
|
|
|
|
|||||
220-4281∼4285 |
|||||||||||||
|
220-4231~4235 |
|
|
||||||||||
|
|
|
화 재 긴급구조 |
소방본부 |
|
가축전염병 (구제역·AI) 신고·문의 |
동물방역과 |
||||||
국번없이 119 |
|
220-3571~3573 220-3581~3583 |
참고3 |
|
응급의료기관 및 응급의료시설 지정 현황 |
구 분 |
병 원 명 |
대표자 (병원장) |
소재지 |
대표전화 및 팩스 |
병상수 |
지정일 |
||
계 |
21개소(권역응급의료센터1, 지역응급의료센터5, 지역응급의료기관10, 응급의료시설 5) |
|||||||
권역응급 의료센터 (1개소) |
충북대학교병원 |
한헌석 |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개신동) |
269-6114 269-6303 |
49 |
19.1.1 |
||
지역응급 의료센터 (5개소) |
한국병원 |
송재승 |
청주시 상당구 단재로 106 (영운동) |
222-7000 255-7007 |
20 |
19.1.1 |
||
효성병원 |
오창진 (김 윤) |
청주시 상당구 쇠내로 16 (금천동) |
221-5000 221-5010 |
23 |
19.1.1 |
|||
청주성모병원 |
장봉훈 (반영억) |
청주시 청원구 주성로 173-19 (주중동) |
219-8000 215-5001 |
21 |
19.1.1 |
|||
건국대학교충주병원 |
유자은 (김보형) |
충주시 국원대로 82 (교현동) |
840-8200 840-8965 |
20 |
19.1.1 |
|||
제천서울병원 |
박미령 (이영환) |
제천시 숭문로 57 (서부동) |
642-7606 643-5450 |
21 |
19.1.1 |
|||
지역응급 의료기관 (10개소) |
청주 (3) |
충청북도청주의료원 |
손병관 |
청주시 서원구 흥덕로 48 (사직동) |
279-0114 279-2700 |
10 |
19.1.1 |
|
한마음재단하나병원 |
박중겸 |
청주시 흥덕구 2순환로 1262 (가경동) |
230-6114 235-5300 |
12 |
19.1.1 |
|||
베스티안병원 |
김경식 |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191 |
910-7575 904-8977 |
30 |
19.1.2 |
|||
충주 |
충청북도충주의료원 |
송영진 |
충주시 안림로 239-50 (안림동) |
871-0114 842-2261 |
10 |
19.1.1 |
||
제천 |
명지병원 |
이왕준 |
제천시 내토로 991 (고암동) |
640-8114 640-8385 |
10 |
19.1.1 |
||
옥천 |
옥천성모병원 |
신영철 |
옥천군 옥천읍 성왕로 1195 |
730-7000 730-7100 |
10 |
19.1.1 |
||
영동 |
영동병원 |
이호용 (노상필) |
영동군 영동읍 대학로 106 |
740-9000 740-9001 |
10 |
19.1.1 |
||
진천 |
진천성모병원 |
조세원 |
진천군 진천읍 중앙북2길 2-4 |
533-1711 534-8898 |
10 |
19.1.1 |
||
괴산 |
괴산성모병원 |
나숙연 |
괴산군 괴산읍 임꺽정로 116 |
830-5400 834-3901 |
10 |
19.1.1 |
||
음성 |
금왕태성병원 |
강명옥 (유장수) |
음성군 금왕읍 음성로 1230번길 10 |
883-8800 877-4600 |
10 |
19.1.1 |
||
응급의료 시 설 (5개소) |
청주 (3) |
청주현대병원 |
엄성문 |
청주시 흥덕구 비하로65 (비하동) |
237-2114 237-2684 |
4 |
05.09.12 |
|
마이크로병원 |
민지홍 |
청주시 흥덕구 사직대로 26(복대동) |
265-0071 265-0074 |
6 |
19.09.30 |
|||
오창중앙병원 |
김용한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중부로 683 |
218-0119 216-9005 |
5 |
17.06.07 |
|||
보은 |
보은한양병원 |
김병호 |
보은군 보은읍 보은로 102 |
544-1500 544-1100 |
10 |
18.03.02 |
||
단양 |
단양군립 노인요양병원 |
단양군수 |
단양군 단양읍 별곡 6길 10 |
423-8845 423-8874 |
3 |
17.04.28 |
참고4 |
|
특별교통대책관련 기관별 연락처 |
기 관 별 |
전화번호 |
FAX번호 |
◦ 충청북도 교통철도과 ◦ 충청북도 도로과 ◦ 충청북도 도로관리사업소(도로관리과) ◦ 충청북도 소방본부(소방종합상황실) ◦ 충청북도경찰청(교통과) |
220-4281~5 220-4231~5 220-6021~7 220-4911~7 240-2251 |
220-4259 220-4219 220-6029 220-4949 240-2351 |
◦ 충청북도 청주시(대중교통과) ◦ 충청북도 충주시(교통철도과) ◦ 충청북도 제천시(교통과) ◦ 충청북도 보은군(민원과) ◦ 충청북도 옥천군(도시교통과) ◦ 충청북도 영동군(건설교통과) ◦ 충청북도 증평군(건설교통과) ◦ 충청북도 진천군(건설교통과) ◦ 충청북도 괴산군(민원지적과) ◦ 충청북도 음성군(건설교통과) ◦ 충청북도 단양군(민원과) |
201-2861~8 850-6311~5 641-6331~6 540-3091~7 730-3531~4 740-3511~4 835-3841~2 539-3721~5 830-3561~5 871-3881~5 420-2491~6 |
201-2899 850-6309 642-0026 540-3400 731-3243 740-3509 835-3909 536-8844 832-3465 871-1920 420-2489 |
◦ 한국공항공사 청주지사(운영팀) ◦ 충청북도버스운송사업조합 ◦ 충청북도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 충청북도택시운송사업조합 ◦ 충청북도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 ◦ 충청북도자동차정비사업조합 |
210-6312 268-2611 258-9720 252-5701 259-8483 223-2393 |
210-6333 268-2613 258-9726 255-9802 252-3025 224-9491 |
참고5 |
|
교통정보 안내전화 및 인터넷 주소 |
◈ 연휴 국가교통정보안내 - 국토부 홈페이지 포털사이트 http://www.molit.go.kr/ ◈ 종합교통정보안내(고속도로, 국도, 철도, 항공, 기상) : ARS 1333 - 인터넷 실시간 교통정보제공 : http://www.its.go.kr/ ◈ 전국대중교통정보 : - 국토부 TAGO 홈페이지 : www.tago.go.kr ◈ 고속도로 교통정보 안내 콜센터 ARS, 홈페이지 주소 - ARS 1588-2504,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 www.ex.co.kr ◈ 응급환자 수송 : 119, 병원진료 안내 1339 ◈ 철도 ARS, 홈페이지 주소 - (한국철도공사) ARS 1544-7788, 홈페이지 www.korail.com - (SRT) 1800-1472, https://etk.srail.co.kr/ ◈ 고속버스 안내, 홈페이지 주소 - 통합 콜센터 ARS 1644-9030 - 통합 홈페이지 www.kobus.co.kr, ◈ 항공기 ARS 및 홈페이지 주소 - 대한항공 ARS 1588-2001, 홈페이지 www.koreanair.com - 아시아나 항공 ARS 1588-8000, 홈페이지 : www.flyasiana.com ◈ 여객선 ARS 및 홈페이지 주소 - 전국여객선 운항 안내 ARS 1544-1114 - 가보고싶은 섬 https://island.haewoon.co.kr/ ◈ 기상정보 ARS, 홈페이지 주소 - 기상청 ARS 131(해당지역 DDD+131), 홈페이지 www.kma.g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