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충청북도

충북도, 인공지능(AI) 기반 미래 전략 수립 본격화 외 (5월12일 종합)

 

 

보도자료 목록

 

제 목(7)

사진

ENG

담당부서

충북도, 인공지능(AI) 기반 미래 전략 수립 본격화

정책기획관

충북의 자연정원을 한 장의 지도에 담다!

×

정원문화과

충북도, 수산자원조성 및 보호에 적극 나선다!

×

축수산과

충북산림바이오센터, 미선나무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원료 공급 가능성 확인

×

산림환경연구소

충북도, 취약계층 대상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

미래인재육성과

충북도, 알가공품 제조업체 특별점검 나서

×

동물방역과

충북자치경찰위원회, 2025년도 자치경찰사무 역량강화 교육 실시

×

자치경찰위원회

 

 

금일 주요행사

 

현지시간

내 용

장 소

비고

관련자료

보도자료

사진

ENG

09:00

월간 확대간부회의

대회의실

 

10:00

출자출연기관장 등 차담회

여는마당

 

×

×

10:30

업무결재·현안보고

여는마당

 

×

×

×

14:00

AI 중심 대전환 전략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소회의실

 

 

상기일정 및 자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충북도, 인공지능(AI) 기반 미래 전략 수립 본격화

- ‘인공지능 중심 대전환 전략중간 보고회 개최 -

 

충북도는 12() 도청 소회의실에서 인공지능(AI) 중심 대전환 전략 수립 연구용역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보고회는 김영환 충북도지사를 비롯한 실·국장, 용역 수행기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보고회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발맞춘 도정 혁신 및 지역 산업 고도화를 위한 전략 수립의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AI 기반 행정 혁신, 산업 융합 전략, 도민 체감형 서비스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보고회에서는 민원 자동화 시스템, 지능형 회의 도입, 스마트워크 환경 조성 등 AI 기반 행정 혁신 방안이 소개되었고, 도민을 위한 생활밀착형 서비스로는 자동 서식 작성, 디지털 취약계층용 키오스크 확대, 공공 안전 모니터링 등 구체적인 계획이 공유되었다.

 

산업 측면에서는 바이오·반도체 등 충북 주력 산업과 AI의 융합을 통한 미래 성장산업 육성, AI 인재 양성 및 클라우드 인프라 확충 등 구체적인 추진 과제가 함께 제시되었다.

 

충북도는 이와 같은 전략이 도정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도록 부서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정책 실행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6월까지 실·국별 의견을 수렴하고, 630일에는 도민들을 대상으로 AI 융합 해커톤 대회를 열어 창의적인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전략을 수정·보완하는 한편, 오는 8월 최종 보고회를 통해 충북 AI 대전환 전략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전략은 단기적인 정책 혁신을 넘어, 충북형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도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장기 비전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환 지사는 “AI 기술은 단순한 효율성 개선을 넘어, 도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핵심 수단이라며 충북만의 특성과 강점을 반영한 AI 전략으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충북 인공지능(AI) 중심 대전환 전략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개최 계획

 

 

보고회 개요

일 시 : 25. 5. 12.() 14:00

장 소 : 도청 소회의실

참 석 자 : 지사님 등 20여 명(·국장, 용역연구진 등)

주요내용 : 연구용역 중간보고 및 토의, 질의응답

진행순서

 

시 간

주 요 내 용

비 고

14:0014:01

01

회의진행 안내

정책관리팀장

14:0214:05

03

인사말씀

지사님

14:0514:25

20

연구용역 요약보고(PPT)

용역기관

14:2514:55

30

연구내용 토의 및 질의응답

 

14:55~

 

폐 회

 

 

 

 

 

추진상황

충북 인공지능 대전환 전략추진단(TF) 구성·회의 : ʼ24.11.

연구용역 계약체결 및 착수보고회 : ʼ24.12.

연구용역 추진* : ʼ25. 1.~

* 인공지능 환경·현황분석 / 도정 AI 수요조사 및 부서인터뷰 / 비전·목표수립 등

 

 

 

 

 

 

: 충북 인공지능(AI) 중심 대전환 전략 수립 연구용역

용역기간/기관 : ’24. 12. 13. ~ ’25. 8. 9. (8개월) / ()씨엔엘컨설팅

계약금액 : 73,500천원

주요내용 : 인공지능(AI) 일상화 시대 대비 인공지능 전략수립, 도정 가치를 반영한 인공지능 비전 및 전략 수립 등

향후일정 : 실국 의견수렴 등 수정·보완(~6월초)최종보고(8)AI 대전환 전략발표(8월 예정)

 

 

 

충북의 자연정원을 한 장의 지도에 담다!

- 지도 한 장에 담긴 대한민국 자연정원, 충북의 특별함 -

 

충청북도는 11개 시·군이 추천하고 심의해 선정한 자연정원 30, 조성 중인 지방정원 6, 민간정원 14곳 등 총 50개 정원을 한 장의 지도에 오롯이 담아냈다. 이 지도는 김영환 도지사의 충청북도 전역하나의 거대한 정원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출발했다.

 

지도 한 장만 펼치면 자연과 사람, 정원주의 손길이 어우러진 충북 원 공간을 한눈에 찾아볼 수 있다. 정원의 위치, 개방 및 운영시간, 방문포인트 등 간략한 정원 소개와 각 정원의 매력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정원 대표 사진이 실려 있어, 이용자가 정원별 특성과 매력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여행 전·후로 활용하기도 좋다.

 

충북 정원지도는 주요 축제·박람회 행사 현장, 주요 관광안내소 등 오프라인 배포뿐만 아니라 도청 홈페이지(분야별정보>문화관광>정원>자연정원>충북정원지도다운로드) 또는 종이지도 상단 QR코드 스캔을 통해 온라인 PDF 파일로도 누구나 쉽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앞으로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정원지도 인증샷이벤트, 정원 스탬프 투어, 정원별 체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참여형 콘텐츠를 확장하는 한편, 정원지도를 지역 관광상품, 정원투어 코스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충북만의 정원브랜드를 강화할 계획이다.

 

조미애 충북도 정원문화과장은 이제 충북 어디를 가더라도, 자연이 주는 위로와 치유, 그리고 정원문화의 새로운 레이크파크 르네상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충북 정원지도 한 장이 여행, 교육, 일상에 새로운 영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밝혔다.

 

 

충북도, 수산자원조성 및 보호에 적극 나선다!

- 수산종자 매입방류 사업 1,756천 마리, 6.1억 등 5개 사업 추진 -

 

충북도는 12() 내수면 수산자원조성 및 보호를 위해 수산종자매입방류 사업 등 5종에 9.6억 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수산종자 매입방류 사업 : 1,756천 마리, 6.1(도비 5.5, 시군비 0.6)

토종붕어 대량생산 지원 : 6개소, 1.1(도비 0.2, 시군비 0.9)

내수면 유해어류 포획 지원 : 45, 1.4(도비 0.3 시군비 1.1)

깨끗한 어장가꾸기 사업 : 100ha, 1(도비 0.3, 시군비 0.7)

봄철 산란기 내수면 불법 어업 지도·단속

 

먼저, 어린물고기를 방류하는 수산종자 매입방류 사업은 도내 댐과 ·하천에 뱀장어, 쏘가리, 동자개 등 내수면 어종을 방류하는 사업으로 충북도는 10월 말까지 1,756천 마리를 방류할 예정이다.

 

또한, 내수면산업연구소가 치어를 생산, 제공하고 어업인이 직접 키우는 방식으로 추진되는 토종붕어 대량생산 지원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 붕어치어생산 및 제공, 기술지도 : 내수면산업연구소 어업인

· 붕어치어 육성 및 방류 : 어업인

· 치어생산 사업비 교부 : , ·

 

아울러, 충북도는 수산자원조성 사업뿐만 아니라 유해어류 퇴치 및 내수면 수변구역 환경정화에도 힘쓴다는 계획이다.

 

토종어류의 서식 환경을 위협하는 외래·유해 어종인 블루길과 배스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하여 총 45톤 규모의 유해 어류 포획지원을 추진한다.

 

또한, 수변 환경 정비를 위하여깨끗한 어장 가꾸기사업을 추진해 총 100ha 규모의 어장 환경을 정비할 계획으로 충북도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어업인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봄철 어류 산란기를 맞아 충북도는 해수부, 시군과 협력하여 오는 630일까지 내수면 불법 어업 단속도 실시한다.

 

단속 대상은 무허가·무신고 어업 행위, 포획금지기간·체장 위반 등 수산자원을 포획하는 행위로 위반자는 사안에 따라 과태료 부과 또는 수사기관에 고발 조치될 예정이다.

 

반주현 도 농정국장은 어족자원 조성은 단기간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만큼 지속적인 자원 조성과 유해 어종 퇴치, 불법 어업 단속 등 다양한 방법의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앞으로도 충북도는 내수면 자원 증대 및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고1

 

충청북도 수산현황 (2024.12.31. 기준).

 

 

1. 내수면 면적 : 378,584(전국 3,263,244ha11.6) *출처:KOSIS

(3개소) : 159,981(충주댐88,117, 대청댐4,764, 괴산댐67,100)

저수지(745개소/153,440ha) : 농어촌공사(187/107,844), 시군(558/45,595)

기타(65,162ha): 하천(42,599) 구거(55,509) 양어장(54)

2. 어가 및 어가인구 : 663가구 / 1,637(경영자 1,306 종사자 331)

3. 전문어업인: 76

업인후계자 46, 우수경영인 30

4. 내수면어업계 : 47개소(어로24, 낚시업23) / 417

5. 양식어업: 217개소(면적 54ha)

유수식양어장 : 65개소(11) 지수식양어장 : 97(33)

순환여과식 : 50개소(11) : 5개소

뱀장어12, 송어36, 미꾸라지38, 메기21, 향어4, 붕어15, 금붕어18, 새우류4, 다슬기2, 우렁이20, 개구리12, 자라1, 기타34

6. 어로어업: 652

자망 160, 패류채취 79, 각망어업 175, 통발 157, 투망 64, 연승 5, 낭장망 1, 외줄낚시 10, 기타 1

7. 유료낚시업: 111개소(허가78, 신고332) / 면적 660ha

위 치 : 23, 저수지 54, 사유지 34

8. 어선보유 : 449/ 258(동력선 398/245, 무동력선 51/13)

사용위치 : 272(182.42), 저수지100(46.76), 하천77(29.03)

9. 어자원 조성(’24) 치어방류 3,322천미, 빙어은어수정란 125백만개

토종어류치어방류 3,322천미

토종붕어대량생산방류사업 자어보급 1,220만미(자율관리낚시경영인)

빙어은어 수정란 이식(연구소) 125백만개(빙어120, 은어 5)

10. 수산물 가공업 현황(해수부 통계시스템 2024) : 56개소(1,180억원, 10,562)

냉동27(45,502), 통조림6(84,2,332), 연제품2(270,5,935), 소건품1(3,58), 염건품1(1, 2), 조미가공품11(766, 1,654), 염신품1(8,12), 기타7(4억원,67)

11. 수산물 생산 : 2,071243억원(2024년 통계청 어업생산동향)

어로 : 1,018143억원 양식 : 1,053 100억원

<’23: 2,297 277억원/어로 969(141억원), 양식 1,328(136억원)>

 

참고2

 

어린물고기 방류 실적

 

(단위 : 천마리)

연도

쏘가리

뱀장어

붕어

동자개

메기

참게

대농갱이

잉어

다슬기

26,326

2,118

928

9,496

2,857

1,259

503

5,428

333

3,404

2024

3,016

135

54

313

145

 

 

352

 

2,017

2023

559

44

66

169

75

 

 

205

 

 

2022

1,050

198

28

195

46

 

 

364

 

219

2021

864

113

98

230

47

 

 

376

 

 

2020

657

14

84

196

145

85

 

98

 

35

2019

640

5

87

244

94

85

 

95

30

 

2018 이전

19,540

1,609

511

8,149

2,305

1,089

503

3,938

303

1,133

 

 

 

참고3

 

내수면 유해어류 포획 추진 실적

 

(단위 : , 백만원)

 

구 분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수 매 량

418

62

62

62

60

60

65

47

예 산 액

1,317

198

198

198

191

191

191

150

 

 

 

참고4

 

토종붕어 대량생산 지원 사업 추진 실적

 

(단위 : 개소수, 천미, 백만원)

 

구 분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사 업 량

74

10

10

10

11

11

11

11

방 류 량

37,475

5,625

5,910

6,140

5,000

5,000

5,000

4,800

예 산 액

1,830

180

200

275

275

300

300

300

 

 

참고5

 

불법 어업 지도·단속 추진 실적

 

 

 

<2024년 불법어업 지도 단속 실적>

ㅇ 단속결과()

 

구분()

면허 위반

허가 위반

신고 위반

기간,체장

규제 위반

유해어법

불법이식

기타

(유어행위 위반 등)

현장점검

769

9

151

29

260

37

10

227

적발

12

0

4

1

0

0

0

7

 

 

 

구분()

조치내용

불법어구 수거

송치

고발

인계

과태료

조치결과

12

1

0

0

5

6

ㅇ 조치결과()

 

 

송치 1건은 기소유예, 과태료 5건은 과태료 부과, 불법어구 수거 6(투망, 허가 받지 않은 자망 등) 행위자 특정불가 등의 사유로 어구(10) 수거만 실시

 

 

 

충북산림바이오센터, 미선나무 캘러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원료 공급 가능성 확인

- SCI급 국제 학술지 게재, 충북대학교 이화용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 -

 

충청북도산림환경연구소 산림바이오센터(이하 센터’)는 산업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미선나무의 캘러스 액체배양 기술과 주요 기능성 성분인 버바스코사이드함량 증진에 대해 연구한 논문(제목명 : Effects of Elicitation on Abeliophyllum distichum Leaf Callus and Changes in Verbascoside Content)SCI급 국제 학술지 ‘Plants’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미선나무는 충북 지역에 자생하는 특산식물로 버바스코사이드, 루틴, 클로로겐산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버바스코사이드는 항염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등이 밝혀져 화장품과 건강기능식품 소재 등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센터와 충북대학교 이화용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공동연구팀은 미선나무 캘러스를 이용하여 버바스코사이드의 생산 가능성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캘러스에는 약 60mg/g의 버바스코사이드가 함유되어 있으나 액체배양 중인 미선나무 캘러스에 Methyl jasmonate(메틸자스모네이트) 유도물질 처리로 약 130mg/g까지 증가하여 약 2배 이상의 함량 증진 효과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미선나무 캘러스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성분의 대량생산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향후 안정적인 공급으로 충북 지역 자생식물인 미선나무가 고부가가치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센터는 지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미선바이오, 수원대학교와 함께 산림청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 중에 있으며, 미선나무 기능성 원료 표준화 기술 개발을 위해 지속적인 재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재국 충북산림환경연구소장은 충북 대표 자생식물인 미선나무의 산업적 활용을 위해서는 기능성 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여러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관련 기술 산업화로 산림 바이오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충북도, 취약계층 대상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 저소득층·장애인 대상 512일부터 30일까지, 1인당 35만원 -

 

충청북도(지사 김영환)저소득층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2025평생교육이용권’ 1차 신청을 512()부터 530()까지 접수한다고 밝혔다.

 

평생교육이용권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른 평생교육 참여 격차를 완화하고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교육비를 지원하는 제도로 연간 35만 원의 교육비(수강료·교재비)를 포인트 형태로 지원한다.

 

1차 접수는 일반(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및 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노인과 디지털 이용권은 6월 중 별도 접수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충북에서는 총 3,276(일반 2,377, 디지털 279, 노인 223, 장애인 397)에게 이용권을 지원하며, 이는 취약계층의 지속적인 역량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용권 신청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www.lllcard.kr)에서, 장애인은 보조금24(www.gov.kr)을 통해 가능하다.

 

선정된 학습자에게는 본인 명의 NH농협카드(채움)에 포인트가 지급되며,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평생교육시설·평생직업교육학원 등에서 자격증 취득·취업·어학·인문학·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등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다.

 

평생교육 사용기관은 평생교육바우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지역구분 없이 수강할 수 있다.

 

김수인 충북도 과학인재국장은 도민 누구나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학습을 이어갈 수 있도록 평생학습 기반을 더욱 촘촘하게 지원하겠다, “많은 도민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의 :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043-224-0221)

 

붙임

사업개요 및 시군별 지원인원

 

 

2025년 사업개요

(사업대상) 신청년도 기준(’25.12.31.) 충청북도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

(사업내용) 1인당 35만원체크카드 평생교육 강좌 수강료 및 교재비 지원

(사 용 처)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평생교육 시설

(사업규모)

 

이용권 유형

지원대상

(지원자격)

신청일

지원규모

선정기준

총 지원규모

 

3,276

기초차상위일반*

*무작위 추첨

일반

19세 이상 성인

5. 12. ~ 5. 30.

(기초, 차상위)

2,377

디지털

30세 이상 성인

6월 예정

279

노인

65세 이상

6월 예정

223

장애인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5. 12. ~ 5. 30.

397

 

(신청방법)

 

구분

신청사이트

일반

평생교육이용권 www.lllcard.kr

디지털

노인

장애인

정부24-> 보조금24 www.gov.kr

 

*온라인 접수가 어려울 시, 충북인재평생교육진흥원(224-0221)로 문의

 

시군별 지원인원

(단위 : )

 

구분

총계

일반인

장애인

합계

일반

디지털

노인

합 계

3,276

2,879

2,377

279

223

397

청주시

1,674

1,511

1,248

146

117

163

충주시

434

380

314

37

29

54

제천시

283

237

196

23

18

46

보은군

71

60

49

6

5

11

옥천군

114

94

78

9

7

20

영동군

103

86

71

8

7

17

증평군

75

66

54

7

5

9

진천군

174

154

127

15

12

20

괴산군

86

69

57

7

5

17

음성군

197

168

139

16

13

29

단양군

65

54

44

5

5

11

 

 

 

충북도, 알가공품 제조업체 특별점검 나서

- 식중독 및 곰팡이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가이드 홍보 병행 -

 

충북도는 본격적으로 기온이 높아지는 하절기를 대비하여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은 알가공품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이번 달 12일부터 23일까지 도내 알가공품 제조업체에 대한 특별 위생 점검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간편 영양간식으로 꾸준히 소비되는 구운 달걀 등 알가열제품을 생산하는 업소 10개소*를 사전 선정하여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 관계 법령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 외에 훈제란, 계란말이 등 간편 간식 및 반찬류의 제품에 대한 수거검사 및 알가열제품 곰팡이 이물 안전관리 가이드교육홍보도 병행하여 추진한다.

* 도내 알가공업체 16개소 중 알가열제품(구운란, 훈제란, 지단 등) 제조업체 10개소 선정

 

중점 점검 사항으로는 제조가공 등에 부적합 원료 사용 여부 작업장 내 축산물 등 위생적 취급 여부 알가공품 보존 및 유통 기준 준수 여부 자가품질검사 주기 및 항목 준수 여부 등이다.

 

점검 결과 위반행위에 대해서는 관계 법령에 따라 엄중히 행정제재를 가하고 부적합 제품에 대해서는 회수·폐기하며 6개월 이내에 재점검을 통해 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김원설 충북도 동물방역과장은 최근 5년간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건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고 고온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여름철 발생률이 50%로서 가장 높다면서, “계란과 알가공품은 살모넬라 오염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음식인 만큼 여름철에는 제품을 가급적 빨리 섭취하고 남은 음식은 재가열 후 섭취하는 등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에도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당부했다.

 

 

충북자치경찰위원회, 2025년도 자치경찰사무 역량강화 교육 실시

- 충북경찰청 등 4개 경찰관서 자치경찰사무 공무원 대상 역량강화 교육 -

 

충북자치경찰위원회(위원장 이광숙)12일 충북경찰청 우암홀에서더 안전한 충북, 함께하는 자치경찰실현을 위한 2025년도 자치경찰사무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교육은 충북경찰청, 흥덕경찰서, 상당경찰서, 청원경찰서에서 자치경찰사무를 담당하는 18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 첫 강의는 건국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이향수 교수가 맡아, ‘충북형 자치경찰제 발전 방향을 주제로 자치경찰제 시행 5년 차를 맞은 충북의 향후 과제와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이어 경찰인재개발원의 구대일 교수는 다중운집 인파사고 예방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자치경찰공무원의 전문성 강화와 대민 치안 서비스 고도화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충북자치경찰위원회는 이번 청주권역 교육을 시작으로 도내 권역별 순회 교육을 지속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자치경찰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는 한편, 실질적인 치안 서비스 수준 향상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이광숙 충북자치경찰위원장은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자치경찰공무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한 치안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앞으로도 분야별 전문 강사를 초빙해 실무에 도움이 되는 교육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청주권) 자치경찰사무 담당 공무원 역량강화 교육

 

유능한 충북형 자치경찰 양성을 위하여 청주권 자치경찰사무 담당 경찰 공무원의 전문 직무 분야 순회 교육을 추진하고자 함

 

교육개요

: 자치경찰 사무담당 공무원 역량강화 교육

장소 및 일시 : ‘25. 5. 12. 14:00 ~ 16:00, 충북경찰청 우암홀

직무교육 1시간 직무관련 교육 1시간

인 원 : 179(도경 43, 흥덕 59, 상당 31, 청원 46) 임용권자(304)60%

 

진행순서

 

시 간

내 용

비고

13:50~13:55

5’

등록 및 안내

 

13:55~14:05

10’

홍보영상 시청, 인사말씀

사무국장님

14:05~14:55

50’

[특강] 충북형 자치경찰제 안내

비전 및 자치경찰제도 발전, 이론중심

이향수 위원

(건국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14:55~15:00

5’

휴식

 

15:00~15:50

50’

[특강] 다중운집 인파사고 예방교육

112지역경찰 과정, 사례중심

구대일 경감

(경찰인재개발원 교수요원)

15:50~16:00

10’

설문조사 안내(알림톡), 수료

https://naver.me/GSD8CZXf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