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의료복합단지, 제5차 종합계획 수립
- 오송 바이오클러스터 글로벌 도약의 발판 마련 -
충북도는 보건복지부가 22일(수) 확정․발표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5~2029)」에 K-바이오스퀘어 조성사업의 세부사업 등 도의 핵심 추진사업과 미래 발전 비전이 대거 반영되었다고 밝혔다.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은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10조」에 따라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2009년 지정․고시된 ‘첨단의료복합단지(충북 오송, 대구 신서)’ 육성을 통해 의료연구개발 활성화 및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하여 바이오헬스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5년마다 수립된다.
이번 제5차 종합계획은 산업계, 학계, 연구계, 의료계 전문가 및 관련 부처, 지방자치단체의 심도 있는 논의와 제1차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의 협의를 거쳐 마련됐으며, ‘혁신과 연계로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을 비전으로, ▲산업생태계 강화를 위한 혁신 지원 ▲공공적 역할 중심의 기반 R&D 강화 ▲첨단의료복합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양성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등 5대 전략과 13대 핵심과제가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공공성 강화를 통해 타 클러스터와 차별화를 두고, 전국 20여 개 바이오 클러스터와 초광역 클러스터 연계협력 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역을 넘어선 국가대표 클러스터로서 중심 역할을 한다는 계획이다.
충북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4차에 걸친 전략기획위원회와 첨단의료복합단지협의회에 참석하고, 지자체 연계 세부 추진과제를 발굴하는 등 적극 행정을 통해 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K-바이오스퀘어 조성사업(KAIST 오송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구축, 서울대병원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유치) ▲AI BIO 영재학교 설립 ▲국립노화연구소 설립 ▲‘Osong Bio’ 개최 ▲글로벌 혁신특구 해외실증R&D ▲충북 바이오산업 협의체, 오스코․오송선하마루 개관 등이 종합계획에 반영되었다고 밝혔다.
도는 전략사업의 반영을 계기로 오송이 미국 보스턴 켄달스퀘어와 같은 산․학․연․병․관이 함께 참여하는 개방형 바이오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의 중심지로서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의 도약 기반을 확립하고 오송의 위상을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이복원 충청북도 경제부지사는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는 대한민국 바이오산업 성장을 견인해 온 핵심 거점으로, 단지 지정 이후 15년간 정부와 도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력 속에 국가대표 바이오헬스클러스터로 발전했다.”고 밝히면서, “이번 종합계획에 K-바이오스퀘어 조성사업 등 전략사업이 반영됨에 따라, 오송이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앞으로 충북도는 정부 관계 부처 등과 협의하여 반영 사업의 추진을 위한 조치를 차질 없이 추진할 예정이다.
|
붙임 |
|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요약 |
|
1 |
|
수립배경 및 경과 |
□ (수립배경)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을 통해 의료연구개발의 활성화 및 성과의 상품화를 촉진하여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수립
* 종합계획 수립 근거 : 「첨단의료복합단지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10조
□ (수립경과) 종합계획 수립 연구 및 전문가 회의 등 의견수렴(’24.10〜’25.9, 17회), 관계부처 및 지자체 의견수렴(’24.10〜’25.9, 12회)
* 연혁 :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계획(’10), 제1차 종합계획(’11~’13),
제2차(’14~’16), 제3차(’17~’19), 제4차(’20~’24) 등 총 4회 수립
|
2 |
|
그간의 성과와 정책 여건 |
□ [정책 성과] 신약·의료기기 연구개발부터 전임상·임상 및 창업까지 전주기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기술이전·인허가 등 지원 확대
* 신약 기술이전 및 IND 승인 지원 : 38건(’17-’19)→131건(’20-’24),
의료기기 기술이전 및 인허가 지원 : 80건(’17-’19)→128건(’20-’24)
○ (인프라) 오송·대구에 15년간(’10~’24년) 총 1조 5,126억 투입, 4개 핵심인프라* 등 다양한 연구시설과 장비 5,900여 대 확보
* 신약개발지원센터,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비·전임상지원센터, 의약생산센터
○ (서비스) 신약 후보물질 발굴, 시제품 제작, 비임상시험 신뢰성 보증, GMP 기반 의약품 위탁 생산 등 센터별 특화된 기술서비스 제공
* (오송 216종) 기술서비스 6,009건 → 기술서비스 수입 354억원 달성
(대구 102종) 기술서비스 13,021건 → 기술서비스 수입 432억원 달성
➔ (한계) 바이오헬스산업 전체 기여도 미흡, 지역 클러스터와 차별화 부족
□ [정책 여건] 국정과제 32번 “의료AI‧제약‧바이오 글로벌 강국 도약” 추진
○ AI 기술 융합 및 모달리티 진화 등 對기업 서비스 첨단화 수요
○ 바이오헬스 생태계 선순환체계 확립을 위해 공공 CRDMO로서 첨복단지의 역할 강화 기대
|
3 |
|
비전 및 목표 |
|
비전 |
|
혁신과 연계로 국가대표 바이오헬스 클러스터로 도약 |
||||||
|
|
|
|
||||||
|
추진목표 |
|
|
As-Is |
To-Be |
||||
|
|
R&R 정립 |
■ 수익성 추구로 인한 R&R 불명확 |
■ 공백기술 지원 등 공공성 추구 |
|||||
|
전주기 |
■ 인프라 중복투자 등 비효율 발생 |
■ 타 클러스터와 연계를 통해 전주기 지원 |
||||||
|
중심 |
■ 단지 소재지 중심 |
■ 양 첨복단지 간 협력하여 |
||||||
|
|
|
|
|
|
||||
|
성과지표 |
|
■ 신약 기술이전 및 인허가 승인 지원 : 150건 ■ 의료기기 기술이전 및 인허가 승인 지원 : 150건 ■ 창업·글로벌 진출 지원 : 30개社 ■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 7,000명 |
||||||
|
|
|
|
||||||
|
5대 추진 전략 |
|
산업생태계 강화를 |
공공적 역할 중심의 |
첨복단지 중심의 |
||||
|
■ 수요 맞춤형 기술 |
■ 핵심인프라 보강 |
■ 단지 내 및 단지 간 |
||||||
|
■ 기술서비스 특화 |
■ 타 클러스터 및 지역 |
|||||||
|
■ 사업화 및 창업· |
||||||||
|
■ 현장수요 기반 R&D |
■ 글로벌 네트워크 조성 |
|||||||
|
■ 글로벌 인허가·규제 |
||||||||
|
|
||||||||
|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
|
■ 노후장비 개선 등 인프라 고도화 |
■ 거버넌스 개편 등 제도 개선 |
|||||||
|
■ 산업 수요 기반 전문인력 양성 |
■ 정주여건 개선 |
|||||||
|
4 |
|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충북 반영 과제(사업) |
|
연번 |
5대 추진전략 |
과제(사업)명 |
페이지 |
|
1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 오송CEO포럼 |
36 |
|
2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제3생명과학단지 內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 구축 및 서울대병원 글로벌 R&D 임상연구병원 유치 추진, 첨복단지와 연계 |
39 |
|
3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노화 관련 연구·대응을 위한 (가칭)국립노화연구소 설립 추진 |
39 |
|
4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충북TP와 연계한 국가 기술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
39 |
|
5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 혁신 특구 해외 실증R&D |
41 |
|
6 |
3. 첨복단지 중심의 연계와 협력 |
기술발표·기업IR·정책포럼 등이 결합된 Osong Bio 개최 |
41 |
|
7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공공 CRDMO 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인프라 조성 - 세포특성분석센터(‘22~’26년, 오송첨복재단) |
43 |
|
8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창업기업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 바이오헬스혁신창업기술상용화센터(‘24.12월 준공, 오송첨복재단) |
44 |
|
9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창업기업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 바이오의약품생산전문인력양성센터(’23~‘26년, 오송첨복재단) |
44 |
|
10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현장수요 중심 인력 양성 - (재직자 교육)신규 재직자 대상 일‧학습 병행 현장 내‧외 훈련 프로로그램 운영, (취업준비생 교육) 지역 산업 맞춤형 취업 연계 교육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
46 |
|
11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신기술 분야 전문인력 양성 - (첨단재생의료) 세포처리시설 종사자 대상 세포·조직배양, 치료제 제조 및 임상시험 등 첨단재생 특화 교육 *오송첨복재단 |
46 |
|
12 |
4. 인프라 고도화 및 전문인력 양성 |
지역 교육기관 협력 인재 양성 - (지역대학) 기업 애로기술 해결지원을 위해 지역 대학-기업 간 공동연구·개발 역량 강화 교육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
46 |
|
13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KAIST 부설 충북 AI BIO 영재학교 설립 |
52 |
|
14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역 선하마루 개관, 오스코 개관 |
52 |
|
15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충청권 광역급행철도 건설, 천안-청주공항 복선전철 건설 |
52 |
|
16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지하차도 개설, 세종-안성고속도로 (오송지선) 건설 |
52 |
|
17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 첨복단지 연계 산업·특화단지 조성 계획(안)> 오송제3생명과학국가산업단지 |
53 |
|
18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 첨복단지 연계 산업·특화단지 조성 계획(안)> 오송 바이오산업단지 |
53 |
|
19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 첨복단지 연계 산업·특화단지 조성 계획(안)> 오송 화장품산업단지 |
53 |
|
20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 첨복단지 연계 산업·특화단지 조성 계획(안)> 바이오의약품 소부장 특화단지 |
53 |
|
21 |
5. 첨단의료복합단지 운영기반 안정화 |
<(오송) 첨복단지 연계 산업·특화단지 조성 계획(안)> 충북 첨단재생바이오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 |
53 |








